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변형 수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변형 수축은 위상 공간 X의 부분 공간 A에 대해 정의되는 개념으로, X에서 A로의 연속 함수가 특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를 말한다. 약한 변형 수축과 강한 변형 수축으로 구분되며, 약한 변형 수축은 A가 X와 호모토피 동치임을 의미한다. 변형 수축은 호모토피 동치, 축약 가능 공간 등과 관련이 있으며, 유클리드 공간 등에서 예시를 찾을 수 있다. 이 개념은 1930년 카롤 보르수크에 의해 처음 도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모토피 이론 - 모노드로미
    모노드로미는 연결 국소 연결 공간의 피복 공간에서 기본군의 작용으로 이해되는 개념으로, 모노드로미 작용에 대응하는 군 준동형의 상인 모노드로미 군을 통해 복소해석학, 리만 기하학, 미분방정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갈루아 이론과도 관련된다.
  • 호모토피 이론 - 베유 대수
    베유 대수는 체 K 위의 리 대수 g에 대하여 정의되는 미분 등급 대수이며, g의 쌍대 공간과 그 등급 이동으로 생성되는 외대수와 대칭 대수의 텐서곱으로 표현되고, 리 군의 분류 공간의 주다발의 무한소 형태를 나타내는 완전열과 관련이 있다.
변형 수축
개요
분야수학의 위상수학
하위 분야호모토피 이론
관련 개념호모토피, 변형, 수축
정의
변형 수축위상 공간 X의 부분 공간 A로의 변형 수축은 연속 함수 H : X × [0,1] → X로서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조건 1모든 x ∈ X에 대해 H(x,0) = x (H는 항등 함수와 호모토픽하다).
조건 2모든 a ∈ A와 t ∈ [0,1]에 대해 H(a,t) = a (H는 A의 각 점을 고정한다).
조건 3모든 x ∈ X에 대해 H(x,1) ∈ A (H는 X를 A로 수축시킨다).
특징
존재부분 공간 A가 X의 변형 수축이면, A에서 X로의 포함 사상은 호모토피 동치이다. 즉, X와 A는 호모토피 동치이다. 변형 수축은 항상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예시원환면에서 점을 제거한 공간은 원들의 꽃다발로 변형 수축 가능하다.
뫼비우스의 띠는 중앙 원으로 변형 수축 가능하다.
n차원 구에서 점을 제거한 공간은 (n-1)차원 구로 변형 수축 가능하다.
용도위상 공간의 호모토피 유형을 결정하는 데 유용하다.

2. 정의

위상 공간 X의 부분 공간 i\colon A\hookrightarrow X에 대하여, 연속 함수 r\colon X\to A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면, rX에서 A로의 '''변형 수축'''이라고 한다.


  • r\circ i=\operatorname{id}_A
  • i\circ r\simeq\operatorname{id}_X


변형 수축에는 약한 변형 수축과 강한 변형 수축이 있다.

2. 1. 약한 변형 수축

위상 공간 X의 부분 공간 i\colon A\hookrightarrow X에 대하여, 연속 함수 r\colon X\to A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면, rX에서 A로의 '''약한 변형 수축'''이라고 한다.

  • r\circ i=\operatorname{id}_A
  • i\circ r\simeq\operatorname{id}_X


이는 그림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begin{matrix}

A&\stackrel i\hookrightarrow&X\\

{\scriptstyle\operatorname{id}}\downarrow&=&\downarrow{\scriptstyle\operatorname{id}}\\

A&\xleftarrow[r]{}&X

\end{matrix}\qquad\begin{matrix}

A&\stackrel i\hookrightarrow&X\\

{\scriptstyle\operatorname{id}}\uparrow&\simeq&\uparrow{\scriptstyle\operatorname{id}}\\

A&\xleftarrow[r]{}&X

\end{matrix}



즉,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호모토피 h\colon X\times[0,1]\to A가 존재해야 한다.

:h(x,0)=x\qquad\forall x\in X

:h(x,1)\in A\qquad\forall x\in X

:h(x,1)=r(x)\qquad\forall x\in X

:r(a)=a\qquad\forall a\in A

2. 2. 강한 변형 수축

위상 공간 X의 부분 공간 i\colon A\hookrightarrow X에 대하여, 연속 함수 r\colon X\to A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면, rX에서 A로의 '''강한 변형 수축'''(strong deformation retract영어)이라고 한다.[1][2]

  • r\circ i=\operatorname{id}_A
  • i\circ r\simeq\operatorname{id}_X\quad(\operatorname{rel}A)


즉, 아래 그림과 같다.

:\begin{matrix}

A&\stackrel i\hookrightarrow&X\\

{\scriptstyle\operatorname{id}}\downarrow&=&\downarrow{\scriptstyle\operatorname{id}}\\

A&\xleftarrow[r]{}&X

\end{matrix}\qquad\begin{matrix}

A&\stackrel i\hookrightarrow&X\\

{\scriptstyle\operatorname{id}}\uparrow&\simeq\operatorname{rel}A&\uparrow{\scriptstyle\operatorname{id}}\\

A&\xleftarrow[r]{}&X

\end{matrix}



즉,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호모토피 h\colon X\times[0,1]\to A가 존재해야 한다.

:h(x,0)=x\qquad\forall x\in X

:h(x,1)\in A\qquad\forall x\in X

:h(x,1)=r(x)\qquad\forall x\in X

:h(a,t)=a\qquad\forall a\in A,\;t\in[0,1]

3. 성질

위상 공간 X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은 서로 동치이다.[1]


  • X축약 가능 공간이다.
  • \{x\}X의 약한 변형 수축을 이루는 x\in X가 존재한다.


그러나 한 점으로 강하게 변형 수축할 수 없는 축약 가능 공간이 존재한다.[1]

3. 1. 호모토피 동치와의 관계

위상 공간 X의 약한 변형 수축 A\subseteq X가 주어졌을 때, AX와 (강하게) 호모토피 동치이다.

일반적으로, 위상 공간 XY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다.[1]

  • XY가 (강하게) 호모토피 동치이다.
  • 어떤 위상 공간 Z 및 포함 사상 X\hookrightarrow ZY\hookrightarrow Z에 의하여, XY는 둘 다 Z의 약한 변형 수축이다.
  • 어떤 위상 공간 Z 및 포함 사상 X\hookrightarrow ZY\hookrightarrow Z에 의하여, XY는 둘 다 Z의 강한 변형 수축이다.


위상 공간 X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X축약 가능 공간이다.
  • \{x\}X의 약한 변형 수축을 이루는 x\in X가 존재한다.


그러나 한 점으로 강하게 변형 수축할 수 없는 축약 가능 공간이 존재한다.[1]

3. 2. 축약 가능 공간과의 관계

위상 공간 X의 약한 변형 수축 A\subseteq X가 주어졌을 때, AX와 (강하게) 호모토피 동치이다.

일반적으로, 위상 공간 XY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은 서로 동치이다.[1]

  • XY가 (강하게) 호모토피 동치이다.
  • 어떤 위상 공간 Z 및 포함 사상 X\hookrightarrow ZY\hookrightarrow Z에 의하여, XY는 둘 다 Z의 약한 변형 수축이다.
  • 어떤 위상 공간 Z 및 포함 사상 X\hookrightarrow ZY\hookrightarrow Z에 의하여, XY는 둘 다 Z의 강한 변형 수축이다.


위상 공간 X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은 서로 동치이다.

  • X축약 가능 공간이다.
  • \{x\}X의 약한 변형 수축을 이루는 x\in X가 존재한다.


그러나 한 점으로 강하게 변형 수축할 수 없는 축약 가능 공간이 존재한다.[1]

4. 예

유클리드 공간에서 변형 수축의 예를 들 수 있다.

4. 1. 유클리드 공간에서의 변형 수축

Euclidean space영어 유클리드 공간 \mathbb R^n\setminus\{0\}의 부분 공간인 n-1차원 초구

:S^{n-1}=\{\mathbf x\in\mathbb R^n\setminus\{0\}\colon\|\mathbf x\|=1\}

는 다음과 같은 호모토피를 통해 강한 변형 수축을 이룬다.

:h\colon\left(\mathbb R^n\setminus\{0\}\right)\times[0,1]\to\mathbb R^n\setminus\{0\}

:h\colon(\mathbf x,t)\mapsto\|\mathbf x\|^{-t}\mathbf x

5. 역사

카롤 보르수크가 1930년 박사 학위 논문에서 도입하였다.[3]

참조

[1] 서적 Algebraic topology http://www.math.cor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2] 서적 Topology http://www.pearsonhi[...] Prentice Hall 2000
[3] 논문 Sur les rétractes http://pldml.icm.edu[...] 19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