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군사령관 (핀란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핀란드 방위군사령관은 핀란드 방위군의 최고 지휘관으로, 핀란드 대통령이 국무원의 추천을 받아 임명하며, 63세에 법적으로 퇴임한다. 국방부 장관은 장기적인 경제적 측면을 계획하고, 국방참모총장은 방위군의 모든 작전 측면을 책임진다. 방위군사령관은 핀란드 육군, 해군, 공군 사령관, 국방대학교 총장을 주요 지휘 부하로 둔다. 역대 핀란드 방위군사령관 목록은 핀란드군 총장, 전쟁총장, 공화국 방위군사령관, 방위군사령관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2024년 4월 1일 현재 얀 카베리가 현직 사령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 방위군사령관 - 칼 구스타브 에밀 만네르헤임 남작
칼 구스타브 에밀 만네르헤임 남작은 핀란드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핀란드 독립에 기여하고 섭정과 대통령을 역임하며 겨울 전쟁과 계속 전쟁을 이끌었으며 핀란드 원수 칭호를 받았다. - 핀란드 방위군사령관 - 카를 프레드리크 빌카마
카를 프레드리크 빌카마에 대한 정보는 현재 제공되지 않아, 문서 내용을 요약할 수 없다. - 핀란드의 군사 - 핀란드 방위군
핀란드 방위군은 핀란드 대통령의 통솔 하에 국방총장의 지휘를 받으며, 징병제를 기반으로 육군, 해군, 공군, 국경수비대를 운영하고 NATO 가입을 통해 방위력을 강화하며 전면 방위 교리를 통해 국가의 모든 자원을 방위에 활용한다. - 핀란드의 군사 - 방위군대총장
방위군대총장은 핀란드 방위군을 통솔하는 직책이며, 역대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 카를로 유호 스톨베리 등이 역임했고, 현재는 대통령이 겸임한다.
방위군사령관 (핀란드) | |
---|---|
개요 | |
직책 | 핀란드 방위군 사령관 |
원어 명칭 | fi: Puolustusvoimain komentaja (푸올루스투스보이마인 코멘타야) sv: Kommendören för försvarsmakten (콤멘되렌 포르 포르스바르스막텐) |
의미 | 방위군 사령관 |
소속 | 핀란드 방위군 |
지휘 | 대통령, 국방부 장관 |
직속 상관 | 방위사령부 참모총장 |
웹사이트 | 핀란드 방위군 사령관 공식 웹사이트 |
현직 | |
현직 사령관 | 얀네 야콜라 장군 |
취임일 | 2024년 4월 1일 |
임명 | |
임명권자 | 대통령 |
임명 방식 | 정부가 추천 |
역사 | |
설립일 | 1918년 1월 28일 |
초대 사령관 |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 |
2. 역할과 기능
핀란드는 다른 많은 서방 국가들과 달리 방위군 전체를 직접 지휘하는 방위군사령관을 두고 있으며, 참모총장은 별도의 직위이다. 국방참모총장은 방위군의 모든 작전 측면을 책임지고, 국방부 장관은 장기적인 경제적 측면을 계획한다. 행정 문제에 있어서, 국방참모총장은 여단급 이하 부대를 창설하거나 해산할 권한을 가지며, 핀란드 사회, 국가 재정 또는 방위군 인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방위군 지휘 구조를 재편성하는 데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수 있다.[1] 지휘 문제에 있어서, 국방참모총장은 핀란드 대통령에게 유보된 결정을 제외한 모든 지휘 결정을 내릴 권한을 가진다.[2] 국방부 장관 또는 핀란드 대통령에게 유보된 문제에 대해서는, 국방참모총장이 결정을 준비하고 장관 또는 대통령에게 자신의 제안을 제시한다. 국방참모총장 비서실장은 국방참모총장의 직속 부하이다.[3]
2. 1. 주요 지휘 부하
2. 2. 임명 및 퇴임
핀란드 방위군 총사령관은 핀란드 국무원의 추천을 받아 대통령이 임명하며, 사유가 발생할 때마다 퇴임을 요청받을 수 있다. 그러나 1972년 이후, 모든 핀란드 방위군 총사령관은 법정 퇴직 연령인 63세를 채운 후에만 퇴임했다.[1]3. 역대 핀란드 방위군 총사령관 목록
역대 핀란드 방위군 총사령관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이 직책은 시대에 따라 명칭이 여러 번 변경되었다.[9]
직책 | # | 사진 | 성명 (생몰년) | 취임일 | 퇴임일 | 재임 기간 | 계급 | 군종 |
---|---|---|---|---|---|---|---|---|
핀란드군 총장 | 1 | ![]() | 카를 프레드릭 빌크만 (1876년-1947년) | 1919년 1월 1일 | 1919년 6월 19일 | 169일 | 소장 | 육군 |
2 | 카를로 에드바르드 키베캐스 (1866년-1940년) | 1919년 6월 20일 | 1919년 9월 11일 | 83일 | 소장 | 육군 | ||
전쟁총장 | (1) | 카를 프레드릭 빌크만 (1876년-1947년) | 1919년 9월 12일 | 1924년 8월 7일 | 4년 330일 | 소장 → 중장 | 육군 | |
3 | ![]() | 빌호 페테르 네노넨 (1883년-1960년) | 1924년 8월 8일 | 1925년 4월 16일 | 251일 | 중장 | 육군 | |
4 | ![]() | 라우리 말름베리 (1888년-1948년) | 1925년 4월 16일 | 1925년 10월 1일 | 168일 | 엽병대령 | 육군 | |
(1) | 카를 프레드릭 빌크만 (1876년-1947년) | 1925년 10월 2일 | 1926년 5월 21일 | 231일 | 중장 | 육군 | ||
5 | ![]() | 아르네 시흐보 (1889년-1963년) | 1926년 5월 21일 | 1933년 1월 15일 | 6년 239일 | 중장 | 육군 | |
6 | ![]() | 후고 빅토르 외스테르만 (1892년-1975년) | 1933년 1월 15일 | 1939년 10월 16일 | 6년 274일 | 중장 | 육군 | |
7 | ![]() |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 남작 (권한대행) (1867년-1951년) | 1939년 10월 17일 | 1939년 11월 20일 | 34일 | 전쟁원수 | 육군 | |
공화국 방위군사령관 | (7) | -- |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 남작 (1867년-1951년) | 1939년 11월 20일 | 1945년 1월 12일 | 5년 53일 | 핀란드의 원수 | 육군 |
방위군사령관 | 8 | ![]() | 에리크 헤인리히스 (1890년-1965년) | 1945년 1월 12일 | 1945년 7월 1일 | 170일 | 보병대장 | 육군 |
9 | ![]() | 야를 룬드크비스트 (1896년-1965년) | 1945년 7월 2일 | 1946년 6월 2일 | 336일 | 중장 | 공군 | |
(5) | -- | 아르네 시흐보 (1889년-1963년) | 1946년 6월 4일 | 1953년 5월 31일 | 6년 361일 | 보병대장 | 육군 | |
10 | ![]() | 카를로 헤이스카넨 (1894년-1962년) | 1953년 6월 1일 | 1959년 10월 28일 | 6년 149일 | 보병대장 | 육군 | |
11 | ![]() | 사카리 시멜리우스 (1900년-1985년) | 1959년 10월 29일 | 1965년 11월 12일 | 5년 348일 | 보병대장 | 육군 | |
12 | ![]() | 위리외 케이노넨 (1912년-1977년) | 1965년 11월 13일 | 1969년 4월 30일 | 3년 199일 | 보병대장 | 육군 | |
13 | -- | 카를로 레이노넨 (1914년-1975년) | 1969년 5월 1일 | 1974년 3월 14일 | 4년 317일 | 대장 | 육군 | |
14 | -- | 라우리 수텔라 (1918년-2011년) | 1974년 3월 15일 | 1983년 10월 11일 | 9년 210일 | 대장 | 육군 | |
15 | ![]() | 야코 발타넨 (1925년-) | 1983년 10월 12일 | 1990년 2월 28일 | 6년 139일 | 대장 | 육군 | |
16 | 얀 클렌베르그 (1931년-) | 1990년 3월 1일 | 1994년 10월 31일 | 4년 244일 | 제독 | 해군 | ||
17 | ![]() | 구스타브 해글룬드 (1938년-) | 1994년 11월 1일 | 2001년 6월 3일 | 6년 214일 | 대장 | 육군 | |
18 | ![]() | 유하니 카스케알라 (1946년-) | 2001년 6월 4일 | 2009년 7월 31일 | 8년 57일 | 제독 | 해군 | |
19 | ![]() | 아리 푸헬로이넨 (1951년-) | 2009년 8월 1일 | 2014년 7월 31일 | 4년 364일 | 대장 | 육군 | |
20 | ![]() | 야르모 린드베르그 (1959년-) | 2014년 8월 1일 | 2019년 8월 1일 | 5년 | 대장 | 공군 | |
21 | ![]() | 티모 키비넨 (1959년-) | 2019년 8월 1일 | 현재 | 대장 | 육군 |
3. 1. 핀란드군 총장 (Suomen armeijan päällikkö)
Suomen armeijan päällikköfi (직역하면 '핀란드 육군 총장')는 1919년 1월 1일부터 1919년 9월 11일까지 핀란드군의 수장이었다.[9]# | 성명 | 취임 | 퇴임 | 기간 | 계급 | 군종 |
---|---|---|---|---|---|---|
1 | 카를 프레드릭 빌크만 (1876년-1947년) | 1919년 1월 1일 | 1919년 6월 19일 | 169일 | 소장 | 육군 |
2 | 카를로 에드바르드 키베캐스 (1866년-1940년) | 1919년 6월 20일 | 1919년 9월 11일 | 83일 | 소장 | 육군 |
3. 2. 전쟁총장 (sotaväen päällikkö)
sotaväen päällikköfi 직을 1919년 9월 12일부터 1939년 11월 20일까지 역임한 사람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성명 | 취임 | 퇴임 | 기간 | 계급 | 군종 |
---|---|---|---|---|---|---|
(1) | 카를 프레드릭 빌카마 | 1919년 9월 12일 | 1924년 8월 7일 | 4년 330일 | 소장 → 중장 | 육군 |
3 | 빌호 페테르 네노넨 | 1924년 8월 8일 | 1925년 4월 16일 | 251일 | 중장 | 육군 |
4 | 라우리 말름베리 | 1925년 4월 16일 | 1925년 10월 1일 | 168일 | 엽병대령 | 육군 |
(1) | 카를 프레드릭 빌카마 | 1925년 10월 2일 | 1926년 5월 21일 | 231일 | 중장 | 육군 |
5 | 아르네 시흐보 | 1926년 5월 21일 | 1933년 1월 15일 | 6년 239일 | 중장 | 육군 |
6 | 후고 빅토르 외스테르만 | 1933년 1월 15일 | 1939년 10월 16일 | 6년 274일 | 중장 | 육군 |
7 |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 남작 (권한대행) | 1939년 10월 17일 | 1939년 11월 20일 | 34일 | 전쟁원수 | 육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