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받침꽃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받침꽃과는 녹나무목에 속하는 식물 과이다. 받침꽃아과, 우과나무아과로 구성되며, 납매속, 흑색납매속, Idiospermum 속, 여름납매 속을 포함하기도 한다. 납매와 검은색 납매속 식물이 대표적이며, APG IV 분류 체계에 따라 목련군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받침꽃과 - 납매
    납매는 중국 원산의 낙엽 활엽 관목으로, 섣달에 피는 매화라는 뜻을 가지며, 정원수로 널리 쓰이고 1~2월에 향기로운 노란색 꽃을 피우며, 꽃과 꽃봉오리에서 추출한 납매유는 약용으로 사용되나 종자에는 독성 물질이 있다.
  • 1819년 기재된 식물 - 길뚝개꽃족
    길뚝개꽃족은 국화과의 하위 분류군으로 왜떡쑥족과 함께 참취족과 자매 관계이며, 국화아과 내에서 특정한 계통학적 위치를 차지하는 다양한 아족과 속을 포함한다.
  • 1819년 기재된 식물 - 해바라기족
    해바라기족은 국화과의 큰 족으로, 해바라기, 돼지감자, 금계국, 코스모스 등 다양한 식물들을 포함하며 돼지풀과 같은 문제성 잡초도 속해 있고, 분류학적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식물의 과 - 박과
    박과는 주로 덩굴성 한해살이 식물로, 잎은 어긋나고 꽃은 단성화이며, 오이, 수박, 호박, 멜론 등 채소 및 과일로 재배되거나 약재로 사용되는 페포 열매를 맺는 식물군이다.
  • 식물의 과 - 나한송과
    나한송과는 19개 속으로 분류되며, 잎 모양이 다양하고 암수딴그루인 경우가 많으며, 남반구에 주로 분포하고 목재나 정원수로 이용되기도 한다.
받침꽃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Calycanthus floridus''
Calycanthus floridus
학명Calycanthaceae
명명자Lindl.
분류 체계APG III
식물계
문 (계급 없음)피자식물
강 (계급 없음)목련군
녹나무목
받침꽃과
타입 속L.
로마자 표기Calycanthaceae
일본어ロウバイ科 (로바이카)
Calycanthus (incl. Sinocalycanthus)
Chimonanthus
Idiospermum
Sinocalycanthus
분포 및 화석 기록
화석 범위}} Possible Aptian record
분포 지역서부 및 남동부 북아메리카, 동부 아시아, 퀸즐랜드, 오스트레일리아
계통
아과Calycanthus (세 종; 서부 및 남동부 북아메리카와 동부 아시아의 한 종)
Chimonanthus (여섯 종; 동부 아시아)
Idiospermum (한 종; 퀸즐랜드, 오스트레일리아)
이명
이명 목록우과나무과(Idiospermaceae S.T.Blake)

2. 하위 분류


받침꽃과 내에서 4개의 속을 인정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 납매속
  • 흑색납매속
  • ''Idiospermum''
  • ''Sinocalycanthus'' - 여름납매

2. 1. 아과

받침꽃아과(Calycanthoideae)와 우과나무아과(Idiospermoideae)가 있다.

2. 2. 속

받침꽃아과(Calycanthoideae)와 우과나무아과(Idiospermoideae)가 있다. 받침꽃과 내에서 4개의 속을 인정하는 경우에는 납매속(Chimonanthus), 흑색납매속(Calycanthus), ''Idiospermum'', 여름납매를 포함하는 ''Sinocalycanthus''가 있다.

3. 대표적인 종

납매는 예로부터 정원수로 재배되고 있다. 검은색 납매속 ''Calycanthus''도 비교적 재배하기 쉬워 자주 보이게 되었다.

4. 계통 분류

2016년 APG IV 분류 체계에서는 받침꽃과를 목련군 녹나무목 아래에 분류하며,[5] 이는 2009년 APG III 분류 체계, 2003년 APG II 분류 체계 및 1998년 APG 분류 체계의 분류와 동일하다.[6][7][8]

참조

[1] 웹사이트 Laurales http://www.mobot.org[...] 2023-07-20
[2] 논문 New evidence on the previously unknown gynoecium of Araripia florifera (Araripiaceae, fam. nov.), a magnoliid angiosperm from the Lower Cretaceous (Aptian) of the Crato Konservat-Lagerstätte (Araripe Basin), northeastern Brazil https://doi.org/10.1[...] 2024
[3] 웹사이트 Calycanthaceae http://www.tropicos.[...]
[4] 서적 Botanical Register; consisting of coloured figures of exotic plants cultivated in British gardens with their history and mode of treatment 5: pl. 404. 1819
[5] 저널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https://academic.oup[...]
[6] 저널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https://academic.oup[...]
[7] 저널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 https://academic.oup[...]
[8] 저널 An Ordinal Classification for the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http://www.bergians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