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어언대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이징 어언대학은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 위치한 대학교로, 1950년 칭화 대학에서 동유럽 교환 유학생을 위한 중국어 문학 전수반으로 시작하여, 1964년 베이징어언학원으로 정식 명칭을 갖게 되었다. 1996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교육에 특화되어 중국 내 유학생 수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중국어 학부, 외국어 학부 등 다양한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HSK(중국어 능력 시험)를 주관하는 부속 연구소를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이뎬구의 건축물 - 중국인민대학
중국인민대학은 중국 공산당이 설립한 산베이 공립 학교에서 시작되어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최초로 설립된 대학으로,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명문 대학으로 자리매김하여 사회과학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베이징 본교 외에 쑤저우 캠퍼스와 건설 중인 퉁저우 동부 캠퍼스를 운영하며 국제 교류 협정을 통해 세계 여러 대학들과 협력하고 있다. - 하이뎬구의 건축물 - 원명원
원명원은 청나라 황실 정원으로 옹정제, 건륭제, 가경제 시대를 거치며 확장되었으나, 1860년 영불 연합군에 의해 파괴되어 유적지로 남았으며, 현재 보존 및 복원 노력과 함께 문화재 반환 문제, 복원 방식 논쟁 등 사회적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 베이징시의 대학교 - 대외경제무역대학
대외경제무역대학은 1951년 설립된 중국 베이징 소재 국립 대학으로, 국제 무역 및 경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를 포괄하는 종합대학으로 성장하여 활발한 연구 활동과 국제 교류를 통해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다. - 베이징시의 대학교 - 베이징 중의약 대학교
베이징 중의약 대학교는 1956년 베이징에 설립되어 중의학 관련 교육 및 연구를 수행하며, 국가중점대학으로 지정되고 관련 대학과의 통합을 거쳐 중화인민공화국 교육부의 관리를 받는 핵심 대학이다. - 1962년 개교 - 농협대학교
농협대학교는 1962년 농업협동조합초급대학으로 시작하여 농협대학을 거쳐 2012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협동조합 관련 학과를 운영하고 졸업생 대부분이 농협중앙회에 취업하는 3년제 특수전문대학이다. - 1962년 개교 - 낭가르하르 대학교
낭가르하르 대학교는 아프가니스탄에 위치한 대학교로, 다양한 학부와 학과를 운영하며, 아프가니스탄의 의사소통 환경 개선과 문화적 가치 반영을 목표로 한다.
베이징 어언대학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중국어 간체) | 北京语言大学 |
로마자 표기 | Běijīng Yǔyán Dàxué |
기타 명칭 | Yuyan Xueyuan 언어 학원 |
약칭 | 베이위 (北语) |
마스코트 | 베이위에 (宝贝鱼) |
설립일 | 1962년 |
학교 종류 | 공립 대학 |
위치 | 베이징 |
캠퍼스 | 도시형 캠퍼스 |
이전 명칭 | 외국인 학생을 위한 고등 예비 학교 (1962–1964) 베이징 어학원 (1964–1996)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영문 웹사이트 |
규모 | |
학부생 | 6,258명 (국내 학생 4,486명, 국제 학생 1,772명) |
대학원생 | 2,216명 (국내 학생 1,879명, 국제 학생 337명) |
박사 과정 학생 | 338명 (국내 학생 242명, 국제 학생 96명) |
행정 직원 | 1,201명 (추정) |
조직 | |
총장 | 펑돤 |
부총장 | 차오즈윈, 치더샹, 둥리쥔 |
대학 이사회 의장 | 니하이둥 |
2. 역사
베이징어언대학은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교육(TCFL)의 초창기부터 깊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1950년대 초, 베이징어언대학의 1세대 교사들은 선구적인 작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교육 기관을 설립하는 데 기여했다.
베이징 어언대학의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사건 |
---|---|
1961년 | 베이징 외국어학원 (후의 베이징 외국어대학)에 편입 |
1966년 | 문화 대혁명으로 인해 휴교 |
1972년 | 학교 재개, 현재 위치로 이전 |
1974년 | 마오쩌둥이 베이징어언학원의 교명을 직접 씀 |
1976년 | 유학생을 위한 중국어 본과 과정 개설, 25명 입학 |
1985년 | 언어문학부 설치, 대외 중국어 교육학과 개설 |
1993년 | 중국어 학부, 어문계열의 문화학부, 중국어 속성 학부, 성인교육 학부, 외국어 학부 등으로 재편 |
2011년 | 외국어 및 문학 박사 학위 수여 권한 획득[6] |
설립 배경과 그 이후의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2. 1. 설립 배경
1950년, 학교 설립 관계자들이 동유럽 칭화 대학 연수생들에게 중국어 교육을 위해 학당을 개설하였다.[1] 1952년, 외국 유학생들을 위한 중국어 학당으로 베이징 대학에 편입되었다.[1] 1962년 6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최초의 고등 교육 기관인 "외국인 유학생 고등 예비학교"가 설립되었다.[1] 1964년, 이 학교는 공식적으로 "베이징어언학원"(北京语言学院|베이징 위옌 쉐위안중국어)으로 명명되었다.[1]1996년 6월, "베이징어언문화대학"(北京语言文化大学|베이징 위옌 원화 따쉐중국어)으로 개명되었다.[1] 2002년 7월, 교육부의 승인을 받아 중국어 이름이 "베이징어언대학"으로 축약되었지만, 영어 이름은 변경되지 않았다.[1] 2002년 9월 6일, 베이징어언대학 40주년 기념식이 거행되었으며, 이 자리에서 장쩌민 국가주석과 리란칭 부총리가 축전을, 리펑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이 격려의 글을 보냈다.[1]
2. 2. 설립 이후
- 1950년, 훗날 학교 설립에 관련된 교육자들이 칭화 대학에서 '''동유럽 교환 유학생 중국어 문학 전수반'''을 개설한다.
- 1952년, '''외국인 유학생 중국어 문학 전수반'''으로서 베이징 대학에 편입된다.
- 1961년, 베이징 외국어학원(후의 베이징 외국어대학)에 편입된다.
- 1962년, '''외국 유학생 고등 예비학교'''를 창립한다.
- 1964년, '''베이징어언학원'''으로 명칭 변경.
- 1966년, 문화 대혁명으로 인해 휴교.
- 1972년, 학교가 재개되고, 현재 주소로 이전한다.
- 1976년, 유학생을 위한 한어 본과 과정이 개설되어, 25명의 유학생이 입학한다.
- 1985년, 언어문학부가 설치되고, 대외 한어 교학과가 개설된다.
- 1993년, 한어학부, 어문계가 확대 개편되어 문화학부, 한어 속성학부, 성인교육학부, 외국어학부 등으로 재편된다.
- 1996년, '''베이징어언문화대학'''으로 명칭 변경.
- 2002년, 현재의 '''베이징어언대학'''으로 명칭 변경.
- 2015년 4월, '''베이징어언대학 도쿄교'''를 도쿄도 도요시마구에 개교.
1950년대 초,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교육(TCFL)이 초창기 단계에 있었을 때, 베이징어언대학의 1세대 교사들은 선구적인 작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 그 결과,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최초의 고등 교육 기관인 "외국인 유학생 고등 예비학교"가 1962년 6월에 설립되었다.[1] 1964년, 이 학교는 공식적으로 "베이징어언학원"(北京语言学院|Běijīng yǔyán xuéyuàn중국어)으로 명명되었다.[1] 1996년 6월에는 "베이징어언문화대학"(北京语言文化大学|Běijīng yǔyán wénhuà dàxué중국어)으로 개명되었다.[1] 2002년 7월, 교육부의 승인을 받아 중국어 이름이 "베이징어언대학"으로 축약되었지만, 영어 이름은 변경되지 않았다.[1] 2002년 9월 6일, 베이징어언대학 40주년 기념식이 거행되었으며, 이 자리에서 장쩌민 국가주석과 리란칭 부총리가 축전을, 리펑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이 격려의 글을 보냈다.[1] 베이징어언대학은 2011년에 외국어 및 문학 박사 학위를 수여할 수 있는 특권을 얻었다.[6]
대학은 역사상 전 세계 189개 국가 및 지역 출신의 22만 명 이상의 유학생을 교육했다.[7] 2022년 현재, 약 9,000명의 유학생이 캠퍼스에 재학 중이며, 이는 중국 내 1위이다.[4]
베이징어언대학은 16개 학부 전공, 24개 석사 과정, 9개 박사 과정을 설치했으며, 그중 국가 중점 학과가 1곳, 베이징시 중점 학과가 2곳, 교육부 지정 대학 인문 사회 과학 중점 연구 거점이 1곳 설치되어 있다.[1] '''베이징어언학원'''이 전신이며, 외국인 대상 중국어 교육에서 중국 최고봉의 명문 대학이다.[1] 이 때문에 유엔을 비롯한 국제 기구의 직원, 각국의 민간 기업의 엘리트 직원이 다수 재학하는 국제적인 대학이다.
중국 최고봉의 외국어 대학인 베이징외국어대학과 발상지를 같이 한다.[1] 베이징외국어대학의 전신인 베이징외국어학원의 위치는 본교에 해당한다.[1]
이후 1996년에 '''베이징어언문화대학'''으로 개명했으며, 2002년부터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다.[1] 베이징 대학이나 칭화 대학 등 국가중점대학이 밀집한 중관춘 지역의 베이징시 하이뎬구 쉐위안루 15호, 정확히 쉐위안루와 청푸루가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해 있다.
세계 각국에서 온 유학생도 많으며, 대학 구내에는 외국인 유학생의 기호에 맞춘 슈퍼마켓, 음식점, 스포츠 짐, 볼링 센터, 가라오케 등도 있어 외국인에게 충실한 시설이 갖춰져 있다.[1] 2015년 4월, 현지 4년 만에 졸업 자격을 얻을 수 있는 최초의 해외 분교인 '''베이징어언대학 도쿄교'''를 일본 도쿄도 도요시마구에 개설한다.
베이징어언학원의 교명은 1974년 마오쩌둥에 의해 쓰여졌으며, 당시 정문에는 그 글자로 학교 이름이 걸려 있었다.
3. 캠퍼스
베이징어언대학교의 캠퍼스는 베이징 하이뎬 구에 위치해 있다. 부지 면적은 330289m2이며, 건물 총 면적은 427342m2이다. 본관, 도서관, 체육관 등 대부분의 교육 시설은 교육 구역에 있으며, 중국인 학생 기숙사도 이곳에 있다.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특별 기숙사는 교직원 및 가족을 위한 아파트가 있는 생활 구역의 17호 건물이다. 식료품점은 교육 구역과 생활 구역 모두에서 찾을 수 있으며, 가장 큰 상업 지구인 우다오커우는 생활 구역의 북쪽 출구 근처에 있다.
세계 각국에서 온 유학생도 많으며, 대학 구내에는 외국인 유학생의 기호에 맞춘 슈퍼마켓, 음식점, 스포츠 짐, 볼링 센터, 가라오케 등도 있어 외국인에게 충실한 시설이 갖춰져 있다. 2015년 4월, 현지 4년 만에 졸업 자격을 얻을 수 있는 최초의 해외 분교인 베이징어언대학 도쿄교를 일본 도쿄도 토시마구에 개설한다.
4. 학부
베이징 어언대학에는 다음과 같은 학부 전공이 설치되어 있다.
학부 | 전공 |
---|---|
중국어 학부 | (유학생을 위한 본과 과정) |
중국어 속성 학부 | (유학생을 위한 단기 과정) |
외국어 학부 | |
인문 학부 | |
정보과학 학부 | |
국제 상학부 | |
기타 학부 | 중어중문학 |
대외 한어(중국어) 교육 | |
영어영문학 | |
프랑스어문학 | |
독일어문학 | |
스페인어문학 | |
러시아어문학 | |
아랍어문학 | |
일본어문학 | |
한국어문학 | |
이탈리아어문학 | |
포르투갈어문학 | |
튀르키예어문학 | |
번역 및 통역 | |
컴퓨터 과학 기술 | |
정보 관리 및 정보 시스템 | |
디지털 미디어 기술 | |
금융, 회계, 회화, 저널리즘, 국제 정치, 국제 경제 및 무역 |
5. 대학원
학과 |
---|
중국 언어학 및 문헌학 |
언어학 및 응용 언어학 |
과정 설계 및 교육 이론 |
특수 역사 연구 |
중국 고대 문학 |
국제 정치 |
외국 언어학 및 응용 언어학 |
비교 문학 및 세계 문학 |
현대 중국 문학 |
문학 이론 |
고대 중국 문헌학 |
영어영문학 |
프랑스어문학 |
일본어문학 |
스페인어문학 |
아랍어문학 |
유럽 언어 및 문학 |
아시아 및 아프리카 언어 및 문학 |
사상 및 정치 교육 |
기초 심리학 |
중국 소수 민족 언어 및 문학 |
대외 중국어 교육 석사 과정(MTCSOL) |
컴퓨터 응용 기술 |
통번역 석사 |
6. 박사 과정
7. 부속 연구소
베이징 어언대학에는 16개 학부 전공, 24개 석사 과정, 9개 박사 과정이 설치되어 있다. 그중 국가 중점학과 1개소, 베이징 시 중점학과 2개소, 교육부 지정 대학 인문사회과학 중점연구 거점 1개소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징 언어학원이 전신으로, 외국인을 위한 중국어 교육(대외한어), 중국어 어학 분야 등에서는 중국 최고 수준이다. 1996년에 베이징 언어 문화 대학으로 개명하였고, 2002년부터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하여 지금에 이른다. HSK를 주관하는 곳이기도 하다.
8. 저명한 교수진
이름 | 설명 |
---|---|
천웨이헝 | |
량샤오성 | 소설가, 시나리오 작가 |
황징 | 중국계 미국 정치학자, 첩보 혐의자 |
밸러리 그로스브너 마이어 | 영국 소설가, 전기 작가, 문학 역사가 |
이름 | 재임 기간 |
왕이산 | 1962년 ~ 1974년 |
쑤린 | 1974년 ~ 1979년 |
원젠핑 | 1979년 ~ 1983년 |
뤼비쑹 | 1983년 ~ 1989년 |
양칭화 | 1989년 ~ 1999년 |
취더린 | 1999년 ~ 2005년 |
춰이시량 | 2005년 ~ 2017년 |
류리 | 2017년 ~ 현재 |
9. 저명한 동문
- 达辰|다 첸중국어, 작가
- 洪磊|훙 레이중국어, 외교관
-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 前 유엔 제네바 사무국 사무총장[8]
- 카림 마시모프, 카자흐스탄 총리 (2007년 1월 10일 - 2012년 9월 24일, 2014년 4월 2일 - 2016년 9월 8일)[8]
- 물라투 테쇼메, 에티오피아 대통령 (2013년 10월 7일 - 2018년 10월 25일)[8]
- 아콰피나, 배우, 래퍼
- 카를로스 미겔 페레이라 에르난데스, 중화인민공화국 주재 쿠바 대사, 주일 쿠바 대사
- 조마혼 루핀중국어, 연예인
- 아드고니 로로, 베냉 출신 연예인, 배우, 외교관.
참조
[1]
웹사이트
About BLCU
http://www.blcu.edu.[...]
2010-05-13
[2]
웹사이트
Why Beijing Language and Culture University
https://admission.bl[...]
2022-01-07
[3]
웹사이트
Beijing Language and University About BLCU
http://english.blcu.[...]
2022-01-07
[4]
웹사이트
Top 100 Most Popular Universiti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 China
https://www.china-ad[...]
2022-10-09
[5]
웹사이트
ShanghaiRanking's Best Chinese Universities Ranking
http://www.shanghair[...]
2022-01-07
[6]
웹사이트
About BLCU
http://english.blcu.[...]
[7]
웹사이트
Beijing Language and University About BLCU
http://english.blcu.[...]
2022-10-09
[8]
웹사이트
中外文化交流的见证者与推动者(辉煌·纪念改革开放40周年)
http://paper.people.[...]
인민망
2008-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