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레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레스는 성경에 등장하는 인물로, 유다와 며느리 다말 사이에서 태어난 쌍둥이 중 동생이다. 창세기 38장에 따르면, 베레스는 해산 과정에서 먼저 나오려 했으나 형제인 세라가 먼저 태어났고, '틈'이라는 뜻의 히브리어 '페레츠'에서 유래된 이름을 얻었다. 룻기는 베레스를 다윗 왕의 조상 족보에 포함시키고 있으며,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은 예수를 베레스의 후손으로 기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룻기 - 보아스
보아스는 룻기에 나오는 베들레헴의 부유한 지주이자 나오미의 친척으로, 룻에게 호의를 베풀어 결혼하고 다윗 왕가의 조상이 되었으며, 솔로몬 성전 기둥의 이름이자 랍비 유대교에서 다양한 해석을 받는 인물이며, 마태오 복음서에서 예수의 조상으로 언급된다. - 룻기 - 오벳
오벳은 룻과 보아스의 아들이자 다윗 왕의 할아버지이며, 룻기에 등장하여 "하나님의 종"이라는 이름의 의미를 부여받았고,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에 기록된 예수의 조상 중 한 명이다. - 유다 지파 - 다윗
이스라엘의 2대 왕 다윗은 목동 출신으로 골리앗을 물리치고 이스라엘을 통일하여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종교 및 문화 발전에 기여했지만 밧세바와의 죄와 아들 반란 등 어두운 면도 존재하며, 그의 생애는 여러 종교에서 다양하게 해석되고 역사적 논쟁도 있다. - 유다 지파 - 유다의 사자
유다의 사자는 성경 속 유다 지파를 상징하며 유대교, 기독교, 에티오피아 왕실, 라스타파리 운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힘, 왕권, 주권을 나타내는 중요한 상징으로 사용된다. - 마태오의 복음서 - 두 아들의 비유
두 아들의 비유는 아버지의 명령에 불순종 후 순종한 아들과 순종하는 척 불순종한 아들의 이야기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가 종교 지도자들의 위선을 비판하고 진정한 회개와 순종의 중요성을 강조한 비유이다. - 마태오의 복음서 - 예수의 동정녀 탄생
예수의 동정녀 탄생은 기독교의 핵심 교리로서 예수가 인간 아버지 없이 성령으로 마리아에게 잉태되어 태어났다는 신념이며, 예수의 신성을 강조하고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전승을 바탕으로 하지만 역사적 근거에 대한 학계의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며, 기독교 미술, 전례, 마리아 공경, 서구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베레스 | |
---|---|
정보 | |
![]() | |
인물 정보 | |
이름 | 베레스 |
다른 이름 | 페레츠 |
로마자 표기 | Perejeu |
출생 | 가나안 |
아버지 | 유다 |
어머니 | 다말 |
형제자매 | 셀라, 에르, 오난, 제라 |
가족 | 헤스론, 하물 |
종교 |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 |
성경 정보 | |
언급된 곳 | 창세기 38:29 역대기상 2:4 룻기 4:12 룻기 4:18-22 마태복음 1:3 누가복음 3:33 |
추가 정보 | |
특징 | 유다와 다말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쌍둥이 형제 제라가 있음. 예수의 족보에 등장. |
2. 성경 기록
베레스는 히브리어 성경과 신약성경에 기록된 인물이다. 그의 탄생 이야기는 창세기 38장에 나타나는데, 쌍둥이 형제인 세라보다 먼저 태어나는 과정에서 '터뜨리고 나온다'는 의미를 가진 히브리어 פֶּרֶץ|페레츠heb에서 유래하여 '베레스'라는 이름이 붙여졌다.[4]
룻기에서는 베레스를 다윗 왕의 조상으로 언급하고 있으며,[5] 신약성경의 마태복음과 루가복음에서는 각각 요셉과 마리아를 통해 이어지는 예수의 족보에 그의 이름을 포함시키고 있다.[6][7]
2. 1. 창세기 38장
창세기 38장 27절부터 30절은 베레스의 탄생 이야기를 다룬다. 그의 어머니 다말이 해산할 때 쌍둥이 중 한 아이가 먼저 손을 내밀어 산파가 붉은 실을 매어 표시했다. 그러나 그 아이가 손을 다시 안으로 들이고 다른 아이가 먼저 나왔다. 산파는 "네가 어찌하여 터뜨리고 나오느냐"라고 말했고, 이에 그 아이의 이름을 '터뜨리고 나옴' 또는 '틈'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פֶּרֶץ|페레츠heb에서 유래한 베레스라고 지었다.[4] 이후 손에 붉은 실을 맨 형이 나왔고, 그의 이름은 세라가 되었다.룻기는 베레스를 다윗 왕의 조상 족보에 포함시키고 있으며,[5] 신약성경의 마태복음과 루가복음에서는 각각 요셉과 마리아를 통해 이어지는 예수의 족보에 베레스의 이름을 명시하고 있다.[6][7]
2. 2. 룻기
룻기는 베레스를 룻기 4장의 족보에서 다윗 왕의 조상으로 언급하고 있다.[5] 또한, 마태복음은 요셉을 통해, 루가복음은 마리아를 통해 그를 예수의 족보에 포함시키고 있다.[6][7]2. 3. 마태복음과 누가복음
룻기는 베레스를 다윗 왕의 조상 족보에 포함시키고 있으며,[5] 마태복음은 요셉을 통해, 루가복음은 마리아를 통해 그를 포함하여 예수의 족보를 명시하고 있다.[6][7]3. 가계도
4. 신학적 의미
창세기 38장에 따르면 베레스의 탄생 과정은 다음과 같다.
: 27 해산할 때에 보니 쌍태라
: 28 해산할 때에 손이 나오는지라 산파가 이르되 이는 먼저 나온 자라 하고 홍색 실을 가져다가 그 손에 매었더니
: 29 그 손을 도로 들이며 그의 아우가 나오는지라 산파가 이르되 네가 어찌하여 터뜨리고 나오느냐 하였으므로 그 이름을 베레스라 불렀고
: 30 그의 형 곧 손에 홍색 실 있는 자가 뒤에 나오니 그의 이름을 세라라 불렀더라
베레스는 쌍둥이 형제인 세라가 먼저 손을 내밀어 장자로 인정받을 뻔했으나, 그 손을 다시 들여보내고 먼저 태어났다. '터뜨리고 나온다'는 뜻의 이름은 이러한 극적인 탄생 배경에서 유래했다. 그는 유다의 아들로서, 헤스론, 람, 암미나답, 나손, 살몬, 보아스, 오벳, 이새를 거쳐 다윗 왕으로 이어지는 계보의 중요한 인물이다.
참조
[1]
성경
Genesis 38:29
[2]
성경
1 Chronicles 2:4
[3]
웹사이트
Strong's Hebrew 6556_ פָּ֫רֶץ (perets) -- a bursting forth, breach
http://biblehub.com/[...]
2015-08-01
[4]
웹사이트
Genesis 38:27-28
https://www.sefaria.[...]
[5]
성경
Ruth 4:18-22
[6]
성경
Matthew 1:3
[7]
성경
Luke 3:33
[8]
서적
聖書 新共同訳
日本聖書協会
[9]
웹사이트
Strong's Hebrew 6556_ פָּ֫רֶץ (perets) -- a bursting forth, breach
http://biblehub.com/[...]
2015-08-01
[10]
서적
そして、その子が手をひっこめると、その弟が出たので、「どうしてあなたは自分で破って出るのか」と言った。これによって名はペレヅと呼ばれた。
日本聖書協会 口語訳
[11]
서적
聖書 新共同訳
日本聖書協会
[12]
서적
聖書 新共同訳
日本聖書協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