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버펄로 브레이브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버펄로 브레이브스는 1970년부터 1978년까지 활동한 NBA 확장팀이었다. 1970년 창단되어 1970-71 시즌에 리그에 참가했으며, 밥 코프먼, 밥 맥아두 등의 선수와 잭 램지 감독의 지휘 아래 1973-74 시즌 플레이오프에 처음 진출했다. 1974-75 시즌에는 맥아두가 MVP를 수상하기도 했다. 팀은 1975-76 시즌까지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구단주와 지역 사회의 갈등, 선수 매각 등으로 인해 쇠퇴했다. 결국 샌디에이고로 연고지를 이전하여 샌디에이고 클리퍼스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8년 해체된 스포츠 클럽 - 휴스턴 에어로스 (WHA)
    휴스턴 에어로스는 1970년대 세계 하키 협회(WHA)에서 활동하며 4번의 서부 디비전 우승과 2번의 AVCO 월드 트로피 우승을 차지했으나, NHL 합류에 실패하여 1978년 해체되었다.
  • 1970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는 오리건주 포틀랜드 연고의 NBA 프로 농구 팀으로, 1977년 우승과 "블레이저매니아" 열풍, 클라이드 드렉슬러, 빌 월턴, 데미안 릴라드 등 명예의 전당 선수 배출, 모다 센터 홈 경기장 사용, 그리고 2023년부터 진행 중인 리빌딩으로 특징지어진다.
  • 1970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유타 스타스
    유타 스타스는 1967년 창단하여 ABA 리그에서 활동하며 1971년 우승한 프로 농구팀으로, 재정난으로 해체되었지만 솔트레이크시티에 프로 농구팀 유치 가능성을 보여주어 NBA 유타 재즈 창단에 기여했다.
  • 연고지를 이전한 전미 농구 협회 팀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는 1946년 창단되어 미네소타를 거쳐 로스앤젤레스로 연고지를 옮긴 NBA 농구팀으로, 17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NBA 최다 우승팀 중 하나이다.
  • 연고지를 이전한 전미 농구 협회 팀 -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는 NBA 서부 컨퍼런스 퍼시픽 디비전 소속의 로스앤젤레스 연고 프로 농구단으로, 1970년 창단 후 샌디에이고를 거쳐 로스앤젤레스로 이전했으며, '롭 시티' 시대를 거쳐 카와이 레너드와 폴 조지 영입 후 서부 컨퍼런스 우승을 노리고 2024-25 시즌부터 인튜이트 돔으로 이전할 예정이다.
버펄로 브레이브스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버펄로 브레이브스 로고
창단1970년
해체1978년
역사버펄로 브레이브스 (1970년–1978년)
샌디에이고 클리퍼스 (1978년–1984년)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1984년–현재)
경기장버펄로 메모리얼 오디토리움
연고지뉴욕주 버펄로
상징색검정, 하양, 오렌지, 컬럼비아 블루
일반
리그NBA
콘퍼런스동부 콘퍼런스 (1970년~1978년)
디비전애틀랜틱 디비전 (1970년~1978년)
구단 정보
구단주존 Y. 브라운 주니어
해리 T. 맹규리언 주니어 (마지막 구단주)
단장에디 도노반 (1970년–1975년) (마지막 단장)
코칭 스태프
감독돌프 셰이스 (1970년–1972년)
조니 매카시 (1972년)
잭 램지 (1972년–1976년)
테이츠 로크 (1976년–1977년)
밥 맥키넌 (1977년)
조 멀레이니 (1977년)
코튼 피츠시몬스 (1977년–1978년) (마지막 감독)
우승 기록
리그 우승없음
콘퍼런스 우승없음
디비전 우승없음
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진출3회
1974년
1975년
1976년

2. 역사

1970-71 NBA 시즌에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와 함께 NBA 확장 팀으로 창단되었다.[6] 초기에는 뉴욕 시의 투자 회사 Neuberger Loeb이 소유했으나, 리그가 팀을 통제하게 되었고, 이후 기업가 폴 스나이더가 400만달러에 프랜차이즈를 인수했다.[6] 버펄로 기념 강당에서 홈 경기를 치렀으며, 버팔로 세이버스, 캐니시우스 칼리지 골든 그리핀스와 경기장을 공유했다.[4] 1971년부터 1975년까지 토론토메이플 리프 가든스에서 총 16번의 홈 경기를 치르기도 했다.[4] NBA는 이전에 로체스터 로열스와 시라큐스 내셔널스(현재 각각 새크라멘토 킹스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두 팀을 업스테이트 뉴욕에 보유했었다.

초대 헤드 코치는 농구 명예의 전당 헌액자 돌프 셰이스였으며, 첫 스타 선수는 밥 코프먼과 돈 메이였다.[6] 1970년 NBA 드래프트에서 캘빈 머피를 놓치고 존 험머를 지명했다. 첫 시즌은 22승 60패로 부진했지만, 코프먼은 1971년 NBA 동부 컨퍼런스 올스타 팀에 선정되었다.

1972-73 시즌에는 잭 램지 박사를 새로운 헤드 코치로 맞이했지만, 21승 61패로 부진했다.[1] 1972년 10월 20일 보스턴 셀틱스와의 경기에서 4쿼터에 58점을 기록하며 NBA 한 쿼터 최다 득점 기록을 세웠다.[1] 같은 시즌, 밥 맥아두를 드래프트했다.[1] 1974년에는 처음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셀틱스에 패했다.[1] 그 시즌, 맥아두는 평균 30.6득점과 15.1리바운드를 기록했고, 신인 어니 디그레고리오는 NBA 신인상을 수상했다.[1]

어니 디그레고리오는 1973-74 시즌 NBA 신인상을 수상했다.


밥 매카두는 1974–75 시즌 NBA MVP로 선정되었다.


1974-75 시즌에 밥 매카두는 NBA MVP를 수상했다.[1] 브레이브스는 1974-75 시즌과 1975–76 시즌 모두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1]

1976년까지 구단주 스나이더는 팀 매각 압박에 직면했다.[6] 제임스 뎀스케 신부와의 갈등으로 인해 팀 매각을 결정했다.[6] 1976년, 존 Y. 브라운 주니어에게 프랜차이즈를 매각했고, 브라운은 팀을 해체하기 시작했다.[6] 모제스 말론 등을 트레이드했고, 팀은 마지막 2년간 부진한 성적과 관중 수 감소를 겪었다.[6] 존 Y. 브라운은 어브 레빈과 팀을 교환하는 계약을 협상했고, NBA 구단주들은 팀 이전을 허용했다.[9][10] 1977–78 시즌 이후 샌디에이고로 이전하여 샌디에이고 (현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가 되었다.[9][10]

2. 1. 창단과 초기 (1970-1972)

브레이브스는 1970-71 시즌에 경기를 시작한 세 개의 NBA 확장 팀 중 하나였다(다른 팀들은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였다). 원래 버팔로와 거의 관련이 없는 뉴욕 시의 투자 회사인 Neuberger Loeb이 소유했으나, 일련의 실수로 인해 팀이 프리시즌 경기를 치르기도 전에 리그가 팀을 통제하게 되었다. 개막일 밤, 당시 33세였던 기업가 폴 스나이더는 Freezer Queen 사업 매각으로 최근 현금을 확보하여 400만달러에 프랜차이즈를 인수했다.[6] 브레이브스는 버팔로 기념 강당에서 홈 경기를 치렀으며, 내셔널 하키 리그(NHL)의 버팔로 세이버스(1970년 창단)와 지역 대학 농구 팀인 캐니시우스 칼리지 골든 그리핀스와도 경기장을 공유했다. 브레이브스는 경기 날짜 선택에서 세이버스와 캐니시우스 칼리지에 이어 세 번째 순위였기 때문에, 1971년부터 1975년까지 토론토메이플 리프 가든스에서 총 16번의 홈 경기를 치렀다. 이는 강당의 일정 문제를 해결하고 웨스턴 뉴욕 너머 광역 토론토 지역까지 팬층을 확장하기 위한 목적이었다.[4] NBA는 이전에 업스테이트 뉴욕에 로체스터 로열스와 시라큐스 내셔널스(현재 각각 새크라멘토 킹스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두 팀을 보유했었다. 2022년 현재, 브레이브스는 뉴욕 시(뉴욕 닉스브루클린 네츠 소재)를 제외한 뉴욕주에 기반을 둔 마지막 NBA 팀이다.

팀의 초대 헤드 코치는 농구 명예의 전당 헌액자 돌프 셰이스였으며, 프랜차이즈의 첫 번째 스타 선수는 1970년 NBA 확장 드래프트에서 영입된 밥 코프먼과 돈 메이였다. 그러나 1970년 NBA 드래프트에서 버팔로는 나이아가라 대학교 출신의 고향 영웅인 캘빈 머피를 놓치고, 대신 프린스턴 대학교 졸업생 존 험머를 1라운드 지명으로 선택했다. 머피는 결국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첫 해 확장 팀의 전형적인 모습처럼, 브레이브스는 22승 60패라는 처참한 성적을 기록했으며, 확장 동료 팀인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는 15승 67패로 7게임 차이로 앞섰다. 전년도에 시카고 불스에서 경기당 평균 4.3점을 기록했던 코프먼은 경기당 20.4점으로 버팔로의 득점을 이끌었고, 1971년 NBA 동부 컨퍼런스 올스타 팀에 선정되었다.

2. 2. 잭 램지 감독 시대와 플레이오프 진출 (1972-1976)

1972-73 시즌에 팀은 잭 램지 박사를 새로운 헤드 코치로 맞이했지만, 21승 61패로 약간 부진했다.[1] 1972년 10월 20일 시즌 다섯 번째 경기에서 브레이브스는 보스턴 셀틱스를 상대로 4쿼터에 58점을 기록하며 NBA 한 쿼터 최다 득점 기록을 세웠고, 이 기록은 아직까지 깨지지 않고 있다.[1] 하지만, 당시 셀틱스는 이미 브레이브스를 103-60으로 크게 앞서고 있었고, 마지막 쿼터에 교체 선수들을 투입하면서 브레이브스가 반격할 수 있었다.[1] 브레이브스는 셀틱스보다 58-23으로 더 많은 점수를 냈지만, 결국 126-118로 패했다.[1]

같은 시즌, 브레이브스는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에서 포워드/센터 밥 맥아두를 드래프트했다.[1] 1974년, 브레이브스는 처음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셀틱스와 맞붙었지만 6경기 만에 패했다.[1] 그 시즌, 맥아두는 평균 30.6득점과 15.1리바운드를 기록했는데, 이는 NBA 역사상 한 선수가 한 시즌에 평균 30득점 이상, 15리바운드 이상을 기록한 마지막 사례이다.[1] 또한, 브레이브스의 신인 어니 디그레고리오는 NBA 신인상을 수상했다.[1]

1974-75 시즌에 밥 매카두는 평균 34.5득점, 14.1리바운드, 2.12블록을 기록하고 야투 성공률 51.2%와 자유투 성공률 80.5%를 기록하며 NBA MVP를 수상했다.[1] 브레이브스는 1974-75 시즌과 1975–76 시즌 모두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며, 1975-76 시즌은 버펄로에서 그들이 마지막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해였다.[1]

2. 3. 혼란과 쇠퇴 (1976-1978)

브레이브스는 당시 코트 안팎에서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고 있었다. 팬 수는 리그 평균에 가까웠고, 방송 시청률도 좋았으며, 꾸준한 수익을 올리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76년까지 구단주 스나이더는 팀을 매각하고 버펄로에서 내보내라는 압박에 직면했다.[6]

브레이브스는 오드(기념 경기장)에서 세 번째 경기 날짜만 배정받았는데, 이 때문에 NBA 전체는 세이버스와 그리핀스가 일정을 확정하기 전까지 일정을 확정하고 텔레비전 계약을 체결할 수 없었다. NBA는 이를 견딜 수 없다고 판단하여 스나이더에게 5년 안에 문제를 해결하라고 지시했다. 스나이더는 오드에서 좋은 홈 경기 날짜를 잡기 어렵게 만든 것에 대해 카네시우스 대학 총장 제임스 뎀스케 신부를 비난했다. 스나이더는 뎀스케에게 토요일 밤 경기 날짜를 브레이브스에 넘겨주는 대가로 경기당 12.5만달러를 제안했지만, 뎀스케는 브레이브스가 대학 농구의 리틀 쓰리 라이벌 관계에 위협이 된다고 믿고 거절했다. 5년의 마감 기한이 지나자, 스나이더는 새로운 경기장을 건설하거나 팀을 매각해야 했다. 당시 새로운 경기장을 건설하는 것은 재정적으로 어려웠고, 스나이더는 팀을 매각할 수밖에 없었다.[6]

스나이더는 버펄로의 구 귀족 계층을 대표하는 세이버스 소유주 노스롭과 세이모어 녹스와 갈등을 빚었는데, 반면 스나이더는 ''신흥 부자''였다. 스나이더는 이러한 갈등이 스포츠 구단주로서의 경험 부족 때문이라고 생각하며, 하키 경쟁에 대해 더 화해적인 태도를 보였다.[6]

1976년 6월 15일, 버펄로의 ''쿠리어-익스프레스''는 "브레이브스, '하키 타운'을 떠나 플로리다로 가다"라는 헤드라인을 보도했다. 스나이더는 호텔 소유주 어빙 코완에게 팀을 610만달러에 매각하기로 합의했고, 코완은 브레이브스를 마이애미 외곽의 할리우드 스포타토리움으로 옮길 계획이었다. 그러나 버펄로 시는 이 이적을 막기 위해 1,000만 달러의 손해 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결국 매각은 무산되었고, 브레이브스와 시는 7월에 새로운 15년 기념 강당 임대 계약을 체결했는데, 어떤 시즌에도 팀이 5,000장의 시즌 티켓을 판매하지 못하면 임대 계약이 무효화될 수 있다는 조항이 있었다. 그해 여름, 스나이더는 프랜차이즈의 50%를 아메리칸 농구 협회 (ABA)의 켄터키 콜로넬스를 소유했던 사업가 존 Y. 브라운 주니어에게 매각했다. 브라운은 나중에 1976-77 시즌 중 스나이더로부터 나머지 지분을 인수했고, 그 지분을 또 다른 사업가 해리 T. 망구리안 주니어에게 재판매했다.[6]

브라운과 망구리안은 브레이브스를 해체하기 시작했다. 램지는 소유권 변경으로 경력에 피해를 입고 싶지 않아, 포틀랜드 트레일 블레이저스로 떠났다. 팀 매각 계약에는 브라운이 브레이브스 선수와의 계약을 매각할 경우 해당 금액은 스나이더에게 돌아가고 구매 가격은 삭감된다는 조항이 있었다. 이 조항에 따라 브레이브스는 시즌 중반에 맥아두를 선수와 현금과 교환하여 뉴욕 닉스로 보냈다. 시즌 첫 경기 전에 브레이브스는 포틀랜드에서 곧 명예의 전당에 헌액될 센터 모제스 말론을 영입했지만, 2경기 6분 출전 후 트레이드되었다. 그는 두 개의 드래프트 지명권을 대가로 휴스턴으로 보내졌다. 브레이브스는 다음 두 시즌 동안 테이츠 로크, 밥 매키넌, 조 멀라니 (전 콜로넬스 코치), 코튼 피츠시몬스 등 4명의 헤드 코치를 거쳤다.[6]

팀은 마지막 2년간 부진한 성적(1976–77 시즌 30승 52패, 1977–78 시즌 27승 55패)을 기록했고, 메모리얼 오디토리엄 임대 계약을 파기하려는 의도로 인해 관중 수가 임대 계약 파기 조건 이하로 떨어졌다.[6] 존 Y. 브라운은 당시 셀틱스를 소유하고 있던 어브 레빈과 팀을 교환하는 계약을 협상했다. 브라운은 셀틱스를, 레빈은 브레이브스를 인수하는 조건이었다. 레빈은 캘리포니아 사업가였고, 고향에서 NBA 팀을 소유하고 싶어했다. 그는 NBA가 셀틱스를 이전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브라운의 제안에 긍정적이었다. 이 거래는 당시 NBA 법률 고문 데이비드 스턴이 중개했다. 브레이브스의 마지막 시즌이 웨스턴 뉴욕에서 끝난 후, NBA 구단주들은 21대 1로 팀의 이전을 허용하는 투표를 했다. 레빈이 원했던 대로, 그는 1977–78 시즌 이후 샌디에이고에 있는 팀의 소유주가 되었고, 그 팀은 샌디에이고 (현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가 되었다.[9][10] 이 거래의 일환으로, 두 팀은 로스터에 있는 대부분의 선수들을 교환했다.[10]

3. 역대 홈경기장

경기장사용기간수용인원장소비고
버펄로 메모리얼 오디토리움1970년~1978년15,280명뉴욕주 버펄로
메이플 리프 가든스1971년~1975년15,000명온타리오주 토론토제2홈경기장



버펄로 브레이브스의 홈경기장이었던 버펄로 메모리얼 오디토리움


브레이브스는 버펄로 메모리얼 오디토리움에서 홈 경기를 치렀으며, 내셔널 하키 리그(NHL)의 버펄로 세이버스와 경기장을 공유했다.[6] 1971년부터 1975년까지는 토론토메이플 리프 가든스에서 총 16번의 홈 경기를 치르기도 했다.[4]

3. 1. 버펄로 메모리얼 오디토리움



경기장사용기간수용인원장소
버펄로 메모리얼 오디토리움1970년~1978년15,280명뉴욕주 버펄로


3. 2. 메이플 리프 가든스

브레이브스는 1971년부터 1975년까지 토론토메이플 리프 가든스에서 총 16번의 홈 경기를 치렀다. 이는 버펄로 메모리얼 오디토리움의 일정 문제 때문이었는데, 브레이브스는 버팔로 세이버스와 캐니시우스 칼리지 골든 그리핀스에 이어 경기 날짜 선택에서 세 번째 순위였다.[4] 브레이브스는 웨스턴 뉴욕 너머 광역 토론토 지역까지 팬층을 확장하기 위해 국제 경기를 치렀다.[4]

4. 역대 시즌별 성적

컨퍼런스 준결승에서 보스턴 셀틱스에 2–4로 패배1976-771976-77NBA동부애틀랜틱10위4위3052.366201977-781977-78NBA동부애틀랜틱10위4위2755.32928


5. 선수

버펄로 브레이브스는 초창기 밥 코프먼과 돈 메이를 스타 선수로 영입했다.[6] 그러나 캘빈 머피를 놓치고 존 험머를 지명했다.[6]

1971-72 시즌에는 엘모어 스미스와 랜디 스미스를 영입하여 팀을 발전시켰다.[6] 1974년에는 밥 맥아두가 뛰어난 활약을 펼쳤고, 신인 어니 디그레고리오는 NBA 신인상을 수상했다.[6] 1974-75 시즌에는 밥 맥아두NBA MVP를 수상했다.[6] 1976-77 시즌 중에는 모제스 말론을 영입했으나, 곧 휴스턴으로 트레이드했다.[6]

선수연도
NBA 최우수 선수상밥 매카두1975
NBA 신인상밥 매카두1973
어니 디그레고리오1974
애드리안 댄틀리1977
NBA 올해의 임원상에디 도노반1974
NBA 퍼스트 팀밥 매카두1975
NBA 세컨드 팀밥 매카두1974
랜디 스미스1976
NBA 올-루키 퍼스트 팀엘모어 스미스1972
밥 매카두1973
어니 디그레고리오1974
존 슈메이트1976
애드리안 댄틀리1977
NBA 올스타 선정밥 카우프만1971, 1972, 1973
밥 매카두1974, 1975, 1976
랜디 스미스1976, 1978
NBA 올스타전 MVP랜디 스미스1978


5. 1. 명예의 전당 헌액자

선수
번호이름포지션헌액 연도
11밥 맥아두파워 포워드/C2000
20모제스 말론C/파워 포워드2001
44에이드리언 댄틀리F/G2008
코치
이름포지션헌액 연도
잭 램지헤드 코치1992
공헌자
이름포지션헌액 연도
코튼 피츠시몬스헤드 코치2021


5. 2. 주요 선수

버펄로 브레이브스의 초대 감독은 농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돌프 셰이스였으며, 초창기 스타 선수는 밥 코프먼과 돈 메이였다.[6] 그러나 버팔로는 고향 영웅인 나이아가라 대학교 출신의 캘빈 머피를 놓치고, 존 험머를 1라운드 지명으로 선택했다.[6] 머피는 훗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6]

1971-72 시즌, 버팔로는 켄터키 주립 대학교 출신 센터 엘모어 스미스와 지역 출신 랜디 스미스를 버팔로 주립 대학교에서 드래프트하여 팀을 발전시켰다.[6]

1974년, 팀은 처음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고, 밥 맥아두는 평균 30.6득점 15.1리바운드를 기록하며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6] 같은 시즌 신인 어니 디그레고리오는 NBA 신인상을 수상했다.[6]

1974-75 시즌, 밥 매카두는 평균 34.5득점, 14.1리바운드, 2.12블록을 기록하고 야투 성공률 51.2%, 자유투 성공률 80.5%를 기록하며 NBA MVP를 수상했다.[6]

1976-77 시즌 중, 브레이브스는 모제스 말론을 영입했으나, 곧 휴스턴으로 트레이드했다.[6] 그는 휴스턴에서 시즌을 평균 13득점 13리바운드로 마쳤고, 2년 만에 3번의 MVP 상 중 첫 번째 상을 수상했다.[6]

5. 3. 개인 수상

선수연도
NBA 최우수 선수상밥 매카두1975
NBA 신인상밥 매카두1973
어니 디그레고리오1974
애드리안 댄틀리1977
NBA 올해의 임원상에디 도노반1974
NBA 퍼스트 팀밥 매카두1975
NBA 세컨드 팀밥 매카두1974
랜디 스미스1976
NBA 올-루키 퍼스트 팀엘모어 스미스1972
밥 매카두1973
어니 디그레고리오1974
존 슈메이트1976
애드리안 댄틀리1977
NBA 올스타 선정밥 카우프만1971, 1972, 1973
밥 매카두1974, 1975, 1976
랜디 스미스1976, 1978
NBA 올스타전 MVP랜디 스미스1978


6. 코칭 스태프

주어진 소스에 코칭 스태프 관련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7. 팀 색상과 로고

버펄로 브레이브스는 1970-71 시즌에 파란색, 빨간색, 금색을 팀 색상으로 사용했다.[6] 홈 유니폼은 빨간색과 금색 글자와 줄무늬가 있었고, 원정 유니폼은 파란색 바탕에 빨간색과 금색 글자와 줄무늬가 있었다.[6]

1971-72 시즌에는 볼티모어 오리올스의 색상을 채택했는데, 이는 현지 유니폼 공급업체이자 전 뉴욕 양키스 선수, 오리올스 스카우트였던 제임스(짐) 루드트카의 영향 때문이었다.[6] 이 때 바뀐 색상은 흰색, 주황색, 검은색이었으며, "깃털 B" 로고가 유니폼에 새겨졌다. 저지와 반바지에는 대각선 줄무늬가 있었고, 원정 유니폼은 주황색이었다.[6]

1972-73 시즌까지 이 색상을 유지하다가, 1973-74 시즌부터 컬럼비아 블루와 흰색을 사용하고 검은색 윤곽선과 줄무늬를 추가한 유니폼으로 변경했다.[6] 이 유니폼은 팀이 캘리포니아로 이전할 때까지 사용되었다.[6] (새 색상 배합에도 불구하고 로고는 검정색과 주황색 "깃털 B"로 유지되었다.)[6]

8. 방송 중계

팀이 존재했던 대부분의 기간 동안, WBEN (930 AM)에서 밴 밀러가 버펄로 브레이브스의 라디오 중계를 맡았다.[6] 밀러는 또한 지역 CBS 텔레비전 계열사인 WBEN-TV (채널 4, 현재 WIVB-TV)를 통해 팀의 텔레비전 중계도 담당했다.[6] 스나이더는 브레이브스 중계가 당시 세이버스보다 훨씬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었다고 주장하며, 브레이브스를 버펄로에 유지했다면 결국 도시를 떠나야 하는 팀은 세이버스가 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6]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Team by Team https://www.nba.com/[...] NBA Properties, Inc. 2019-10-17
[2] 웹사이트 NBA.com/Stats–LA Clippers seasons http://stats.nba.com[...] NBA Media Ventures, LLC 2020-09-17
[3] 웹사이트 Braves Quick Facts http://www.nba.com/c[...] NBA Media Ventures, LLC 2018-04-04
[4] 웹사이트 The road was paved http://slam.canoe.ca[...] Toronto Sun 2004-11-03
[5] 웹사이트 Buffalo Braves 1971–72 game log and Scores http://www.databaseb[...] 2008-02-28
[6] 뉴스 How the Braves came to Buffalo -- and why they left http://sportsink.buf[...] 2016-04-22
[7] 간행물 The Buffalo Braves Saga: Do Not Lionize Paul Snyder http://artvoice.com/[...] Artvoice 2016-04-24
[8] 간행물 Paul Snyder remembers ex-Braves coach Ramsey http://m.bizjournals[...] Business First 2014-04-28
[9] 서적 The National Basketball Association: Business, Organization and Strategy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2019-12-24
[10] 뉴스 Freaky Friday, N.B.A. Style: When the Clippers Were the Celtics http://offthedribble[...] 2012-05-22
[11] 뉴스 BUFFALO LA Clippers win Thursday game wearing throwback Buffalo Braves jerseys https://www.wivb.com[...] WIVB-TV, Buffalo 2019-11-08
[12] 뉴스 Column: Braves' first, and worst, mistake came when the NBA club was named https://buffalonews.[...] 2020-07-14
[13] 웹사이트 BUFFALO RAPIDS SEEK HOME NEWLY NAMED ABA TEAM MAY PLAY ON SEVERAL COURTS https://buffalonews.[...] 2005-0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