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현 (1934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종현(1934년)은 대한민국의 철학자이자 문학평론가로, 서울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성균관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그는 플라톤 철학 연구에 평생을 바쳐 《희랍 사상의 이해》, 《적도 또는 중용의 사상》 등의 저서를 출간하고, 플라톤의 주요 저작들을 번역하여 한국 철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헬라스 사상 연구를 통해 학문적 기여를 했으며, 열암학술상, 인촌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철학자 - 황석영
황석영은 만주 출생으로 한국 전쟁을 겪고 성장하여 사회 현실과 시대상을 반영하는 소설을 쓴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 대한민국의 철학자 - 정원식
정원식은 대한민국의 교육학자, 대학교수, 정무직공무원, 정치인으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수, 문교부 장관, 국무총리 서리 및 국무총리를 역임하며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관련 논란과 대학생 계란 투척 사건을 겪었고 서울특별시장 후보로 낙선하기도 했다. - 성균관대학교 교수 - 신상초
신상초는 일제강점기 항일 운동에 참여하고 해방 후 정치인으로 활동했으며, 대한민국에서 국회의원, 교수, 연구원 대표 등을 역임했다. - 성균관대학교 교수 - 이원종 (1942년)
이원종은 1942년 출생하여 체신부, 서울특별시청 등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해 용산구청장, 성동구청장, 서울특별시장, 충청북도지사를 역임하고 대통령 비서실장 등을 지낸 자유한국당 소속의 정치인이다. - 서울대학교 대학원 동문 - 정경심
정경심은 자녀 입시 비리 혐의로 징역 4년형이 확정되어 복역 후 가석방된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대학교수였다. - 서울대학교 대학원 동문 - 김상곤
김상곤은 대한민국의 교육인, 정치인으로, 서울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한신대학교 교수, 경기도교육감,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한국교직원공제회 이사장을 역임했다.
박종현 (1934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박종현 |
시대 | 20세기 |
지역 | 대한민국 |
분야 | 서양 고대 철학 |
대표작 | 적도(適度) 또는 중용의 사상 |
학력 | |
학위 | 철학석사 |
모교 | 서울대학교 |
지도 교수 | 박홍규 |
논문 | 플라톤 思想의 出發點과 歸着點 |
소속 기관 | 성균관대학교 |
서훈 | 서우철학상(2001), 경암학술상(2014)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934년 |
출생지 |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남해 |
국적 | 대한민국 |
2. 생애
박종현은 1934년 경남 남해에서 태어나 1955년 서울대학교 철학과에 입학하여 1962년 2월 졸업하였다. 이후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하여 1965년 2월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1961년 3월 ‘자유문학’에 문학평론으로 등단하여 1969년까지 문학평론가로도 활동하였다.
박종현은 주로 서양 고대 그리스 철학, 특히 플라톤 연구에 평생을 바쳤다. 그는 플라톤의 저작들에 대한 엄밀하고 상세한 역주를 갖춘 번역서를 출간하여 한국의 서양 고전철학 연구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1]
1972년 성균관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부임하였고, 1973년 3월부터 1975년 2월까지 이 대학교 철학과장을 맡았다. 1987년 3월부터 1988년까지 아테네대학교 연구교수를 지냈으며, 1990년부터 1992년까지 서양고전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1992년 상반기에는 옥스퍼드 대학교 Balliol College 연구교수를 지냈다. 이후 성균관대학교에서 연구와 교육에 힘쓰다 2000년에 퇴임하였다. 2007년에는 국제그리스철학협회(IAGP: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reek Philosophy) 명예회장으로 추대되었다. 2017년에는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
3. 학문적 업적
3. 1. 주요 저서
박종현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1]3. 1. 1. 희랍 사상의 이해
희랍 사상의 이해el는 1982년에 출간된 박종현의 첫 저서이다. 1970년부터 1981년까지 발표한 헬라스 사상 전반 및 플라톤 철학과 관련된 논문들과 기타 글들을 수정 및 첨삭하여 수록하였다. 이 책에서 박종현은 헬라스 사상과 플라톤 철학을 핵심적이고 특징적인 관점에서 고찰하였다.[1] 이 책으로 이듬해 '열암 학술상'을 받았고, 1985년 1월호 '신동아' 별책 부록: 현대 한국의 명저 100권(1945~1984) 중 '철학 편'에 선정되었다.[1]
3. 1. 2. 헬라스 사상의 심층
《헬라스 사상의 심층》(서광사, 2001)은 1984년부터 1994년까지 박종현이 발표했거나 따로 써둔 논문들을 대대적으로 수정하고 보완하여 발간한 책이다.[1] 이 책에서 그는 헬라스 사상을 심층적으로 파고들었다.[1] 2002년 대한민국학술원은 이 책을 우수학술도서로 선정했다.[1]
3. 1. 3. 적도(適度) 또는 중용의 사상
《적도(適度) 또는 중용의 사상》(아카넷, 2014)은 박종현이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이 주제와 관련되는 한 모두 모아 담은 주된 저술이다.[1] 이 책은 2015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다.[1] 이후 2022년에 이 책을 대대적으로 개정하고 보완해서 새로 출판했다.[1]
3. 2. 주요 번역서
플라톤의 《국가》(1997년, 2005년 개정 증보판)를 비롯하여 총 21편의 대화편들을 아홉 권으로 묶어 번역했다.[2] 주요 번역서는 다음과 같다.
4. 수상 경력
수상명 | 주최 | 수상 날짜 |
---|---|---|
열암학술상 | 열암기념사업회 | 1983년 12월 16일 |
성균가족상 대상 | 성균관대학교 | 1999년 12월 17일 |
옥조근정훈장 | 대통령 | 2000년 2월 |
서우철학상 | 서우철학상운영이사회 | 2000년 6월 9일 |
인촌상 학술부문 | 인촌기념회·동아일보사 | 2003년 10월 10일[3] |
5. 출판 목록
박종현은 주로 플라톤 철학을 연구하고 관련 저서를 집필했다. 그의 주요 논문과 저서는 다음과 같다.
'''주요 논문'''
논문 제목 | 발표 연도 | 게재지 | 쪽수 |
---|---|---|---|
희랍인들의 탐구정신의 전개과정 | 1970 | 哲學硏究, 5집 | 59-93 |
희랍철학을 통해서 본 만듦(創造)의 문제 | 1977 | 哲學, 11집 | 1-38 |
플라톤의 형상이론의 기본구조에 관한 고찰 | 1979 | 人文科學, 8권 | 27-46 |
플라톤의 dialektike 와 측정술(metretike) | 1981 | 人文科學, 10권 | 57-80 |
아리스토텔레스의 플라톤 비판 | 1984 | 人文科學, 13권 | 189-213 |
플라톤의 結合理論 | 1987 | 西洋古典學硏究, 1집 | 1-41 |
희랍 비극에서의 상황과 행위 | 1990 | 西洋古典學硏究, 4집 | 51-67 |
플라톤의 자연법 사상 | 1992 | 西洋古典學硏究, 6집 | 1-24 |
플라톤 철학의 기본 구조 | 2017 | 학술원논문집, 56집 2호 | 1-50 |
플라톤의 정치가 그리고 법률제정 | 2021 | 학술원논문집, 60집 1호 | 1-54 |
'''주요 저서'''
제목 | 출판 연도 | 출판사 |
---|---|---|
희랍 사상의 이해 | 1982 | 종로서적 |
플라톤의 국가(정체) (박종현 역주) [개정증보판: 2005] | 1997 | 서광사 |
헬라스 사상의 심층 | 2001 | 서광사 |
플라톤의 네 대화 편: 에우티프론,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 (박종현 역주) | 2003 | 서광사 |
플라톤의 법률/미노스/에피노미스 (박종현 역주) | 2009 | 서광사 |
플라톤의 프로타고라스/라케스/메논 (박종현 역주) | 2010 | 서광사 |
적도(適度) 또는 중용의 사상 [개정 증보판: 2022] | 2014 | 아카넷 [개정 증보판: 서광사] |
플라톤의 향연/파이드로스/리시스 (박종현 역주) | 2016 | 서광사 |
플라톤의 고르기아스/메넥세노스/이온 (박종현 역주) | 2018 | 서광사 |
플라톤의 소피스테스/정치가 (박종현 역주) | 2021 | 서광사 |
5. 1. 주요 논문
논문 제목 | 발표 연도 | 게재지 | 쪽수 |
---|---|---|---|
희랍인들의 탐구정신의 전개과정 | 1970 | 哲學硏究, 5집 | 59-93 |
희랍철학을 통해서 본 만듦(創造)의 문제 | 1977 | 哲學, 11집 | 1-38 |
플라톤의 형상이론의 기본구조에 관한 고찰 | 1979 | 人文科學, 8권 | 27-46 |
플라톤의 dialektike 와 측정술(metretike) | 1981 | 人文科學, 10권 | 57-80 |
아리스토텔레스의 플라톤 비판 | 1984 | 人文科學, 13권 | 189-213 |
플라톤의 結合理論 | 1987 | 西洋古典學硏究, 1집 | 1-41 |
희랍 비극에서의 상황과 행위 | 1990 | 西洋古典學硏究, 4집 | 51-67 |
플라톤의 자연법 사상 | 1992 | 西洋古典學硏究, 6집 | 1-24 |
플라톤 철학의 기본 구조 | 2017 | 학술원논문집, 56집 2호 | 1-50 |
플라톤의 정치가 그리고 법률제정 | 2021 | 학술원논문집, 60집 1호 | 1-54 |
5. 2. 주요 저서
제목 | 출판 연도 | 출판사 |
---|---|---|
희랍 사상의 이해 | 1982 | 종로서적 |
플라톤의 국가(정체) (박종현 역주) [개정증보판: 2005] | 1997 | 서광사 |
헬라스 사상의 심층 | 2001 | 서광사 |
플라톤의 네 대화 편: 에우티프론,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 (박종현 역주) | 2003 | 서광사 |
플라톤의 법률/미노스/에피노미스 (박종현 역주) | 2009 | 서광사 |
플라톤의 프로타고라스/라케스/메논 (박종현 역주) | 2010 | 서광사 |
적도(適度) 또는 중용의 사상 [개정 증보판: 2022] | 2014 | 아카넷 [개정 증보판: 서광사] |
플라톤의 향연/파이드로스/리시스 (박종현 역주) | 2016 | 서광사 |
플라톤의 고르기아스/메넥세노스/이온 (박종현 역주) | 2018 | 서광사 |
플라톤의 소피스테스/정치가 (박종현 역주) | 2021 | 서광사 |
참조
[1]
웹인용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에 박종현 성균관대 명예 교수등 7명 선출
https://daily.hankoo[...]
2024-10-21
[2]
뉴스
<책> 첫 희랍어 원전번역, 플라톤 `국가'
https://n.news.naver[...]
연합뉴스
2024-10-21
[3]
웹인용
인촌기념회
http://www.inchonmem[...]
2024-1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