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군사 분계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트남 군사 분계선은 베트남 중부 꽝찌성을 가로지르며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던 경계선으로, 1954년 제네바 협정에 따라 베트남을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으로 분할하기 위해 설정되었다. 벤하이강을 따라 비무장 지대가 설치되었으나, 베트남 전쟁을 거치며 사실상 국제 경계선 역할을 했다.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남베트남이 붕괴되고 1976년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군사 분계선은 소멸되었다. 현재는 관광지로 개방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베트남 - 통킹
통킹은 베트남 북부 지방을 가리키는 명칭으로, 역사적으로 하노이를 일컫던 '동낀'에서 유래했으며, 프랑스 식민 시대에는 프랑스 보호령 통킹으로 불리며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일부였고, 홍강 삼각주를 중심으로 쌀 생산이 풍부한 아열대 기후 지역이다. - 북베트남 - 제네바 회담 (1954년)
1954년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 회담은 한국 전쟁 종결 및 한반도 통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평화적 해결을 목표로 주요 강대국과 관련국들이 참여했으나 한국 문제 합의에는 실패하고, 인도차이나 문제에서는 베트남 분할을 내용으로 하는 제네바 협정을 체결하여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종식시켰다. - 비무장 지대 - 올란드 제도
올란드 제도는 발트해 보트니아만 입구에 있는 핀란드의 스웨덴어 사용 자치령이자 비무장 지대로, 국제 연맹 결정에 따라 핀란드에 속하게 되었으며 독자적인 의회와 정부를 구성하고 해운, 관광, 무역, 면세 판매 등의 산업을 통해 자치권을 누리고 있다. - 비무장 지대 - 유엔 키프로스 완충 지대
유엔 키프로스 완충 지대는 1963년 종교 간 폭력 사태로 설정된 "녹색 선"을 기반으로 1974년 튀르키예의 침공 이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라 키프로스 섬을 남북으로 분단하여 설립되었으며, 유엔 키프로스군이 관리하고 긴장이 지속되는 지역이다. - 남베트남 -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응오딘지엠이 수립한 국가로, 베트남 전쟁의 주요 무대였으며, 권위주의와 부패, 내전 격화, 미국의 개입을 거쳐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멸망했다. - 남베트남 - 남베트남 공화국
남베트남 공화국은 베트남 전쟁 중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을 주축으로 수립된 임시혁명정부로서, 남베트남에 대항하며 "독립, 민주, 평화, 중립"을 표방했으나, 사이공 함락 후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에 흡수되었고, 북베트남의 괴뢰 정부로 평가받는다.
베트남 군사 분계선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베트남 |
존속 기간 | 1954년 7월 21일 ~ 1976년 7월 2일 (21년 347일) |
면적 | 폭 약 5km (3마일) |
역사 | |
형성 | 1954년 7월 21일 |
소멸 | 1976년 7월 2일 |
주요 사건 | 베트남 전쟁 |
정치 | |
관할 | 북베트남 남베트남 |
조약 | 1954년 제네바 협정 |
지리 | |
지역 | 꽝찌 성 |
강 | 벤하이 강 |
명칭 | |
영어 명칭 | Vietnamese Demilitarized Zone (DMZ) |
베트남어 명칭 | Vùng phi quân sự (DMZ) |
일본어 명칭 | 軍事境界線 (군지쿄카이센) |
한국어 명칭 | 베트남 군사 분계선 |
2. 지리
군사 분계선은 현재 베트남 중부 꽝찌성을 동서 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있었다. 약 76.12km 길이의 이 분계선은 서쪽 라오스 국경 근처 삼각점에서 시작하여 벤하이강을 따라 통킹만까지 이어졌다.[1] 분계선 양쪽에는 폭 약 6.44km의 비무장 지대(DMZ)가 설치되었다.[1]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이후 1954년 제네바 협정을 통해 베트남은 남과 북으로 분단되었다. 이 협정으로 북위 17도선을 따라 군사 분계선이 설정되었고, 벤하이강 양쪽 지역은 비무장지대로 선언되었다.[2] 이는 임시적인 조치였으며, 1956년 통일 선거를 통해 하나의 정부를 수립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미국과 남베트남은 공산주의 세력의 승리를 우려하여 선거를 거부했다.
'17도선'이라고도 불렸지만, 실제 군사 분계선은 북위 17도를 정확히 따르지 않고 그 부근에 걸쳐 있었다. 분계선 대부분은 벤하이강을 경계로 하였으며, 벤하이강 하구 부근만 북위 17도선상에 위치했다. 그보다 서쪽에서는 경계선 대부분이 17도선 남쪽을 지나갔다.
3. 역사
이후 남베트남에서는 응오딘지엠이 국민투표를 통해 베트남 공화국을 수립하고 대통령에 취임하면서 남북 베트남 간의 체제 경쟁이 시작되었고, 이는 결국 베트남 전쟁으로 이어졌다.
베트남 전쟁 동안 군사 분계선 지역은 주요 격전지 중 하나였다.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전쟁이 끝나고 1976년 베트남이 통일되면서 군사 분계선은 사라졌다. 현재는 관광지가 되어 누구나 방문할 수 있다.
3. 1.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은 1946년부터 1954년까지 프랑스와 호찌민 주도 하의 베트남민주공화국 간에 벌어진 전쟁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비엣민은 일본군의 베트남 점령에 대한 저항을 벌이는 과정에서 점차 전투 기술을 연마했다. 대전 후에는 구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연방의 재건을 꾀하는 프랑스 관헌에 항거하여 1946년부터 7년에 걸친 전쟁을 지속했다.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은 프랑스 국민에게 평판이 좋지 않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의 참화에서 부흥을 목표로 했던 제4공화국 정부는 결과적으로 전쟁 수행을 지속하게 되었다.
전쟁 중 미국은 정치적, 재정적으로 프랑스를 지지했다. 그러나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프랑스군이 궤멸적인 손실을 입으면서 제네바 협정 체결로 이어졌다.[1]
3. 2. 군사 분계선 설치
1954년 7월 21일에 체결된 제네바 협정은 베트남을 공산주의 국가인 북베트남과 친서방 진영의 남베트남으로 일시적으로 분할하는 것에 합의했다. 이 협정에서 17도선은 '잠정적인 군사분계선'으로 규정되었다. 제네바 협정은 1956년 7월에 자유 선거를 실시하여 통일적인 중앙 정부를 수립할 것을 결정했다.[1] 그러나 이 협정은 프랑스와 북베트남만 체결하였고, 미국과 남베트남(베트남국)은 통일 선거가 호찌민의 압승으로 끝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협정 서명을 거부했다.
이는 일당 독재 하의 공산정권에서 정상적인 민주적 선거가 실제로 수행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있었고, 또한 그 선거에 국제적인 감시 기구조차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한 상태에서 선거가 실시되면 동남아시아 전역이 공산주의화되어 도미노 이론이 확산되는 것이 아니냐는 위기감을 안고 있었기 때문이기도 했다.
그 후 베트남국의 국가 원수인 바오다이는 총리에 응오딘지엠을 임명했다. 그러나 미국의 지원을 받은 응오딘지엠은 1955년에 국민 투표를 사용하여 바오 다이의 면직과 베트남 공화국의 설립, 그리고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이로 인해 남북 베트남 정부는 베트남 통일을 두고 체제 간 경쟁을 벌이게 되었고, 남베트남에서의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에 의한 내전이 차츰 베트남 전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3. 3. 베트남 전쟁과 군사 분계선의 역할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군사 분계선 일대는 베트남 인민군(북베트남군)과 남베트남군, 미군 모두에게 중요한 전장이었다.[1] 냉전의 대리 전쟁 양상을 띤 이 전쟁에서, 미국은 남베트남을 지원하여 1965년부터 1973년까지 대규모 군대를 파병했다.[3] 비무장 지대임에도 불구하고, 1968년 1월 이 지역의 북베트남군과 베트콩 전투 병력은 40,943명으로 추산되었다.[3]
3. 4. 군사 분계선의 소멸
1975년 4월 30일 사이공 함락으로 베트남 전쟁이 종식되고, 남북 베트남 간 체제 경쟁이 공산주의 체제의 승리로 끝났다. 1976년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수립으로 베트남이 통일되자 군사 분계선은 소멸되었다.[1]
4. 관광
베트남 전쟁 이후 베트남 군사 분계선 일대는 관광지로 개방되어 관광객 누구나 방문할 수 있게 되었다.[1] 후에의 신 카페나 킴 카페 등 여행사 투어를 이용하면 당일치기 여행이 가능하다.[1]
참조
[1]
웹사이트
International Boundary Study No. 19 – Vietnam – "Demarcation Line"
https://fall.law.fsu[...]
US Department of State
2020-09-21
[2]
웹사이트
17th parallel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20-09-21
[3]
서적
Military Records, February 1968, 3rd Marine Division: The Tet Offens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