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벡터리눅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벡터리눅스는 소호, 표준, 가벼운, 라이브의 4가지 에디션으로 제공되는 리눅스 배포판이다. 소호판은 최신 컴퓨터에 적합하며, KDE를 GUI로 사용하고,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표준판은 Xfce를 GUI로 사용하며, 구형 컴퓨터에 맞춰 설계되었다. 가벼운 판은 JWM과 플럭스박스를 GUI로 사용하며, 오래된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라이브판은 하드 디스크에 설치하지 않고도 사용해볼 수 있는 버전으로, SOHO판과 표준판으로 나뉜다. 벡터리눅스는 시스템 관리를 위해 VasmCC와 Gslapt를 사용하며, slapt-get을 통해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관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눅스 배포판 -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구글이 개발한 리눅스 커널 기반의 모바일 운영체제인 안드로이드는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다양한 기기에서 활용되며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지만, 개인정보 보호 문제와 독점적 지위 남용 논란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리눅스 배포판 - MX 리눅스
    MX 리눅스는 MEPIS 커뮤니티와 antiX 개발자들이 협력하여 개발한 데비안 기반의 리눅스 배포판으로, 사용자 중심의 MX 도구 모음과 시스템 백업 및 복구 기능인 MX 스냅샷을 제공하며 Xfce, KDE Plasma, Fluxbox 등 다양한 데스크톱 환경과 최신 하드웨어 지원 AHS 버전을 제공한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벡터리눅스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벡터리눅스 7 GOLD
스탠더드 에디션 골드 7.0
개발자Robert S. Lange; Darrell Stavem
계열리눅스(유닉스 계열)
소스 모델오픈 소스
개발 상태지원 중단
최신 버전VL 7.2
최신 버전 출시일2017년 8월 28일
지원 플랫폼x86-64, i486
커널 종류모놀리딕(리눅스)
UIXfce, KDE, LXDE, 오픈박스, JWM, IceWM
라이선스다양함
웹사이트http://www.vectorlinux.com/

2. 종류

벡터리눅스는 사용 환경과 목적에 따라 크게 네 가지 종류의 판(Edition)으로 나뉜다. 각 판은 대상 컴퓨터 사양과 기본 GUI 환경 등에서 차이가 있다.


  • '''소호(SOHO)''': 소규모 사무실이나 가정의 최신 컴퓨터 환경에 맞춰진 판이다.
  • '''표준(Standard)''': 최신 사양보다는 약간 오래된 컴퓨터에 적합한 판이다.
  • '''가벼운(Light)''': RAM 용량이 적은 구형 컴퓨터에서도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설계된 가벼운 판이다.
  • '''라이브(Live)''': 하드디스크에 직접 설치하지 않고 라이브 CDUSB를 통해 벡터리눅스를 체험해 볼 수 있는 판이다.

2. 1. SOHO (Small Office, Home Office) 판 (7.0 버전 이후 중단됨)

소호(SOHO = Small Office, Home Office) 판은 최신 컴퓨터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설계되었으며, 기본 GUI 환경으로는 KDE를 사용한다. LibreOffice, 자바, GIMP, Xsane, CUPS, Xara Xtreme, 그리고 금융 관련 응용 프로그램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가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추가적인 소프트웨어가 더 포함된 소호 디럭스(SOHO Deluxe) 판도 제공되었다.

2. 2. Standard 판

표준(Standard)판은 무료로 다운로드 가능한 배포판으로, 최신 컴퓨터보다는 약간 오래된 컴퓨터, 즉 느린 프로세서와 적은 RAM을 가진 시스템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기본 GUIXfce이다.

델럭스 표준 버전은 표준판에 더해 LibreOffice, GIMP 등 여러 추가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다.

2. 3. Light 판

벡터리눅스 가벼운(Light) 판은 더 낡거나 리소스가 제한된 구형 컴퓨터를 위해 설계되었다. 예를 들어 RAM이 64MB 정도인 컴퓨터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버전 7.2 기준으로는 256MB RAM을 가진 컴퓨터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기본 GUI로는 JWM과 플럭스박스가 사용되며, 버전 7.2에서는 아이스WM 윈도우 매니저를 기반으로 한다. 웹 브라우저의 경우, 초기에는 오페라가 포함되었으나, 버전 7.2에서는 웹 브라우저, 이메일 클라이언트, HTML 편집기 기능을 통합한 씨몽키가 제공된다. 표준 에디션에 포함된 일부 응용 프로그램도 포함되어 있으며, 추가적인 응용 프로그램은 패키지 관리자를 이용하거나 직접 컴파일하여 설치할 수 있다.

2. 4. Live 판

라이브(Live)판은 사용자가 파티션 변경이나 하드디스크에 직접 운영 체제를 설치하지 않고도 벡터리눅스를 테스트할 수 있도록 라이브 CD 형태로 제공되는 버전이다. 이 라이브 CD로 부팅하여 시스템에서 배포판을 시험해 볼 수 있으며, 원하는 경우 라이브 환경에서 바로 벡터리눅스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과거에는 Standard판과 SOHO판 두 가지 종류의 라이브 에디션이 제공되었으며, 당시 최신 라이브 버전은 Deluxe 에디션의 미리보기 성격이었다.

버전별 라이브 에디션 지원 여부는 다음과 같다.

  • 버전 7.1에는 라이브 에디션이 없다.
  • 버전 7.2 Standard (Xfce)에는 라이브 에디션이 있다.
  • 버전 7.2 Light (IceWM)에는 라이브 에디션이 없다.

3. 시스템 관리

모든 벡터리눅스 버전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표준화된 시스템 관리 도구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시스템 설정은 VasmCC(eng)를 통해 이루어지며, 디스크 파티션 관리부터 X 윈도 시스템 서버 설정까지 다양한 시스템 구성을 다룰 수 있다.[4] 소프트웨어 설치 및 제거와 같은 꾸러미 관리는 slapt-get과 그 GUI 프론트엔드인 Gslapt를 통해 이루어진다.

3. 1. VasmCC (Vector Administrative and Services Menu Control Center)

모든 벡터리눅스 버전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주요 기능 중 하나는 시스템 관리 응용 프로그램의 표준 설치이다. VasmCC(Vector Administrative and Services Menu Control Center)는 시스템 구성을 처리하고, GUI 프런트엔드를 갖춘 slapt-get 기반의 Gslapt는 소프트웨어 설치 및 제거를 관리한다.
VasmCC는 벡터리눅스의 시스템 설정 관리기로, 디스크 파티션부터 X.Org Server까지 시스템의 모든 부분을 설정할 수 있다. 벡터리눅스 2.0 버전부터 포함되었으며, SOHO 3.2 버전에서는 GUI 프론트엔드가 추가되는 등 지속적으로 개선되었다. VasmCC는 GUI 인터페이스 외에도 텍스트 모드 인터페이스를 함께 제공하며, 두 인터페이스는 병렬적으로 작동한다. 사용자는 VasmCC 대신 netconfig나 alsaconf와 같은 다른 구성 도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Gslapt는 slapt-get 소프트웨어 관리 도구의 GUI 프런트엔드이다. Gslapt는 lzma 압축 방식과 패키지 간의 의존성 추적 기능을 결합하여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신속하게 설치하고 제거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의존성 추적 기능은 복잡한 소프트웨어 설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위 '의존성 지옥' 문제를 피하는 데 유용하다. 또한 lzma 압축 방식은 파일 크기를 줄여주어, 네트워크 대역폭이 낮거나 높은 사용자 모두에게 다운로드 시간을 최소화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3. 2. 꾸러미 관리

벡터리눅스는 꾸러미 관리를 위해 slapt-get을 사용한다. 모든 벡터리눅스 버전에는 시스템 관리를 위한 표준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되는데, 시스템 설정은 VasmCC가 담당하고 소프트웨어 설치 및 제거는 slapt-get과 그 GUI 프론트엔드인 Gslapt가 관리한다.

VasmCC는 'Vector Administrative and Services Menu Control Center'의 약자로, 디스크 파티션 설정부터 X.Org Server 설정까지 시스템 전반의 구성을 다룬다. GUI 인터페이스와 함께 텍스트 모드 인터페이스도 제공하며, 벡터 2.0 버전부터 포함되어 꾸준히 개선되었다. 특히 SOHO 3.2 버전에서 GUI 기능이 추가되었다. netconfig나 alsaconf와 같은 다른 설정 도구들도 사용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관리 도구인 slapt-get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프론트엔드로는 원래 VL-APT와 Gslapt 두 가지가 있었다. VL-APT는 벡터리눅스 개발팀이 직접 만들었으나, slapt-get의 버전이 올라가면서 사용하는 꾸러미 형식이 변경됨에 따라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반면, Gslapt는 slapt-get의 원 개발자가 만든 것으로, 현재 벡터리눅스에서 선호되는 표준 GUI 꾸러미 관리 도구로 자리 잡았다.

Gslapt는 slapt-get의 기능과 결합하여 lzma 압축 방식 지원 및 의존성 추적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소프트웨어 설치 및 제거 시 발생할 수 있는 복잡한 의존성 문제, 소위 '의존성 지옥'을 피하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lzma 압축 방식은 파일 크기를 줄여주어 다운로드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Gslapt는 기본적으로 벡터리눅스의 공식 저장소를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지만, 사용자는 전 세계에 있는 미러 서버나 다른 대체 저장소를 직접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과거 벡터리눅스의 패키지 수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었으나, 자원봉사자들과 개발자들의 노력으로 많은 소프트웨어 패키지가 저장소에 추가되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일반적인 슬랙웨어 저장소(LinuxPackages.net, GnomeSlackBuild 등)에서 슬랙웨어 패키지를 직접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4]

벡터리눅스는 주로 .tlz 형식(lzma 압축)의 패키지를 사용하지만, 기존의 .tbz나 .tgz 형식의 패키지도 지원한다. 이 외에도 터카아니 리눅스(Tukaani Linux) 프로젝트에서 가져온 pkgtools를 개량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 개량된 pkgtools는 기존 슬랙웨어의 표준 도구보다 처리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지만, 최근에는 업데이트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Vectorlinux 7.2 final has been released http://forum.vectorl[...] 2017-08-28
[2] 웹사이트 VectorLinux https://distrowatch.[...] 2019-09-19
[3] 웹사이트 VLocity-64-7.0 http://vectorlinux.c[...] 2012-08-29
[4] 웹사이트 VectorLinux v5.8 (Manual): Slackware Packages http://vectorlinux.o[...] 2007-09-11
[5] Distribution Release Distribution Release: VectorLinux 7.2 http://forum.vector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