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우 (고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우는 고려 후기의 승려로, 홍주 출신이다. 13세에 출가하여 수행했으며, 25세에 승과에 급제했으나 명예를 버리고 고행했다. 삼각산에 태고사를 창건하고 원나라에서 임제종 법을 받아와 임제종의 시조가 되었다. 공민왕의 왕사로 활동했으나 신돈의 횡포를 비판하고 법주사에 은거했으며, 신돈 사후 우왕의 국사가 되었다. 구산 선문을 통합하고 원융부를 건립하여 불교 개혁을 시도했으며, 한양 천도를 주장하기도 했다. 드라마 《개국》과 《신돈》에서 등장하며, 특히 신돈과의 갈등 관계를 중심으로 묘사된다.
홍주(현 충청남도 홍성군)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홍연(洪延), 어머니는 정씨이며, 해가 품에 들어오는 태몽이 있었다.[4]
보우는 대각국사 의천이 비판했던 구산을 통합하고, 입과 귀로만 불교를 배우는 구이지학(口耳之學)을 지양하고자 했다.[7] 그리하여 원융부(圓融府)를 건립하고 선사(禪師)의 품법으로 모든 불교를 총섭하여 사회 질서를 유지하고자 했다.[7]
2. 생애
2. 1. 출가와 수행
13세(1313년)에 회암사에서 광지의 제자가 되어 출가하였고, 얼마 뒤 가지산으로 가서 수행하였다.[4]
25세(1325년, 충숙왕 12년)에 승과인 화엄선(華嚴選)에 급제했으나 명예와 이익을 버리고 감로사에서 고행하였다.[4][5]
삼각산에 태고사를 지었고, 1346년(충목왕 2년) 원나라에 가서 하무산(霞霧山) 청공의 법을 이어받아 임제종의 시조가 되었다.[4]
2. 2. 왕실과의 관계 및 불교 개혁 활동
1346년(충목왕 재위 2년) 원나라에 가서 하무산(霞霧山) 청공(淸珙)의 법을 이어받아 임제종의 시조가 되었다.[4] 귀국 후 공민왕의 청으로 왕사가 되었으나, 신돈의 횡포를 비판하고 소설사(小雪師)로 돌아갔다.[4][7] 신돈에게 참소를 당할 위기에 처하자 법주사(法住寺)에 은거하였다.[4][7] 신돈이 죽은 후 우왕의 국사가 되었다.[4][7]
3. 사상과 활동
보우는 만법귀일(萬法歸一) '''·''' 무자(無字)와 같은 화두를 참선하여 크게 깨달았으며, 충목왕 2년에 중국에 건너가 임제(臨濟)의 제17대 법손(法孫) 석옥(石屋)에게서 법을 받고 충목왕 4년에 귀국했다.[5] 귀국 후에는 절에 머물지 않고 광주 소설산(小雪山)에서 경작에 힘썼다.[5] 공민왕이 보우를 불러 법을 물었을 때 보우는 왕도는 불교 신앙에 있지 않고 밝은 정치에 있다고 간언했다(《고려사》권 38).[5]
또한 선종 구산을 통합하여 임제종의 백장청규(百丈淸規)로써 기강을 바로잡고자 했다.[5]
3. 1. 한양 천도 주장
보우는 개경은 왕기가 다했으니 복고 정치가 어려우므로 한양으로 도읍을 옮길 것을 주장했다(《유창선도증국사행장》 (공민왕 5년)).[5] 공민왕은 보우의 건의를 수용해 광명사(廣明寺)에 원융부(圓融府)를 두고 구산 통합에 착수하였고 한양에 궁궐을 짓게 하였다.[5] 그러나 한양 천도는 일부 신하가 묘청의 예를 들어 반대하므로 좌절되고 이와 함께 원융부[8]도 불과 10개월 만에 해체되고 말았다.[5]
한양 천도는 인심을 일변하게 하고 정교를 쇄신하려는 의도였고, 천도 이유로 든 풍수지리설은 당시 풍조를 현실에 맞게 이용하려 한 기도였다.[5]
4. 보우가 등장한 작품
1983년 KBS 드라마 《개국》에서 배우 정민이 보우를 연기하였다.
2005년 MBC 드라마 《신돈》에서 배우 임혁이 보우를 연기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T'aigo Wangsa {{!}} Korean Buddhist monk
https://www.britanni[...]
2020-05-17
[2]
웹사이트
Taego Order, Overseas Parish: History
http://www.taegozen.[...]
2012-12-27
[3]
웹사이트
Muddy Water Zen: About Taego Order
http://muddywaterzen[...]
2012-12-27
[4]
백과사전
한국사 > 중세사회의 발전 > 고려 후기의 사회와 문화 > 고려 후기의 문화 > 보우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5]
백과사전
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고려시대의 사상 > 고려시대의 불교사상 > 보우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6]
백과사전
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고려시대의 사상 > 고려시대의 불교사상 > 고려시대의 불교사상〔槪說〕 > 보우의 9산통합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7]
백과사전
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불교 > 한국불교의 역사 > 고려시대의 불교 > 보우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8]
문서
고려 공민왕(恭愍王) 5년 서기 1356년에 왕사로 책봉된 보우가 국왕에게 허락받아 광명사(廣明寺)에 설치한 관청. 당시 불교는 사상에 관계되어 분열하고 대립하였는데 보우는 임제선(臨濟禪)에 의거해 구산 선종을 통일하여 극복하고자 하였으며, 원융부는 이런 보우의 의지가 수용되어 설치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