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딘슈트라세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딘슈트라세역은 독일 베를린 지하철 8호선에 있는 역이다. 1912년 AEG의 도시 철도 계획으로 건설이 시작되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20년대 중반에 착공하여 1927년 7월 17일 개통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의 폭격으로 1945년 4월 23일부터 5월 14일까지 영업이 중단되었으나, 비교적 빠르게 운행이 재개되어 베를린 재건의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다. 2012년부터 개보수 공사가 진행되어 2013년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고, 2014년 전체 공사가 완료되었다. 라이네슈트라세역과 헤르만플라츠역 사이에 위치하며, 베를린 버스 M43, 166번과 환승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이쾰른구의 건축물 - 베를린 순환선
베를린 순환선은 베를린의 주요 철도 노선들을 연결하는 순환선 철도로, 왕립 역 연결 철도 건설로 기틀이 마련되어 완전한 순환선으로 개통, 전철화, 베를린 S반 운행 시작 등의 발전을 거쳐 동서 분단 후 재통일되어 현재 S41, S42 노선으로 운행되고 있다. - 노이쾰른구의 건축물 - 헤르만플라츠역
헤르만플라츠역은 베를린 지하철 7호선과 8호선이 교차하는 환승역으로, 1926년 U7 노선 개통 이후 U8 노선 개통과 함께 베를린 지하철 최초로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었다. - 베를린 지하철 8호선 - 베르나우어 슈트라세역
베르나우어 슈트라세역은 독일 베를린 지하철 8호선에 있는 역으로, 1930년에 개통되었으나 전쟁과 장벽 건설로 인해 유령역이 되었다가 재개통되어 현재는 베를린 노면전차 및 버스와 환승할 수 있다. - 베를린 지하철 8호선 - 베를린 야노비츠브뤼케역
베를린 야노비츠브뤼케역은 독일 베를린에 있는 S반과 U반의 환승역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베를린 장벽 건설로 인해 폐쇄되었다가 재개통되어 현재 중요한 교통 허브 역할을 한다. - 베를린 지하철역 - 달렘도르프역
달렘도르프역은 1913년에 개통된 역으로, 북부 독일 농가 형태의 건물로 지어졌으며, 화재로 복원되었고, 베를린 지하철 3호선 구간에 위치한다. - 베를린 지하철역 - 베르나우어 슈트라세역
베르나우어 슈트라세역은 독일 베를린 지하철 8호선에 있는 역으로, 1930년에 개통되었으나 전쟁과 장벽 건설로 인해 유령역이 되었다가 재개통되어 현재는 베를린 노면전차 및 버스와 환승할 수 있다.
보딘슈트라세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역 이름 | 보딘슈트라세 |
원어 이름 | Boddinstraße |
위치 | 베를린 노이쾰른구 보딘슈트라세 |
운영 주체 | 베를린 교통 공사 |
개업일 | 1927년 7월 17일 |
구조 | 지하 |
승강장 형태 | 1면 2선 (섬식) |
노선 | 베를린 지하철 8호선 |
이전 역 | 헤르만플라츠 |
다음 역 | 라이네슈트라세 |
버스 연결편 | 104 166 |
VBB 존 | VBB: 베를린 A/5555 |
웹사이트 | 베를린 교통 공사 웹사이트 |
노선 정보 | |
이미지 정보 | |
![]() |
2. 역사
보딘슈트라세역의 건설은 1912년 계획되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지연되어 1920년대 중반에야 실제 공사가 시작되었고, 1927년 7월 17일에 정식으로 개통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베를린 폭격으로 인해 1945년 4월 23일부터 잠시 운영이 중단되었으나, 전쟁 후 비교적 빠르게 운행을 재개한 역 중 하나이다. 전후 시간이 흐르면서 1960년대에는 역의 일부 시설이 폐쇄되기도 했으며, 21세기에 들어서는 역 시설 현대화 및 접근성 개선을 위한 개보수 공사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진행되었다.[5][4][6][7]
2. 1. 건설 과정 (1912-1927)
1912년 AEG의 도시 철도 계획이 건축 허가를 받으면서, 현재 U8 노선의 일부인 보딘슈트라세역 건설 계획도 포함되었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인해 실제 착공은 1920년대 중반까지 지연되었다.역사 설계는 알프레드 그레난데르와 알프레트 페제(Alfred Fehse)가 맡았다. 이들은 1923년에 개통된 남북 도시철도(오늘날의 U6) 역사의 디자인을 참고하여 보딘슈트라세역을 설계했다. 역사 외벽은 밝은 회색 세라믹 타일로 마감되었고, 위와 아래 가장자리에는 파란색 줄무늬를 넣어 포인트를 주었다. 승강장 중앙에 위치한 기둥 역시 파란색 타일로 마감하여 통일성을 더했다.[3] 승강장 바닥은 아스팔트로 포장되었으며, 이용객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표지판은 검은색 배경에 흰색 글씨로 제작되었다. 역 남쪽으로는 열차 회차 및 주박을 위한 인상선 2선이 설치되었다. 남부 출입구에는 독특한 십각형 모양의 역명판이 설치되었고, 북부 출입구에는 지하 화장실이 마련되었다.
1925년부터 1926년까지 당시 관할 구역이었던 노이쾰른구에서 건설을 강력하게 추진하였다. 마침내 1927년 7월 17일, 보딘슈트라세역과 쇤라인슈트라세역 사이의 구간이 개통되면서 보딘슈트라세역도 정식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2. 2.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1939-1945)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연합군의 베를린 폭격으로 인하여 1945년 4월 23일부터 영업이 중단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비교적 빠른 시일 내에 운행이 재개되었는데, 1945년 5월 14일 쇤라인슈트라세역 방면 운행이 먼저 재개되었고, 사흘 뒤인 5월 17일에는 남쪽 라이네슈트라세역까지 운행이 복구되었다. 이 역은 란트베어 운하 주변의 폭격 피해에서 비교적 자유로웠기 때문에 빠른 복구가 가능했으며, 전쟁 이후 베를린 지하철역 중 가장 먼저 운행을 재개한 역 중 하나이다.2. 3. 현대화 (1960-현재)
1960년대에는 역 북부 출입구에 설치되었던 지하 화장실이 폐쇄되었다. BVG, BSR, 노이쾰른구 사이에서 관리 책임 소재가 불분명하여 오랫동안 방치되었고, 결국 2007년에 철거되었다.[5][4]2012년 초 BVG는 역의 전면적인 개보수 공사 계획을 발표했으며, 여기에는 교통약자의 접근성 개선을 위한 시설 설치가 포함되었다.[6] 실제 공사는 2012년 가을에 시작되었다. 이 공사로 인해 보딘슈트라세역과 헤르만슈트라세역 사이 구간의 열차 운행이 2013년 8월 12일부터 2014년 8월 25일까지 중단되었다. 2013년 11월 29일에는 엘리베이터가 가동을 시작하여 승강장 접근성이 개선되었다. 역 전체 개보수 공사는 2014년 8월 25일에 완료되었다.[7]
3. 역 구조
보딘슈트라세역은 알프레드 그레난데르와 알프레트 페제(Alfred Fehse)가 설계했으며, 1923년에 개통된 남북 도시철도(오늘날의 U6)와 비슷한 디자인을 채택했다. 역사 외벽은 밝은 회색 세라믹 타일로 마감되었고, 위아래에는 파란색 줄무늬가 추가되었다. 승강장은 상대식 구조이며, 중앙 기둥은 파란색으로 마감되었다. 초기 승강장 바닥은 아스팔트로 포장되어 있었다. 역 표지판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검은 배경에 흰 글씨를 사용했다.
역 남쪽으로는 인상선 2선이 설치되어 있다. 남부 출입구에는 십각형 모양의 역명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북부 출입구에는 과거 지하 화장실이 있었으나 1960년대에 폐쇄된 후 관리 부재로 2007년에 철거되었다.[5] 2013년 11월 29일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운영을 시작했다.[7]
4. 역 주변
베를린 버스 M43, 166번과 환승 가능하다.
5. 인접 역
(헤르만슈트라세 방면)
(비테나우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