맨위로가기

박소연 (피겨스케이팅 선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소연은 대한민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나주초등학교, 강일중학교, 신목고등학교, 단국대학교를 졸업했다. 2009년 한국 선수권 대회에서 3위를 시작으로 2015년 우승을 차지했으며,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에 출전하여 21위를 기록했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2014년 9위, 2015년 12위, 2016년 18위를 기록했다. 2019년 선수 은퇴 후 태양의 서커스에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일중학교 동문 - 홍화리
    홍화리는 2011년 《스타 주니어쇼 붕어빵》 출연으로 데뷔하여 2014년 《참 좋은 시절》에서 아역 배우로 연기를 시작, 이후 다양한 드라마에 출연하며 2014년 KBS 연기대상 여자 청소년 연기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강일중학교 동문 - 최다빈
    최다빈은 2000년생 대한민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2017년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고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 7위를 기록했으며, 고려대학교에서 석사 과정을 밟고 2024년 2025년 동계 세계 대학 경기대회 대한민국 대표로 선발되었다.
  • 2012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이준우 (뮤지컬 배우)
    이준우는 대한민국 서울 출신의 뮤지컬 배우이자 전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서 뛰어난 성적을 거둔 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뮤지컬 배우로 전향하여 '그리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모차르트!'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며 활동하고 있다.
  • 2012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아델리나 소트니코바
    아델리나 소트니코바는 러시아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여자 싱글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지만 심판 판정 논란이 있었으며, 어린 시절 러시아 선수권 대회와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는 등 뛰어난 실력을 보였으나 2016년 은퇴 후 부상과 건강 문제로 고생했고,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지지하여 비판을 받았다.
박소연 (피겨스케이팅 선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4년 한국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박소연
2014년 한국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의 박소연
이름박소연
로마자 표기Bak So-yeon
출생일1997년 10월 24일
출생지나주시, 전라남도, 대한민국
거주지서울, 대한민국
1.60m
스케이팅 시작2004년
은퇴2019년 6월 11일
세계 랭킹 (2018년 2월 27일 기준)26위
코치
현재 코치지현정
이전 코치지현정
안무가
현재 안무가신디 스튜어트
데이비드 윌슨
이전 안무가신디 스튜어트
데이비드 윌슨
클럽 및 훈련지
현재 훈련 장소태릉, 대한민국
개인 최고 기록
총점185.19 (2016 Trophée de France)
쇼트 프로그램 점수64.89 (2016 Trophée de France)
프리 스케이팅 점수122.95 (2019 Winter Universiade)
주요 대회 성적
유스 올림픽 단체전동메달 (2012 인스브루크)
기타 정보
전 소속사올댓스포츠
학교신목고등학교

2. 출신 학교

3. 경력

박소연은 초등학교 1학년 때 피겨 스케이팅을 시작하여 6학년 때 최연소로 국가대표에 선발되었다. 2008-2009 시즌부터 2014-2015 시즌까지 회장배 전국 남녀 피겨스케이팅 랭킹 대회에서 7회 연속 우승하였고, 대한민국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2011년부터 2014년까지 4회 연속 은메달을 획득하는 등 국내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주니어 시절에는 2012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에 출전하여 4위를 기록했고,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하기도 했다. 2013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는 12위를 기록했다.

시니어 무대에 데뷔한 후, 김연아, 김해진과 함께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에 출전하여 21위를 기록했다. 같은 해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뛰어난 연기를 펼치며 김연아 이후 한국 선수로는 두 번째로 10위 안에 드는 9위를 차지했고, 개인 최고 점수를 경신했다. 이후 그랑프리 시리즈에 꾸준히 출전하며 2014 스케이트 아메리카와 2014 로스텔레콤 컵에서 5위를 기록했다.

2015년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에서는 첫 우승을 차지했으며, 2016년 4대륙 선수권 대회에서는 개인 최고 성적인 4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2016년 말 훈련 중 발목 골절 부상을 당해 수술을 받고 여러 대회에 불참하며 공백기를 가졌다.[3] 부상 회복 후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출전을 위해 노력했으나 대표팀에 선발되지 못했다. 2019년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 4위, 2019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5위를 기록한 후, 2019년 6월 현역 은퇴를 선언하고 태양의 서커스에 합류했다.[5]

3. 1. 초기 및 주니어 경력

박소연은 초등학교 1학년 때 광주에서 피겨 스케이팅을 시작했으며, 3학년 때 본격적인 선수 생활을 위해 훈련지를 서울로 옮겼다. 초등학교 6학년이던 2009년, 만 13세의 나이로 역대 최연소 국가대표로 선발되었다.[1]

2008-2009 시즌부터 회장배 전국 남녀 피겨스케이팅 랭킹 대회에서 7회 연속 우승하는 등 국내 대회에서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09년 한국 선수권 대회 주니어 부문에서 2위를 차지했고, 2009-2010 시즌에는 시니어 부문 3위에 올랐다. 같은 시즌 뉴질랜드 동계 게임 노비스 부문에서 국제 대회 첫 금메달을 획득했다.[1]

2010-2011 시즌 한국 선수권 대회 시니어 부문에서 2위를 차지했으며, 국제 어린이 겨울 게임 노비스 부문에서도 2위에 올랐다.[1] 2011년부터 2014년까지 한국 선수권 대회에서 4회 연속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1년 가을, ISU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에 데뷔하여 오스트리아 대회 6위, 이탈리아 대회 4위를 기록했다. 같은 해 아시안 피겨 스케이팅 트로피 주니어 부문에서도 2위에 올랐다.

2011-2012 시즌, 회장배 랭킹 대회 우승으로 인스부르크 유스 동계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 개인전 4위 및 팀 경기 3위(동메달)를 기록했다. 2012년 한국 선수권 대회에서는 시니어 2위를 차지하며 처음으로 트리플 토룹+트리플 토룹 연속 점프를 성공시켰다. 이는 국내 여자 싱글 선수 중 세 번째로 트리플 연속 점프를 실전에서 성공한 사례이다. 그러나 이 대회에서 김해진에게 밀려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출전권은 얻지 못했다.

2012-2013 시즌에는 아시안 피겨 스케이팅 트로피 시니어 부문에서 우승하며 첫 시니어 국제 대회 금메달을 획득했다.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에서는 미국 대회 6위, 터키 대회 2위(은메달)를 차지했다. 터키 대회 쇼트 프로그램에서는 1위에 오르기도 했다. 주니어 그랑프리 대표 선발전 쇼트 프로그램에서는 트리플 살코+트리플 토룹 연속 점프를 처음으로 성공했다. 2013년 한국 선수권 대회에서는 개인 최고점을 경신하며 김연아에 이어 2위에 올랐다. 처음 출전한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는 쇼트 프로그램 경기 중 정전으로 음악이 중단되는 어려움 속에서도 최종 12위를 기록했다. 2013년, 박소연은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출전을 목표로 삼고 있다고 밝혔다.

2013-2014 시즌을 앞두고 열린 주니어 그랑프리 대표 선발전에서는 쇼트 프로그램 1위를 했으나 프리 스케이팅 부진으로 최종 5위에 머물러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에는 파견되지 못했다.

아래는 박소연의 노비스 및 주니어 시절 주요 국제 대회 및 국내 선수권 대회 결과이다.

국제: 노비스[1]
종목2008-092009-102010-11
어린이 경기 대회2위 N
뉴질랜드 동계 게임1위 N
국내[1]
대한민국 선수권2위 J3위2위
레벨: J = 주니어; N = 노비스



2012-13 시즌
날짜대회레벨쇼트프리총점
2013년 2월 25일 – 3월 3일2013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주니어14
47.24
12
88.18
12
135.42
2013년 1월 2일 – 6일2013년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시니어3
53.20
2
108.68
2
161.88
2012년 9월 19일 – 22일2012 JGP 터키주니어1
51.45
3
93.32
2
144.77
2012년 8월 29일 – 9월 1일2012 JGP 미국주니어2
52.33
7
85.04
6
137.37
2012년 8월 8일 – 12일2012 아시아 피겨스케이팅 트로피시니어1
49.67
1
86.46
1
136.13
2011-12 시즌
날짜대회레벨쇼트프리총점
2012년 1월 14일 – 22일2012 겨울 청소년 올림픽 – 팀주니어1
96.84
3
2012년 1월 14일 – 22일2012 겨울 청소년 올림픽주니어5
48.37
4
88.23
4
136.60
2012년 1월 4일 – 8일2012년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시니어2
51.43
3
93.16
2
144.59
2011년 10월 5일 – 8일2011 JGP 이탈리아주니어4
49.06
4
95.65
4
144.71
2011년 9월 28일 – 10월 1일2011 JGP 오스트리아주니어8
46.27
6
84.92
6
131.19
2011년 8월 23일 – 26일2011 아시아 피겨스케이팅 트로피주니어3
43.40
2
82.30
2
125.70



2010-11 시즌
날짜대회레벨쇼트프리총점
2011년 1월 27일 – 30일2011 국제 어린이 겨울 게임노비스1
39.33
5
49.09
2
88.42
2011년 1월 12일 – 16일2011년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시니어2
48.82
2
93.47
2
142.29
2009-10 시즌
날짜대회레벨쇼트프리총점
2010년 1월 7일 – 10일2010년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시니어4
42.78
3
84.99
3
127.77
2009년 8월 28일 – 30일2009 뉴질랜드 겨울 게임노비스1
44.50
1
62.93
1
107.43
2008-09 시즌
날짜대회레벨쇼트프리총점
2009년 1월 7일 – 10일2009년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주니어2
37.18
2
65.85
2
103.03


3. 2. 시니어 경력

2014년 4대륙 선수권 대회에서 시니어 국제 무대에 데뷔하여 쇼트 프로그램 8위, 프리스케이팅 9위로 총점 162.71점을 기록하며 종합 9위를 차지했다. 김연아, 김해진과 함께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국가대표로 선발되었다. 올림픽에서는 쇼트 프로그램 23위로 프리스케이팅에 진출했으나, 최종 21위에 머물렀다. 이어진 2014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쇼트 13위(57.22점)에 이어 프리스케이팅에서 클린 연기를 선보이며 119.39점을 받아 합계 176.61점으로 개인 최고 점수를 경신, 최종 9위에 올랐다. 이는 김연아 이후 한국 여자 싱글 선수로는 두 번째로 세계 선수권 대회 Top 10에 진입한 성과였다.

2014-2015 시즌, 그랑프리 시리즈에 데뷔하여 2014 스케이트 아메리카와 2014 로스텔레콤 컵에서 모두 5위를 기록했다. 2015년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에서는 쇼트 프로그램과 프리 스케이팅 모두 1위를 차지하며 생애 첫 국내 선수권 타이틀을 획득했다. 2015년 4대륙 선수권 대회에서는 9위를 기록했고, 2015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쇼트 15위, 프리 9위로 종합 12위를 기록했다. 이 결과는 대한민국이 2016년 세계 선수권 대회 여자 싱글 부문 출전권 두 장을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

2015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의 박소연


2015-2016 시즌, 2015 핀란디아 트로피에서 4위를 기록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그랑프리 시리즈에서는 2015 스케이트 아메리카 9위, 2015 중국 컵 8위를 차지했다. 2016년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에서는 5위에 머물렀지만, 상위 선수 중 시니어 자격 미달자가 있어 2016년 사대륙 선수권과 세계 선수권 대표로 선발되었다. 사대륙 선수권에서는 쇼트 프로그램에서 62.49점으로 개인 최고 점수를 기록하며 5위에 올랐고, 프리 스케이팅에서도 선전하여 총점 178.92점(개인 최고 기록)으로 최종 4위를 차지했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8위를 기록했다.

2016-2017 시즌, 2016 스케이트 아메리카 8위, 2016 트로피 드 프랑스 5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2016년 12월 13일 훈련 중 왼쪽 발목이 골절되는 부상을 입어 수술을 받았다. 이로 인해 2017년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 2017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2017년 아시안 게임에 불참하며 시즌을 조기에 마감했다.[3]

2017-2018 시즌, 이전 시즌의 발목 부상 회복 과정에서 4번의 수술을 받았다. 부상 여파로 그랑프리 시리즈 중 로스텔레콤 컵에 기권했고,[4] 2017 NHK 트로피에서는 12위를 기록했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국가대표 선발 과정의 세 단계 대회에 모두 참여했지만, 부상 후유증 등으로 인해 최종적으로 올림픽 출전권을 얻지 못했다. 2018년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에서는 5위, 2018년 사대륙 선수권 대회에서는 11위를 기록했다.

2018-2019 시즌, 2019년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에서 4위를 차지했고, 2019년 동계 유니버시아드에 출전하여 5위를 기록했다. 2019년 6월 올댓 스케이트 아이스 쇼에 참가한 후, 6월 11일 선수 은퇴를 공식 발표했다. 은퇴 후에는 태양의 서커스 쇼에 참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5]

4. 스케이팅 기술

박소연은 트리플 악셀(3회전 반)을 제외한 다섯 종류의 트리플 점프(트리플 러츠, 트리플 플립, 트리플 룹, 트리플 살코, 트리플 토룹)를 모두 구사한다.

2011-2012 시즌에는 더블 악셀+트리플 토룹(2A-3T) 연속 점프를 프로그램에 처음으로 넣어 성공했다. 이듬해인 2012-2013 시즌에는 트리플 살코+트리플 토룹(3S-3T) 연속 점프를 프로그램에 넣어 성공시켰다.

2013-2014 시즌부터 2016-2017 시즌까지 프리스케이팅 프로그램에서 트리플 살코+트리플 토룹(3S-3T) 콤비네이션 점프를 꾸준히 성공시켰으며, 트리플 러츠, 트리플 플립, 트리플 룹, 트리플 살코, 트리플 토룹 등 다섯 종류의 트리플 점프를 모두 구성하여 수행했다.

주요 콤비네이션 점프로는 3S-3T(트리플 살코+트리플 토룹)와 2A-3T(더블 악셀+트리플 토룹)를 구사한다.

5. 프로그램

2017–2018
rowspan=2 |2016–2017
2015–2016
2014–2015
rowspan=2 |2013–2014
2012–2013
2011–2012
2010–20112009–20102008–20092007–2008


6. 주요 대회 기록

60.516
88.646
149.15



2016-2017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총점
2016년 11월 11일-13일2016 GP 트로피 드 프랑스6
64.89
4
120.30
5
185.19
2016년 10월 21일-23일2016 스케이트 아메리카7
58.16
8
103.20
8
161.36
2016년 10월 14일 – 16일회장배 랭킹대회1
63.19
5
108.92
4
172.11
2016년 9월 22일-24일2016 CS 네벨혼 트로피5
55.71
4
106.24
4
161.95
2016년 9월 8일-11일2016 CS 롬바르디아 트로피4
56.93
5
99.92
5
156.85
2016년 8월 4일-7일2016년 아시안 트로피3
48.02
4
80.93
4
128.95



2015-2016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총점
2016년 3월 28일-4월 3일2016년 세계 선수권 대회 (보스턴)22
52.27
18
101.97
18
154.24
2016년 2월 16일-21일2016년 사대륙 선수권 대회 (타이페이 시티)5
62.49
7
116.43
4
178.92
2016년 2월 1일 - 4일제97회 동계 체육대회1
48.82
1
125.56
1
174.38
2016년 1월 8일-10일2016년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6
55.34
6
105.73
5
161.07
2015년 12월 4일 - 6일회장배 랭킹대회5
52.39
1
115.25
2
167.64
2015년 11월 6일-8일2015 GP 컵 오브 차이나10
52.47
6
111.81
8
164.28
2015년 10월 23일-25일2015 스케이트 아메리카10
53.78
9
105.88
9
159.66
2015년 10월 9일-11일2015 CS 핀란디아 트로피6
51.51
3
108.42
4
159.93



2015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2014-2015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총점
2015년 3월 23일-29일2015년 세계 선수권 대회 (상하이)15
53.95
9
106.80
12
160.75
2015년 2월 24일 – 28일제96회 동계 체육대회2
49.90
1
106.78
1
156.68
2015년 2월 9일-15일2015년 사대륙 선수권 대회 (목동)10
53.47
9
110.28
9
163.75
2015년 1월 5일-9일2015년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1
60.40
1
113.99
1
174.39
2014년 12월 5일 – 7일회장배 랭킹대회1
55.95
1
115.88
1
171.83
2014년 11월 14일-16일2014 로스텔레콤 컵7
53.71
4
109.53
5
163.24
2014년 10월 24일-26일2014 스케이트 아메리카5
55.74
5
114.69
5
170.43
2014년 8월 6일-10일2014년 아시안 트로피5
49.20
1
111.29
3
160.49



2013-2014 시즌
날짜대회레벨쇼트프리총점
2014년 3월 24일-30일2014년 세계 선수권 대회 (사이타마)시니어13
57.22
9
119.39
9
176.61
2014년 2월 26일 – 3월 1일제95회 동계 체육대회시니어1
58.87
1
103.91
1
162.78
2014년 2월 6일-22일2014년 동계 올림픽 (소치)시니어23
49.14
19
93.83
21
142.97
2014년 1월 20일-26일2014년 사대륙 선수권 대회 (타이페이 시티)시니어8
55.91
9
106.80
9
162.71
2014년 1월 1일-5일2014년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시니어5
52.31
2
125.86
2
178.17
2013년 11월 22일 – 24일회장배 랭킹대회시니어1
55.29
1
114.19
1
169.48
2013년 8월 3일 – 4일주니어 그랑프리 선발전주니어1
55.55
8
79.41
5
134.96



2012-13 시즌
날짜대회레벨쇼트프리총점
2013년 2월 25일 – 3월 3일2013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주니어14
47.24
12
88.18
12
135.42
2013년 2월 18일 – 21일제94회 동계 체육대회시니어1
54.42
1
100.18
1
154.60
2013년 1월 2일 – 6일2013년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시니어3
53.20
2
108.68
2
161.88
2012년 11월 2일 – 4일회장배 랭킹대회시니어1
51.60
1
95.73
1
147.33
2012년 9월 19일 – 22일2012 JGP 터키주니어1
51.45
3
93.32
2
144.77
2012년 8월 29일 – 9월 1일2012 JGP 미국주니어2
52.33
7
85.04
6
137.37
2012년 8월 8일 – 12일2012 아시안 트로피시니어1
49.67
1
86.46
1
136.13
2012년 8월 4일 – 5일주니어 그랑프리 선발전주니어2
53.56
1
101.07
1
154.63



2011-12 시즌
날짜대회레벨쇼트프리총점
2012년 2월 14일 – 17일제93회 동계 체육대회시니어1
50.42
2
89.13
2
139.55
2012년 1월 14일 – 22일2012 동계 청소년 올림픽 – 팀주니어1
96.84
3
2012년 1월 14일 – 22일2012 동계 청소년 올림픽주니어5
48.37
4
88.23
4
136.60
2012년 1월 4일 – 8일2012년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시니어2
51.43
3
93.16
2
144.59
2011년 11월 24일 – 25일회장배 랭킹대회시니어1
53.70
1
99.00
1
152.70
2011년 10월 5일 – 8일2011 JGP 이탈리아주니어4
49.06
4
95.65
4
144.71
2011년 9월 28일 – 10월 1일2011 JGP 오스트리아주니어8
46.27
6
84.92
6
131.19
2011년 8월 23일 – 26일2011 아시안 트로피주니어3
43.40
2
82.30
2
125.70
2011년 8월 3일 – 4일주니어 그랑프리 선발전주니어4
41.84
2
84.26
2
126.10



{| class="wikitable"

| colspan=6 align=center | '''2010-11 시즌'''

|-

! 날짜

! 대회

! 레벨

! 쇼트

! 프리

! 총점

|-

| 2011년 4월 12일 – 15일

| 제53회 종별 선수권

| 시니어

| align="center" | 2
45.02

| align="center" | 2
86.91

| align="center" | 2
131.93

|-

| 2011년 2월 10일 – 13일

| 제92회 동계 체육대회

| align="center" | 시니어

| align="center" | 2
46.66

| align="center" | –

| align="center" | 2
46.66

|-

| 2011년 1월 27일 – 30일

| 2011 국제 어린이 겨울 게임

| 노비스

| align=center | 1
39.33

| align=center | 5
49.09

| align=center | 2
88.42

|-

| 2011년 1월 12일 – 16일

| 2011년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

| 시니어

| align=center | 2
48.82

| align=center | 2
93.47

| align=center | 2
142.29

|-

| 2010년 10월 29일 – 30일

| 회장배 랭킹대회

| align="center" | 주니어

| align="center" | 1
45.92

| align="center" | 1
86.11

| align

7. 가족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Competition Results: So Youn PARK http://www.isuresult[...] International Skating Union
[2] 뉴스 Stepanova/Bukin (RUS) claim Junior Ice Dance gold; Cesario (USA) captures Junior Ladies Short Program http://www2.isu.org/[...]
[3] 뉴스 <フィギュアスケート>パク・ソヨン、左足首骨折…6~8週間のリハビリが必要 http://www.wowkorea.[...]
[4] 뉴스 박소연, 피겨 그랑프리 4차 최종 12위... 점프 연거푸 실수 http://star.ohmynews[...]
[5] 뉴스 '피겨 맏언니' 박소연, 현역 은퇴 선언 "또 다른 박소연으로..." http://www.sportsw.k[...]
[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sportswor[...] 2014-0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