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반월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월천은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과 안산시 상록구 경계에 위치한 하천으로, 과거에는 바닷가였으나 매립으로 인해 현재는 시화호 바깥이 바다이다. 조선 시대부터 빈정포라는 포구가 있었으며, 1900년대에는 주변 지역의 곡물이 인천을 통해 일본으로 수출되는 주요 거점이었다. 18~19세기 실학자 우하영은 저서 《천일록》에서 빈정포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쇠퇴해가는 빈정포를 다시 활성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인선 개통 이후 빈정포의 물류는 철도를 통해 운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기도의 하천 - 한강
    한강은 태백산맥에서 발원하여 서해로 흘러가는 강으로, 남한강과 북한강이 합쳐져 한강 본류를 이루며, 총 514km의 길이를 가지며, 수운 교통로, 시민공원 조성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경기도의 하천 - 중랑천
    중랑천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를 흐르는 하천으로, 총 연장 37km, 유역 면적 288km2이며, 과거에는 여러 이름으로 불리다가 일제강점기에 중랑천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현재는 시민들의 여가 공간으로 활용된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부산민주공원
    부산민주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부마민주항쟁 20주년 기념으로 1999년에 개관한 공원으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광역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며, 부산광역시 조례에 따라 관리된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한강공원
    한강공원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조성된 대규모 공원 시스템으로,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한강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조성되었으며,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문화, 예술, 레저 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제공하며 생태계 보전에도 기여한다.
반월천
기본 정보
옛 [[수인선]] 빈정천철교
수인선 빈정천철교
지리 유형
이름반월천
다른 이름해당 없음
어원해당 없음
나라대한민국
지방경기도
소속해당 없음
발원지수리산
발원지 위치경기도 군포시 속달동
기타 발원지해당 없음
기타 발원지 위치해당 없음
하구반월3교 앞
하구 위치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원리
길이12.69
해당 없음
평균 수심해당 없음
최대 수심해당 없음
최소 수심해당 없음
유역 면적40.90
왼쪽 지류해당 없음
오른쪽 지류해당 없음

2. 하구

반월천의 하구는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야목4리와 안산시 상록구 본오1동이 만나는 부근으로, 원래 바닷가였으나 현재는 지속적인 매립 공사로 인해 실질적인 바다는 시화호 바깥에 있다. 야목4리(빈정마을)에는 조선 시대부터 빈정포(濱汀浦)라는 포구가 있었다.[2]

2. 1. 빈정포

빈정포(濱汀浦)는 조선 시대부터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야목4리(빈정마을)에 있던 포구이다.[2] 1900년을 전후한 시기에는 인천을 거쳐 일본으로 쌀을 유출하기 위한 거점으로, 매송면 일대의 곡물이 빈정포에 모였다.[2]

2. 1. 1. 역사

18~19세기 실학자 우하영은 저서 《천일록》에서 빈정포의 중요성과 활성화 방안을 주장하였다.[3] 우하영은 “충청도 면천 이북에서 경기도 인천 이남 수백여 리 사이에 상선이 정박하는 곳은 오직 옹포·빈정포·송호 세 곳뿐이다. (중략) 이제 만일 관전(官錢)을 급채(給債)해 주어 선주인으로 하여금 빈정촌에 나가 머무르게 하고, 부교(府校) 몇 사람을 옹포와 송호에 파견하여 상선의 출입을 금하게 한다면, 그 형세가 자연 빈정포에 모여들 것이다.”라고 주장하였다.[3]

1796년 전후의 시기에는 양성군의 옹포(甕浦)와 광주군의 송호(松湖)로 경기도의 물류가 집중되어 빈정포와 그 앞 마을은 쇠락하고 있었으나, 1900년을 전후한 시기에 빈정포에는 인천을 거쳐 일본으로 유출할 목적으로 매송면 일대의 곡물이 모여들었다.[2]

‘빈정’은 물가라는 뜻으로, 도로교인 반월3교 앞에 옛 협궤 수인선이 지나던 빈정천철교가 남아 있다.[4] 수인선의 개통으로 빈정포에서 싣고 내리던 물자는 점점 철도를 통해 운송하게 되었다.[5]

2. 1. 2. 쇠퇴와 수인선

수인선 개통으로 빈정포에서 싣고 내리던 물자는 점차 철도를 통해 운송하게 되었다.[5] ‘빈정’은 물가라는 뜻으로, 도로교인 반월3교 앞에 옛 협궤 수인선이 지나던 빈정천철교가 남아 있다.[4]

참조

[1] 서적 한국하천일람 2014 http://www.river.go.[...] 국토교통부 2019-08-11
[2] 서적 경기도박물관 학술총서 경기도3대하천유역 종합학술조사 Ⅲ 《안성천》 1권 ‘환경과 삶’ 경기도박물관 2003-02
[3] 저널 醉石室 禹夏永의 향촌사회발전론 : 正祖代 향촌지식인의 對華城觀 http://www.riss.kr/l[...] 한국실학학회 2019-08-11
[4] 잡지 폐선답사기(13) 수인선 기행 (어천-고잔 구간) 미래테크 2013
[5] 웹사이트 화성 빈정포 - 두산백과 http://www.doop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