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현명 (야구 선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현명은 일제강점기 시대의 야구 선수이다. 평양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경성전기에서 선수로 활동했으며, 1938년 제12회 도시 대항 야구 대회에서 팀의 준우승에 기여했다. 같은 해 오사카 타이거스에 입단했으나, 투수진의 두터움으로 인해 1939년에 2경기 등판에 그쳤다. 해방 후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거주했다. 그의 동생은 박현식으로, 삼미 슈퍼스타즈와 현대 유니콘스의 초대 감독을 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야구 선수 - 윤차랑
일본 프로 야구 선수로 활동하다 재일 조선인 북송 사업에 참여하여 북한으로 귀국 후 북한 야구 발전에 기여한 윤차랑은 '사회주의 건설 애국자' 칭호를 받았으며 분단된 한반도의 아픔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 일제강점기의 야구 선수 - 윤치영
윤치영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활동하며 이승만, 박정희 정부에서 요직을 역임하고 제헌 국회의원, 초대 내무부 장관, 주프랑스 공사, 서울특별시장, 국회의장 등을 지냈으나, 친일 의혹과 독재 정권 옹호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일제강점기의 야구 선수 - 이영민 (1905년)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 한국 야구와 축구 발전에 기여한 이영민은 '천재 야구 선수'로 불리며 한국 최초 홈런 기록, 대한야구협회 초대 이사장, 런던 올림픽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등을 역임했고 그의 업적을 기려 이영민 타격상이 제정되었다.
박현명 (야구 선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선수 정보 | |
선수명 | 박현명 |
본명 | (정보 없음) |
영어 표기 | (정보 없음) |
출신지 | 평양 |
출생 연도 | 1911년 |
사망 연도 | (사망 연도 불명) |
신장 | 179cm |
체중 | 71kg |
투구 | 우투 |
타석 | 우타 |
수비 위치 | 투수 |
프로 경력 | |
프로 입단 연도 | 1938년 |
드래프트 순위 | (정보 없음) |
첫 출장 | 1939년 |
마지막 출장 | 1939년 |
연봉 | (정보 없음) |
소속 구단 | 오사카 타이거즈 (1938년 - 1939년) |
아마추어 경력 | |
경력 | 평양고등보통학교 전경성 |
기타 정보 | |
경력 보충 | (정보 없음) |
대표팀 | (정보 없음) |
올림픽 | (정보 없음) |
WBC | (정보 없음) |
선출 국가 | (정보 없음) |
선출 연도 | (정보 없음) |
득표율 | (정보 없음) |
선출 방법 | (정보 없음) |
선수 정보 (추가) | |
원어명 | Pack Hun-Myeong |
출신지 (상세) | 평안남도 진남포 |
출생 연도 (정확) | 1913년 |
첫 출장 (상세) | NPB / 1939년 8월 12일 도쿄 대 나고야 긴코군전 |
획득 타이틀 | (정보 없음) |
경력 (상세) | 평양실업 (1933년 ~ 1937년) 체신국 (1937년 ~ 1938년) 오사카 타이거즈 (1938년 ~ 1940년) |
2. 생애 및 선수 경력
평양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전경성에 진학, 1938년에 제12회 도시 대항 야구 대회에 출전하여 팀의 준우승에 기여했다.[4][5] 경성부(현 서울특별시)의 실업팀에서 투수를 맡았으며[5], 조선 원정 중이던 메이지 대학 경식 야구부와 경기에서 7회까지 노히트를 기록하여 오사카 타이거스 관계자의 눈에 띄었다.[4]
1938년 도중에[6] 타이거스에 입단했으나, 당시 팀의 투수진이 두터워 1939년에 2경기 등판, 1패의 성적을 남기고 타격 투수로 활동하다[6][3] 그 해 퇴단했다. 이후 북한에 거주했다.[3] 삼미 슈퍼스타즈(후의 현대 유니콘스)의 초대 감독을 맡았던 박현식은 동생이다.
마쓰키 겐지로는 자서전 『타이거스의 생애』에서 도에이 플라이어스 감독 시절인 1969년, 대한민국 원정에서 동생 박현식과 만났지만 "형은 평양에 있다"며 재회하지 못한 안타까움을 적고 있다.[5]
2. 1. 유년 시절 및 아마추어 경력
평양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전경성에 진학, 1938년에 제12회 도시 대항 야구 대회에 출전하여 팀의 준우승에 기여했다.[4][5] 경성부(현 서울특별시)의 실업팀에서 투수를 맡았다.[5] 조선 원정 중이던 메이지 대학 경식 야구부와의 경기에서 7회까지 노히트를 기록하며 오사카 타이거스 관계자의 눈에 띄었다.[4]2. 2. 일본 프로 야구 경력
중반 오사카 타이거스(현 한신 타이거스)에 입단했다.[6] 당시 팀의 투수진이 두터워 에 2경기에 등판하여 1패를 기록하는 데 그쳤다. 실제로는 타격 투수로서의 활동이 주였으며,[6][3] 1939년 시즌 후 퇴단했다.2. 3. 프로 선수 이후
해방 이후 북한에 거주했다.[3] 동생 박현식은 삼미 슈퍼스타즈(후의 현대 유니콘스)의 초대 감독을 맡았다. 1969년 마쓰키 겐지로가 대한민국 원정에서 동생 박현식과 만났지만, "형(박현명)은 평양에 있다"며 재회하지 못한 안타까움을 자서전 『타이거스의 생애』에 적고 있다.[5]3. 가족 관계
4. 상세 정보
박현명|바쿠 겐메이일본어는 1938년 중도부터 1939년까지 등번호 '''20'''번을 사용하였다.
4. 1. 연도별 투수 성적
연도 | 소속 팀 | 경기 | 선발 | 완투 | 완봉 | 무사사구 | 승리 | 패전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투구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고의사구 | 사구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점 | WHIP |
---|---|---|---|---|---|---|---|---|---|---|---|---|---|---|---|---|---|---|---|---|---|---|---|---|---|
1939년 | 오사카 | 2 | 2 | 0 | 0 | 0 | 0 | 1 | -- | .000 | 39 | 8.1 | 12 | 0 | 3 | -- | 0 | 2 | 0 | 0 | 1 | 1 | 1.08 | 1.80 | |
통산:1년 | 2 | 2 | 0 | 0 | 0 | 0 | 1 | -- | .000 | 39 | 8.1 | 12 | 0 | 3 | -- | 0 | 2 | 0 | 0 | 1 | 1 | 1.08 | 1.80 |
4. 2. 등번호
박현명은 1938년 중도부터 1939년까지 등번호 '''20'''번을 사용하였다.참조
[1]
웹사이트
猛虎人国記(18)~外地~
http://www.sponichi.[...]
2016-08-05
[2]
웹사이트
1939 Japanese Baseball League
https://www.baseball[...]
[3]
서적
プロ野球人名事典 2003
日外アソシエーツ
2003
[4]
웹사이트
朴賢明 ~ げんまつWEBタイガース歴史研究室 - ZAQ
http://www.jttk.zaq.[...]
[5]
뉴스
猛虎人国記(18)~外地~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12-03-27
[6]
간행물
週刊プロ野球データファイル 076号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7]
뉴스
'조선의 에이스' 박현명 이야기
http://sports.news.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