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어다이나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이어다이나믹은 1924년 오이겐 바이어에 의해 설립된 독일의 음향 기기 제조 회사이다. 세계 최초의 다이내믹형 헤드폰 DT48을 개발했으며, 이후 마이크로폰, 헤드폰, 헤드셋, 회의 시스템 등 다양한 음향 관련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헤드셋을 사용하며 한국 시장과의 인연을 맺었고, 현재까지도 혁신적인 기술을 통해 음향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4년 설립된 전자 기업 - 듀라셀
듀라셀은 1920년대에 시작된 배터리 브랜드로, 다양한 규격의 전지를 제조하며, 듀라셀 버니를 이용한 광고와 스포츠 분야 후원 등 마케팅 활동을 펼치고 있다. - 1924년 설립된 기업 - 하이트진로
하이트진로는 2011년 하이트맥주와 진로의 합병으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대 주류 기업으로, 국내 주류 시장을 선도하며 다양한 브랜드로 국내외 시장에서 활약하고 해외 수출도 활발하지만, 소주 시장 과점 및 노조 갈등 등 사회적 책임에 대한 비판도 있는 기업이다. - 1924년 설립된 기업 - 하쿠호도
하쿠호도는 1895년 설립된 일본의 광고 회사로, 교육 잡지 광고 중개업으로 시작하여 신문 광고 게재 계약을 통해 성장했으며, 다이코, 요미우리 광고사와 합병 후 해외 기업 인수 및 도쿄 올림픽 관련 입찰 담합 혐의 등으로 논란을 겪었고, 아사히 맥주, 소니 플레이스테이션 등의 광고를 진행하며 칸 국제 광고제에서 수상했다. -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기업 - 메르세데스-벤츠
메르세데스-벤츠는 1886년 카를 벤츠와 고틀리프 다임러의 발명에서 시작되어 1926년 다임러-벤츠 설립으로 탄생한 다임러 AG의 승용차 브랜드로, 디젤 승용차, 안전 케이지, ABS, 에어백 등 자동차 기술 혁신을 선도하며 고급 승용차, 상용차, 고성능 AMG를 보유하고 최근에는 전기차 EQ 브랜드로 전동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기업 - 체펠린 비행조선
체펠린 비행조선은 1900년 페르디난트 폰 체펠린 백작의 첫 비행선 개발을 시작으로 민간 및 군사용 비행선을 제작했으며, 힌덴부르크 재난 이후 중단되었다가 1993년 모회사 재설립 및 2001년 운영 회사 설립을 통해 비행선 제작을 재개했다.
베이어다이나믹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회사 명칭 | 베이어다이나믹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
로마자 표기 | Beyerdynamic GmbH & Co. KG |
종류 | 유한합자회사 |
설립일 | 1924년 |
설립지 | 베를린 |
설립자 | 오이겐 바이어 |
본사 소재지 | 하일브론, 독일 |
주요 인물 | 감독 이사회: 셜리 바이어, 존 미들리, 마티아스 뮐링, 안드레아스 라프 (CEO), 제바스티안 슈트롬 (CEO) |
직원 수 | 전 세계 500명 |
산업 | 오디오 전자 제품 |
제품 | 마이크, 헤드폰, 무선 오디오 시스템 및 회의 시스템 |
웹사이트 | 베이어다이나믹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베이어다이나믹은 1924년 오이겐 바이어가 베를린에서 영화관용 스피커를 제조하면서 시작되었다.[2][3] 1930년대 말에는 최초의 다이나믹 헤드폰 DT 48을 개발했다.[4][2]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생산이 일시 중단되기도 했으나, 1948년 하일브론에서 다시 사업을 시작했다.[5]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는 모든 미디어 보도 현장에 베이어다이나믹의 헤드셋이 설치되었다.[9] 1999년 베를린의 분데스탁(독일 연방 의회)에는 베이어다이나믹의 디지털 마이크가 설치되었다.[10] 독일에서 열린 월드컵에서는 기자들이 DT 297 헤드셋을 사용했다.[11]
설립 초기(1920년대 ~ 1940년대), 전후 발전과 혁신(1950년대 ~ 1990년대), 2000년대 이후의 발전과 관련된 더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2. 1. 설립 초기 (1920년대 ~ 1940년대)
1924년, 오이겐 바이어(Eugen Beyer)는 베를린에서 영화관용 스피커를 제조하는 회사인 'Elektrotechnische Fabrik Eugen Beyer'를 설립하며 베이어다이나믹의 역사가 시작되었다.[2][3][13] 1937년, 세계 최초의 다이내믹형 헤드폰인 DT48을 개발하였다.[4][2] 1939년에는 최초의 업무용 마이크로폰 "M19"를 개발했다.[13]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생산이 일시 중단되었으나, 1948년 하일브론으로 본사를 이전하며 사업을 재개하였다.[5][13] 1953년에는 헤드폰 "DT49"를 개발했다.[13]
2. 2. 전후 발전과 혁신 (1950년대 ~ 1990년대)
1953년, 베이어다이나믹은 헤드폰 DT49를 개발하여 "Plattenbars"(레코드 바)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5] 1957년에는 고지향성 리본 마이크 Beyerdynamic M 160과 양지향성 M 130을 개발하였다. M 160은 현재까지도 생산되는 클래식 녹음 스튜디오 마이크로 자리 잡았다.[6] 1962년에는 최초의 무선 마이크 "트랜지스토폰"을 생산하였다.[7] 1966년, 비틀즈는 독일 투어에서 베이어다이나믹의 E-1000 마이크를 사용하였으며,[5] 엘튼 존, ABBA, 스티비 원더 등 유명 음악가들도 베이어다이나믹 제품을 사용했다.[8]1976년, 최초의 정전형 헤드폰 ET1000을 개발하였다. 1980년에는 반개방형 헤드폰 DT880을 개발하였고, 1985년에는 밀폐형 헤드폰 DT770과 개방형 헤드폰 DT990을 개발하였다. 1987년, PLL 방식 18채널 무선 음향 시스템이 뮤지컬 캣츠의 암스테르담 공연에 채용되었고, 1997년에는 32채널 UHF 음향 시스템 "U600"이 뮤지컬 미녀와 야수의 독일 공연에 채용되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는 모든 미디어 보도 현장에 베이어다이나믹의 헤드셋이 사용되었다.[9] 이는 한국과의 특별한 인연을 보여주는 사례로, 한국 시장에서 베이어다이나믹의 인지도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1999년, 베를린의 새로운 분데스탁(독일 연방 의회)에는 베이어다이나믹의 디지털 마이크가 설치되었다.[10]
2. 3. 2000년대 이후의 발전
2005년, 베이어다이나믹은 DT770, DT880, DT990 모델의 디자인을 개선한 "EDITION2005"를 출시하고, 온라인 구매자가 헤드폰 외관을 직접 꾸밀 수 있는 "MANUFAKTUR" 서비스를 시작했다.[13] 2009년에는 'Tesla 기술'을 탑재한 플래그십 헤드폰 T1을 발표했다.[13]2012년에는 사용자가 음질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 베이스 리플렉스 시스템'을 탑재한 헤드폰 CUSTOM ONE PRO를 출시했다.[13] 같은 해, DT48 E 모델의 생산이 종료되었지만, 청력 검사용 DT48 A.00은 계속 생산되고 있다.[13]
2015년, 베이어다이나믹은 'Tesla 기술'을 탑재한 플래그십 헤드폰 T1의 2세대 모델인 T1 2nd Generation을 출시했다. 이 모델부터 베이어다이나믹의 상위 모델은 케이블 교체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4핀 XLR 단자를 사용한다.[13]
3. 제품
베이어다이나믹은 헤드폰, 헤드셋, 마이크, 회의 시스템 및 기술 등 다양한 제품군을 생산한다.[1]
종류 | 상세 |
---|---|
헤드폰 | 하이파이 헤드폰, 인이어 헤드폰, 모바일 헤드폰, 스튜디오 및 무대용 헤드폰, 헤드폰 앰프, 액세서리 |
헤드셋 | 항공 헤드셋, 게이밍 및 멀티미디어 헤드셋, 인터콤 및 방송 헤드셋, 액세서리 |
마이크 | 무대 및 스튜디오용 마이크, 보컬 및 악기용 마이크, 영화 및 방송용 마이크, 프리젠테이션, 액세서리 |
회의 시스템 및 기술 | 투표 시스템, 투어 가이드 시스템, 설치된 사운드 및 무선 마이크, 텔레 및 화상 회의, 방송용 헤드폰 및 헤드셋, 해설자 및 통역사, 멀티미디어 시스템, 회의 및 녹음 소프트웨어, 믹서, 앰프 및 액세서리 |
3. 1. 헤드폰
베이어다이나믹은 하이파이 헤드폰, 인이어 헤드폰, 모바일 헤드폰, 스튜디오 및 무대용 헤드폰, 헤드폰 앰프, 액세서리 등을 생산한다.[1]3. 2. 헤드셋
베이어다이나믹은 항공 헤드셋, 게이밍 및 멀티미디어 헤드셋, 인터콤 및 방송 헤드셋, 관련 액세서리 등을 생산한다.3. 3. 마이크
베이어다이나믹은 무대 및 스튜디오용 마이크, 보컬 및 악기용 마이크, 영화 및 방송용 마이크, 프리젠테이션용 마이크와 관련 액세서리 등을 생산한다.3. 4. 회의 시스템 및 기술
베이어다이나믹은 투표 시스템, 투어 가이드 시스템, 설치형 사운드 및 무선 마이크, 텔레 및 화상 회의, 방송용 헤드폰 및 헤드셋, 해설자 및 통역사, 멀티미디어 시스템, 회의 및 녹음 소프트웨어, 믹서, 앰프, 액세서리 등을 제공한다.참조
[1]
웹사이트
Story
https://europe.beyer[...]
2022-11-07
[2]
웹사이트
Story
https://europe.beyer[...]
2022-11-02
[3]
웹사이트
beyerdynamic: About us
http://europe.beyerd[...]
2011-07-27
[4]
웹사이트
Listen Closely: A History of Headphones
http://www.randomhis[...]
Random History.com
2012-11-25
[5]
웹사이트
Beyerdynamic- Einst und Heute.
http://www.beyerdyna[...]
beyerdynamic.de
2012-11-25
[6]
웹사이트
Beyerdynamic M 160
https://www.tecaward[...]
2021-07-25
[7]
간행물
Wireless World
https://books.google[...]
1975-01
[8]
웹사이트
Dynamic Headsets From beyerdynamic
http://www.trulygadg[...]
TrulyNet
2012-11-25
[9]
웹사이트
A History on dynamic headphones
http://www.audiocirc[...]
The Audio Circuit
2012-11-25
[10]
웹사이트
BeyerDynamic History
http://www.touslesmi[...]
TousLesMicrophones.com
2012-11-25
[11]
웹사이트
Smart Sennheiser MOMENTUM Wireless Headphones
https://www.youtube.[...]
Classic Gadgets
2020-01-25
[12]
웹사이트
Beyerdynamic:About us
http://www.beyerdyna[...]
[13]
웹사이트
Beyerdynamic Once&Today:About us
http://europe.beyerd[...]
[14]
웹사이트
News
https://www.beyerdyn[...]
2018-05-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