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지금니금강 및 보문발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백지금니금강 및 보문발원(白紙金泥金剛 및 普門發願)은 고려 공민왕 20년(1371년)에 비구니 묘지(妙智)와 묘수(妙殊)가 시주하여 만든 사경(寫經)입니다. 흰 종이에 금분(金粉)으로 글씨를 쓰고 그림을 그렸으며, 병풍처럼 펼쳐지는 절첩(折帖) 형태입니다. 2000년 12월 2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303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직지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내용 구성:
- 권수(卷首): 일반적인 경변상(經變相)과는 다른 구도의 협시보살을 거느린 불상과 관음보살상이 금니(金泥)로 묘사되어 있습니다.
- 본문:
-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密經): 줄여서 금강경이라고 하며, 석가모니가 수보리의 질문에 답하며 반야사상을 설명한 경전입니다.
- 묘법연화경 관세음보살 보문품 제25(妙法蓮華經 觀世音菩薩 普門品第二十五): 묘법연화경(법화경)의 일부로, 관세음보살을 통해 재앙에서 구제받는 내용과 관세음보살의 32가지 응신(應身)이 서술되어 있습니다.
- 영가대사 발원문(永嘉大師 發願文): 당나라 현각선사의 '선종영가집(禪宗永嘉集)'에 수록된 발원문입니다.
- 권말(卷末): "홍무 4년 신해 7월 일지(洪武四年辛亥七月日誌), 시주 비구니묘지(施主比丘尼妙智), 동원 비구니 묘수(同願比丘尼妙殊)"라는 지기(識記)가 있어 제작 시기와 시주자를 알 수 있습니다.
형태 및 특징:
- 절첩본(折帖本): 병풍처럼 접었다 펼 수 있는 형태입니다.
- 크기: 가로 9.2㎝, 세로 23.2㎝ (디지털김천문화대전) 또는 23.3×9.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표지: 감색 종이에 금은니(金銀泥)로 그린 보상화문으로 장식되어 있습니다.
- 변상도: 책머리에 백지에 금니로 그린 여래삼존도와 수월관음도 등 2폭의 변상도가 있습니다.
- 서체: 고려 말에 일반적으로 쓰인 안진경체(顔眞卿體)입니다.
- 피휘결획(避諱缺劃): 고려본에서만 적용되는 특징으로, 연호의 "武"자가 혜종의 이름이므로 내리긋는 획을 생략했습니다.
가치:백지금니금강 및 보문발원은 고려 시대의 사경 제작 기술과 불교 신앙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특히, 금니로 정교하게 쓰인 글씨와 그림은 뛰어난 예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백지금니금강 및 보문발원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백지금니금강 및 보문발원 |
로마자 표기 | Baekjigeumni geumgang mit bomun barwon |
꼬리표 | 김천 직지사 |
상세 정보 | |
유형 | 보물 |
지정 번호 | 1303 |
지정일 | 2000년 12월 22일 |
시대 | 고려시대 |
소유자 | 직지사 |
주소 |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북암길 89, 직지사 성보박물관 (운수리) |
문화재청 ID | 12,13030000,37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