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저민 올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벤저민 올콕은 1801년 아일랜드에서 태어난 해부학자이다.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해부학을 공부하고 에이브러햄 콜리스 밑에서 경력을 쌓았다. 아일랜드 왕립외과대학의 회원이 되었으며, 아일랜드 코크대학교와 퀸스 칼리지에서 해부학 교수를 역임했다. 시신 조달을 위해 부정한 방법을 제안하여 해고된 후, 1859년 미국으로 이주했으며 이후의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일랜드의 해부학자 - 존스 콰인
존스 콰인은 아일랜드 출신의 해부학자이자 의학자로, "해부학의 원리"를 통해 영어권 국가 해부학 교과서의 표준을 세웠고 유니버시티 칼리지의 일반 해부학 교수를 역임하며 의학 연구 및 교육 발전에 기여했다. - 킬케니주 출신 - 조지 버클리
"존재하는 것은 지각되는 것이다"라는 명제로 유명한 아일랜드 철학자이자 성공회 주교인 조지 버클리는 극단적인 경험주의와 관념론을 주장하며 물질의 존재를 부정하고 정신, 관념, 신만이 실재한다고 보았다. - 킬케니주 출신 - 존 케이시
아일랜드의 수학자이자 교육자인 존 케이시는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학위를 받고 킹스턴 학교의 수학 교사와 아일랜드 가톨릭 대학교의 교수를 역임했으며, 유클리드 기하학 원론 번역 및 수학 저술 활동을 했다. - 19세기 아일랜드 사람 - 마이클 콜린스 (정치인)
마이클 콜린스는 아일랜드 독립 전쟁의 지도자이자 아일랜드 자유국의 장관로서, 뛰어난 조직력과 전략적 사고로 아일랜드 독립 운동의 중심 인물이 되었으나, 아일랜드 내전 중 암살당했다. - 19세기 아일랜드 사람 - 메리 맬런
메리 맬런은 20세기 초 아일랜드 이민자로, 자신이 장티푸스 보균자인 것을 모른 채 요리사로 일하며 많은 사람들에게 장티푸스를 전파하여 "장티푸스 메리"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무증상 보균자의 위험성을 알리는 대표적인 사례로 남아 공중 보건과 개인의 자유 사이의 윤리적 논쟁을 불러일으킨 여성이다.
벤저민 올콕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801년 |
사망 | (추정) 1860년대 이후 |
국적 | 아일랜드 |
직업 | |
분야 | 해부학 |
직업 | 외과 의사 |
경력 | |
근무처 | 코크 대학교 |
학력 | 왕립 외과 대학 펠로우 |
주목할 만한 업적 | 올콕의 관 발견 |
2. 일생
벤저민 올콕은 1801년 5월 아일랜드 킬케니에서 저명한 의사인 너새니얼 올콕(Nathaniel Alcock)의 다섯 자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6] 킬케니 칼리지에서 공부한 이후, 더블린의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해부학을 공부하고 1821년 졸업했다.[6]
이후 당대 아일랜드의 저명한 외과의사였던 에이브러햄 콜리스(Abraham Colles) 밑에서 일하며 해부학자로서 경력을 쌓았다.[6] 1825년 올콕은 아일랜드 왕립외과대학(Royal College of Surgeons in Ireland)의 면허 소지자가 되었고 1827년 더블린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7] 그는 그해 말에 왕립외과대학의 회원이 되었다.[7]
아일랜드 왕립외과대학의 회원이 된 올콕은 해부학 시연자(demonstrator)를 거쳐 해부학 교수로 근무했다.[6] 1837년 아일랜드 코크대학교의 해부학, 생리학, 병리학 초대 교수가 되었고, 1849년 퀸스 칼리지에 의과대학이 개교했을 때 해부학 교수로 취직했다.[7]
1832년 해부법 통과 이후 시체 조달이 어려워지자, 올콕은 구빈원에서 사망한 사람들과 관계있는 사람인 척하여 시신을 넘겨받자고 학교에 제안했다. 이러한 부정직한 행위로 인해 1854년 사임을 요구받았고, 항소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아 1855년에 해고되었다.[6]
아일랜드에서 고용되기 어려워진 벤저민 올콕은 1859년 미국으로 떠났고, 그 이후의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다.[6]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벤저민 올콕은 1801년 5월 아일랜드 킬케니에서 저명한 의사인 너새니얼 올콕(Nathaniel Alcock)의 다섯 자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6] 킬케니 칼리지에서 공부한 이후, 더블린의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해부학을 공부하고 1821년 졸업했다.[6]이후 당대 아일랜드의 저명한 외과의사였던 에이브러햄 콜리스(Abraham Colles) 밑에서 일하며 해부학자로서 경력을 쌓았다.[6] 1825년 올콕은 아일랜드 왕립외과대학(Royal College of Surgeons in Ireland)의 면허 소지자가 되었고 1827년 더블린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7] 그는 그해 말에 왕립외과대학의 회원이 되었다.[7]
2. 2. 교수 경력 및 갈등
아일랜드 왕립외과대학의 회원이 된 올콕은 해부학 시연자(demonstrator)를 거쳐 해부학 교수로 근무했다.[6] 1837년 아일랜드 코크대학교의 해부학, 생리학, 병리학 초대 교수가 되었고, 1849년 퀸스 칼리지에 의과대학이 개교했을 때 해부학 교수로 취직했다.[7]1832년 해부법 통과 이후 시체 조달이 어려워지자, 올콕은 구빈원에서 사망한 사람들과 관계있는 사람인 척하여 시신을 넘겨받자고 학교에 제안했다. 이러한 부정직한 행위로 인해 1854년 사임을 요구받았고, 항소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아 1855년에 해고되었다.[6]
2. 3. 미국 이주와 이후 행적
아일랜드에서 고용되기 어려워진 벤저민 올콕은 1859년 미국으로 떠났고, 그 이후의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다.[6]참조
[1]
서적
Gray's anatomy :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2016
[2]
논문
Benjamin Alcock (1801-?) and his canal
2013-09-01
[3]
서적
Denis Brenan Bullen (1802-66), Inspector of Anatomy for the province of Munster : the controversial career of a Cork surgeon
https://www.worldcat[...]
Four Courts Press
2021
[4]
논문
What happened to Benjamin Alcock? - an exploration of Alcock's new life in America
2020
[5]
서적
Gray's anatomy :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https://www.worldcat[...]
2016
[6]
저널
Benjamin Alcock (1801–?) and his canal
https://onlinelibrar[...]
2013
[7]
저널
Benjamin Alcock (1801-?) and his canal
2013-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