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드빌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드빌드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바일란드의 이야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바일란드가 니두드 왕에게 포획되었을 때 등장하며, 바일란드는 보드빌드의 형제들을 살해하고 그들의 두개골로 왕에게 은잔을, 이빨로 브로치를 만들어 바치고, 보드빌드를 강간한 뒤 날아간다. 시드레크사가에서는 웨이랜드가 덴마크에 도착하여 니둥 왕의 대장장이와 대결하고, 왕의 아들을 죽이고 뵈드빌드르를 강간하며 탈출하는 이야기가 묘사된다. 잉글랜드에는 보드힐드의 무덤으로 여겨지는 고분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보드빌드 | |
---|---|
인물 정보 | |
이름 | 보드빌드 |
다른 이름 | 베아도힐데 |
문화 | 노르드 신화 |
역할 | 전설적인 인물 |
가족 관계 | |
아버지 | 니두드 |
관련 이야기 | |
관련 신화 | 뵐숭 사가 |
2. 데오르 (Deor)
보드빌드에 대한 가장 오래된 현존 기록은 10세기 앵글로색슨 시 데오르(Deor)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시는 웨일런드가 보드빌드의 형제들을 살해하고 그녀를 강간한 사건을 다루고 있으며, 시인은 그녀에게 좋지 않은 일이 일어날 것을 암시한다.
Welund him be wurman / wræces cunnade,
anhydig eorl / earfoþa dreag,
hæfde him to gesiþþe / sorge ond longaþ,
wintercealde wræce; / wean oft onfond,
siþþan hine Niðhad / on nede legde,
swoncre seonobende / on syllan monn.
Þæs ofereode, / þisses swa mæg!
Beadohilde ne wæs / hyre broþra deaþ
on sefan swa sar / swa hyre sylfre þing,
þæt heo gearolice / ongieten hæfde
þæt heo eacen wæs; / æfre ne meahte
þriste geþencan, / hu ymb þæt sceolde.
Þæs ofereode, / þisses swa mæg!ang[1]
:웨일런드는 뱀들 사이에서 고통을 맛보았다.
:강인한 영웅은 고난을 견뎌냈고
:그의 동반자로서 슬픔과 갈망을 가졌으며,
:겨울처럼 차가운 잔혹함을 겪었다. 그는 종종 고통을 느꼈다.
:니드가 그에게 족쇄를 채운 후,
:더 나은 사람에게 부드러운 힘줄을 묶어놓았다.
:그것은 지나갔다. 이것도 그럴 것이다.
:-
:베아도힐데에게 형제들의 죽음은
:그녀의 마음을 그녀 자신의 문제만큼 아프게 하지는 않았다.
:그녀가 쉽게 깨달았던
:자신이 임신했다는 것을; 그리고 그녀는 결코
:상황이 어떻게 될지 두려움 없이 예측할 수 없었다.
:그것은 지나갔다. 이것도 그럴 것이다.[2]
3. 뵐룬다르크비다 (Völundarkviða)
고대 노르드 서사시인 ''뵐룬다르크비다''는 보드빌드의 이야기를 다루는 주요 문헌 중 하나이다.[3][4] 이 작품에서 보드빌드는 아버지 니두드 왕과 대장장이 바일란드 사이의 갈등에 휘말려 비극적인 운명을 맞이하는 인물로 그려진다. 그녀가 겪는 구체적인 시련과 복수의 과정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3. 1. 복수와 비극
''볼룬다르크비다''에서 그녀는 아버지 니두드가 바일란드를 포획했을 때 등장하며, 대장장이가 잃어버린 발키리 연인을 위해 만들었던 금반지를 아버지로부터 받는다. 바일란드는 다리가 절단당하고 아버지의 대장간에서 일하게 된다.바일란드는 그녀의 형제들을 살해하고 그들을 대장간에 숨겨 복수를 한다. 그런 다음 그들의 두개골을 은으로 만들고, 소년들의 눈으로 만든 여왕을 위한 보석과 함께 왕에게 보냈다. 보드빌드에게는 소년들의 이빨로 브로치를 만들었다.
보드빌드는 부러진 반지를 고쳐달라고 바일란드의 대장간을 방문했다. 그러자 그는 그녀를 강간하고 자신이 만든 깃털 구조물을 타고 날아가 부끄러움에 울면서 그녀를 떠났다.
:웃는 볼룬드는[3]
:하늘로 날아올랐고,[3]
:우는 보드빌드는[3]
:섬에서 나왔으며,[3]
:그녀의 연인의 비행[3]
:그리고 아버지의 분노에 대해 슬퍼했다.[4]
바일란드는 그녀의 아버지에게 날아가 자신의 복수를 알린다. 슬픔에 잠긴 왕은 자신의 노예에게 딸을 데려오라고 요청하고 보드빌드는 그녀의 아버지에게 ''데오르''에서 말하는 비극을 반영하는 끔찍한 진실을 말해야 한다.
:"니두드여,[3]
:그대가 들은 말은 진실이라오.[3]
:일찍이 나는 볼룬드와 함께[3]
:섬에 있었소.[3]
:한 시간의 욕정,[3]
:아아, 그래서는 안 되었지![3]
:나는 그런 남자에게[3]
:아무런 힘도 없었고,[3]
:그의 힘으로부터[3]
:나를 구할 수도 없었소."[4]
4. 시드레크사가 (Þiðrekssaga)
13세기에 쓰인 Þiðrekssaga|시드레크사가non는 웨이랜드와 보드빌드에 대한 이야기를 산문 형식으로 더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이야기에 따르면, 웨이랜드는 속이 빈 나무를 타고 바다를 건너 덴마크의 유틀란트에 도착했는데, 그곳은 니둥 왕이 다스리고 있었다. 웨이랜드는 뛰어난 대장장이 실력으로 곧 왕의 인정을 받았으나, 기존의 대장장이 아밀리아스와 실력을 겨루게 되었다. 아밀리아스는 갑옷을 만들고 웨이랜드는 밈뭉이라는 이름의 검을 만들었는데, 웨이랜드는 이 검으로 아밀리아스를 쉽게 이기고 최고의 대장장이로 명성을 얻었다.
어느 날, 니둥 왕은 전투를 앞두고 자신의 '승리석'을 가져오지 않았다는 것을 깨닫고, 해가 지기 전에 돌을 가져오는 사람에게 자신의 딸 보드빌드와 왕국의 절반을 주겠다고 약속했다. 웨이랜드가 돌을 가져왔지만, 왕의 드로트세티 (집사)가 돌을 빼앗으려 하자 웨이랜드는 그를 죽이고 말았다. 이 일로 웨이랜드는 니둥 왕에게 추방당했다.
이후 웨이랜드는 왕과 보드빌드를 독살하려다 붙잡혔고, 도망가지 못하도록 햄스트링 힘줄이 끊기는 형벌을 받고 왕의 대장간에서 강제로 일하게 되었다. 앙심을 품은 웨이랜드는 복수를 계획했고, 결국 니둥 왕의 어린 두 아들을 자신의 대장간으로 유인해 살해한 뒤, 그들의 뼈로 왕을 위한 식기를 만들었다. 또한 그는 왕의 딸인 보드빌드를 강간하여 복수를 완성했다.
4. 1. 탈출과 화해
13세기 ''Þiðrekssaga''는 웨이랜드가 니둥 왕에게 복수한 후 탈출하고 화해하는 과정을 더 상세하게 묘사한다.웨이랜드는 자신의 형제이자 뛰어난 궁수인 에길에게 깃털을 모아달라고 부탁하여 날개를 만들었다. 에길은 니둥 왕 앞에서 아들의 머리 위에 놓인 사과를 맞추는 시험을 받았는데, 만약 실패하면 왕을 쏘려 했던 여분의 화살을 준비하는 대담함을 보이기도 했다.
날개를 완성한 웨이랜드는 니둥 왕에게 날아가 자신이 왕의 두 아들을 죽였고, 딸인 보드빌드를 임신시켰다는 사실을 밝혔다. 분노한 니둥 왕은 에길에게 웨이랜드를 쏘아 떨어뜨리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웨이랜드는 미리 팔 아래에 피가 든 방광을 숨겨두었고, 에길은 일부러 그곳을 맞추어 왕을 속였다. 덕분에 웨이랜드는 무사히 셸란으로 탈출할 수 있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니둥 왕은 죽고 그의 아들 오트빈이 왕위를 계승했다. 한편, 보드빌드는 웨이랜드의 아들 비드가를 낳았다. 이후 웨이랜드는 돌아와 새로운 왕 오트빈과 평화 협정을 맺었고, 이전에 합의했던 대로 보드빌드와 결혼했다.
5. 지명
잉글랜드에는 고분이 있었는데, 지역 전설에 따르면 보도힐드의 무덤이었다고 한다. 이 고분은 현재 사라졌지만, 1850년에 발굴되었으며, 이때 흑옥 장식품, 킴머리지 반지, 청동 핀이 발견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Deor'' at the site of the society ''Ða Engliscan Gesiþas''"
http://www.kami.demo[...]
Kami.demon.co.uk
1997-01-22
[2]
웹사이트
Modern English translation by Steve Pollington, Published in Wiðowinde 100, at the site of the society ''Ða Engliscan Gesiþas''
http://www.kami.demo[...]
Kami.demon.co.uk
2014-01-16
[3]
웹사이트
"''Völundarkviða'' at «Norrøne Tekster og Kvad», Norway."
http://wayback.vefsa[...]
[4]
웹사이트
Translation by Bellows
http://www.sacred-te[...]
Sacred-texts.com
2014-0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