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버로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인은 13세기까지 볼츠호 동쪽에 거주했던 우간디 부족 집단에서 기원한 에스토니아의 지역 집단이다. 현대의 볼인은 에스토니아인과 마찬가지로 이름-성 순서의 이름을 사용하지만, 과거에는 성-이름 순서의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다. 볼 지역 운동은 볼인을 에스토니아인과 동등한 소수 민족으로 주장하거나, 볼 지방의 애향심을 자극하여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는 두 가지 흐름으로 나뉜다. 소비에트 연방으로부터 에스토니아의 독립 회복 직후에는 소수 민족 정체성을 주장하는 급진적인 입장이 강했으나, 현재는 지역 활성화를 위한 온건한 운동이 주류를 이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스토니아의 민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에스토니아의 민족 - 오세트인
    오세트인은 러시아 북오세티아-알라니아와 조지아 남오세티아에 주로 거주하며 사르마티아인, 특히 알란족의 후예로 여겨지는 이란계 민족으로, 오세티아어를 사용하며 이론인과 디고르인으로 나뉘고, 알라니아 왕국 건설, 몽골 제국 침략, 여러 갈등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독특한 문화와 전통, 아시안니즘 신앙을 지니고 있다.
버로인
일반 정보
버로 깃발
버로 깃발
명칭버로인
버로어: Võrokõsõq
에스토니아어: Võrukesed
핀란드어: Võrolaiset
인구50,000 ~ 70,000명 (에스토니아 인구의 약 4~7%)
거주 지역에스토니아
라트비아
프스코프 주
언어버로어, 에스토니아어
종교동방 정교회, 복음 루터교
관련 민족에스토니아인, 세투인
언어 정보
버로어 발음 (IPA)vɤrokɤsəʔ
기타 정보
추가 정보에스토니아의 버로인들은 자신들을 토착민으로 선언하고 언어 인정을 원한다.

2. 역사

버로인(Võro)의 조상으로는 13세기까지 Võrtsjärv|볼츠호est 동쪽에 거주했던 부족(언어) 집단인 "Ugandi|우간디est"가 여겨진다.[9]

에스토니아인의 이름은 이름-성 순서이며, 현대의 버로인도 마찬가지로 이름-성 순서의 이름을 가진다.[10] 그러나 과거 버로 지식인들은 성-이름 순서의 이름을 사용하는 습관이 있었다.[10] 현대에도 예를 들어


  • Ülle Kahuskest → Kauksi Üllevro
  • Jaan Pulk → Pulga Jaanvro
  • Sulev Iva → Jüvä Sullõvvro

등과 같이 성-이름 순서의 이름을 통칭이나 필명으로 사용하는 버로 지식인이 존재한다.[10]

2. 1. 현대

일반적으로 세투인과 마찬가지로 에스토니아인의 하위 집단으로 간주되며, 에스토니아 정부 통계 등에서도 에스토니아인과의 구별은 이루어지지 않는다.[4] 또한, 많은 버로인들도 스스로를 에스토니아인의 일부로 여기며, 버로인을 에스토니아인과 구별하려는 시각에 오히려 난색을 표한다.[5]

세투인과는 달리, 버로인의 종교나 민족 의상은 다른 에스토니아인의 것과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버로 지역(민족) 운동은 대부분 보로어와 그 구전 문학의 독자성에 의존하고 있다.[6] 따라서 '보로어 능력을 가진 사람'을 버로인으로 보는 기준도 있지만, 최근에는 보로어 자체가 일상생활에서 점차 사라지고 있어 이 정의를 따르기 어렵게 되었다.[7]

'보로 지방에서 태어나 자란 사람'이라는 또 다른 정의를 사용하면, 소수 민족 문화 자치법에 따른 문화적 자치를 누릴 수 있는 인구 기준(3000명 이상)은 쉽게 충족된다.[7] 그러나 일반 버로인과 지역 운동 지도자 모두 자신을 에스토니아인의 일부로 규정하기 때문에, 소수 민족 문화 자치법의 적용은 고려 대상에서 벗어나 있다.[7]

> 보로인은 에스토니아인보다 에스토니아적이 되기를 원합니다. 보로 라디오에서 근무할 때 깨달은 점인데, 에스토니아에서는 영어 라디오 방송이 아무 문제 없이 흘러나오는데, 보로에서는 영어도 아니고, 그렇다고 보로어 노래도 아닌, 에스토니아어 노래를 듣고 싶어 합니다.

> — 카우크시 윌레[8]

3. 문화

버로인(Võrovro)의 조상으로는 13세기까지 볼츠호Võrtsjärv|볼츠호est 동쪽에 거주했던 부족(언어) 집단인 우간디Ugandi|우간디est가 여겨진다.[9]

3. 1. 이름

에스토니아인처럼 현대 버로인도 일반적으로 이름 뒤에 성을 쓰는 순서를 따른다.[10] 하지만 과거 버로 지식인 중에는 성을 이름 앞에 쓰는 경우도 있었다.[10] 오늘날에도 일부 버로 지식인들은 다음과 같이 성-이름 순서의 이름을 통칭이나 필명으로 사용하기도 한다.[10]

  • Ülle Kahuskest → Kauksi Üllevro
  • Jaan Pulkest → Pulga Jaanvro
  • Sulev Ivaest → Jüvä Sullõvvro

4. 지역 운동

버로인 사이에서는 자신들의 정체성과 보로어 및 구전 문학의 독자성을 중심으로 한 지역 운동이 전개되고 있다.[6] 이 운동은 주로 보로어 보존 문제와 버로 지역의 정체성 확립을 목표로 한다.

버로 지역 운동에는 크게 두 가지 흐름이 존재한다.[11] 하나는 버로인을 세투인과 같이 에스토니아인과는 별개의 소수 민족으로 인정받으려는 입장이며,[11][12] 다른 하나는 버로인을 에스토니아인의 하위 집단으로 인정하면서 지역의 문화적 특성을 보존하고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려는 입장이다.[13] 소비에트 연방으로부터 에스토니아가 독립을 회복한 직후에는 전자의 입장이 강했으나, 점차 후자와 같이 온건한 방식으로 정체성 인정과 계몽을 추구하는 운동이 주류가 되었다.[14] 두 흐름 모두 에스토니아로부터의 분리 독립이나 자치권 확보와 같은 강한 정치적 요구는 하지 않는다.[14]

4. 1. 소수 민족 정체성 주장

일반적으로 세투인처럼 에스토니아인의 하위 집단으로 여겨지며, 에스토니아 정부 통계 등에서도 별도로 구분하지 않는다.[4] 많은 버로인 스스로도 비슷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어, 자신들을 에스토니아인과 다른 민족으로 보는 시각에 동의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5]

세투인과 달리 버로인의 종교나 민족 의상은 다른 에스토니아인과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버로 지역(민족) 운동은 주로 보로어와 그 구전 문학의 독자성에 기반을 둔다.[6] 하지만 최근 보로어 자체가 일상생활에서 점차 사라지고 있어, 언어 능력을 기준으로 버로인을 정의하기는 어려워지고 있다.[7]

"보로마에서 태어나 자란 사람"이라는 정의를 적용하면, 에스토니아의 "소수 민족 문화 자치법"(et)에 따른 문화적 자치 기준 인구(3,000명 이상)는 충족할 수 있다.[7] 그러나 일반 버로인과 지역 운동 지도자 모두 스스로를 에스토니아인의 일부로 여기기 때문에, 이 법의 적용은 고려 대상이 아니다.[7]

작가 Kauksi Ülle|카우크시 윌레et는 버로인의 정체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 "버로인은 에스토니아인보다 더 에스토니아적이기를 원합니다. 버로 라디오에서 일할 때 깨달은 점인데, 에스토니아에서는 영어 라디오 방송이 아무 문제 없이 흘러나오지만, 버로에서는 영어도 아니고 보로어 노래도 아닌, 에스토니아어 노래를 듣고 싶어 합니다."[8]

버로 지역 운동에는 두 가지 주요 흐름이 존재한다.[11]

  • 첫 번째 흐름은 버로인을 세투인과 함께 에스토니아인과 동등한 소수 민족으로 인정받으려는 입장이다. Kauksi Ülle|카우크시 윌레et, Kaido Kama|카이도 카마영어 등이 대표적이며[11], 이들은 러시아의 핀 우그르족인 코미인, 마리인, 우드무르트인과 연대하여 유럽 연합 등 국제기구에 보로어를 "소수 민족어"로 지정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12]
  • 두 번째 흐름은 버로인이 현재 에스토니아인의 하위 집단임을 인정하면서, 보로 지역의 애향심을 고취시켜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려는 입장이다. Enn Kasak|엔 카사크et 등이 대표적이며[13], 이들은 보로어를 "소수 민족어"가 아닌 "지역어"로 지정하여 지역 주민의 자긍심을 높이고 도시로의 인재 유출과 인구 감소를 막으려 한다.[13]


소비에트 연방으로부터 에스토니아가 독립을 회복한 직후에는 소수 민족 지위를 주장하는 첫 번째 흐름이 강했으나[14], 이후에는 지역 활성화를 추구하는 두 번째 흐름과 같이 온건한 방식으로 정체성을 인정받고 계몽하려는 운동이 주류가 되었다. 다만 두 흐름 모두 에스토니아로부터의 독립이나 자치와 같은 강한 정치적 요구를 하지는 않는다.[14]

4. 2. 지역 활성화 운동

일반적으로 세투인과 마찬가지로 에스토니아인의 하위 집단(서브 내셔널리티)으로 간주되며, 에스토니아 정부 통계 등에서도 에스토니아인과의 구별은 이루어지지 않는다[4]。 또한, 많은 버로인들도 유사한 자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버로인을 에스토니아인과 대비시키는 시각에 오히려 난색을 표한다[5]

세투인과는 달리, 버로인의 종교나 민족 의상은 다른 에스토니아인의 것과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버로 지역(민족) 운동은 그 대부분을 보로어와 그 구전 문학의 독자성에 의존하고 있다[6]。 따라서 "보로어 능력을 가진 자"를 버로인으로 하는 판정 기준도 있지만, 최근에는 보로어 자체가 일상생활에서 사라져 가고 있기 때문에, 이 정의에 따르는 것은 곤란하다[7]

"버로 지방에서 태어나 자란 사람"이라는 또 다른 정의를 사용해도, "소수 민족 문화 자치법"(et)에 근거한 문화적 자치를 향유하는 인구 기준(3000명 이상)은 쉽게 충족된다[7]。 그러나 일반 버로인에게도, 지역 운동 지도자에게도, 자신을 에스토니아인의 일부로 규정하기 때문에, 소수 민족 문화 자치법의 적용은 고려 범위 밖으로 여겨진다[7]

보로인은 에스토니아인보다 에스토니아적이 되기를 원합니다. 보로 라디오에서 근무할 때 깨달은 점인데, 에스토니아에서는 영어 라디오 방송이 아무 문제 없이 흘러나오는데, 보로에서는 영어도 아니고, 그렇다고 보로어 노래도 아닌, 에스토니아어 노래를 듣고 싶어 합니다.

— 카우크시 윌레[8]


버로 지역 운동에는 두 가지 흐름이 존재한다[11]。 하나는 버로인을 세투인과 함께 에스토니아인과 동등한 소수 민족으로 주장하는 유형이다. 카우크시 윌레, 카이도 카마 및 유바 등이 이 입장을 지지한다[11]。 이들은 러시아의 핀 우그르족인 코미인, 마리인우드무르트인과도 연계하여, 에스토니아 정부가 아닌 유럽 연합과 같은 국제 기구에 보로어의 "소수 민족어" 지정을 호소하고 있다[12]

다른 하나는 버로인이 현재 에스토니아인의 하위 집단임을 인정하면서 버로 지방의 애향심을 자극하여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는 유형이다. 엔 카사크(et) 등이 대표적이다[13]。 이들은 보로어를 "소수 민족어"가 아닌 "지역어"로 지정하여 지역 주민의 자의식을 높이고, 도시로의 인재 유출과 인구 감소를 막으려 한다[13]

소비에트 연방으로부터의 에스토니아의 독립 회복 직후에는 전자와 같은 급진적인 입장의 세력이 강했다[14]。 그러나 이후에는 후자와 같이 온건한 방식으로 보로어와 문화에 대한 인정을 요구하고 알리는 운동이 주류가 되었다. 다만 두 입장 모두 에스토니아로부터의 독립이나 자치와 같은 강한 정치적 요구를 하지는 않는다[14]

참조

[1] 웹사이트 Eesti Emakeelega Püsielanikud Murdekeele Oskuse Ja Soo Järgi, 31. Detsember 2011 http://pub.stat.ee/p[...] Statistikaamet, Pub.stat.ee 2014-08-23
[2] 웹사이트 Estonia's Võros declare themselves indigenous, want language recognized https://news.err.ee/[...] 2023-04-27
[3] 웹사이트 Võros https://eng.fennougr[...] MTÜ Fenno-Ugria Asutus 2019-04-28
[4] 서적 寒水 (1998)
[5] 서적 寒水 (1998)
[6] 서적 寒水 (1998)
[7] 서적 寒水 (1998)
[8] 서적 寒水 (1998)
[9] 서적 寒水 (1998)
[10] 서적 寒水 (1998)
[11] 서적 寒水 (1998)
[12] 서적 寒水 (1998)
[13] 서적 寒水 (1998)
[14] 서적 寒水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