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트니아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트니아만은 스웨덴과 핀란드 사이에 위치한 발트해 북쪽의 만으로, 스웨덴어로는 Bottenviken, 핀란드어로는 Pohjanmaa라고 불린다. 길이는 약 725km, 너비 80–240km, 평균 수심 60m이며, 융기 현상으로 인해 수심과 면적이 줄어들고 있다. 염분 농도가 낮아 담수어가 서식하며, 북쪽의 보트니아만과 남쪽의 보트니아해로 나뉜다. 주요 도시로는 루레오, 우메오, 토르니오, 오울루 등이 있으며, 임업과 항만 운송이 발달했다. 보트니아만으로 칼라요키 강, 케미요키 강 등 여러 강이 흘러든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의 만 - 보트니아만 (북)
    보트니아만 (북)은 스웨덴과 핀란드 사이에 있는 발트해 북쪽 만으로, 낮은 염분, 긴 결빙 기간, 지반 융기, 많은 섬들이 특징이며, 습윤 대륙성 기후와 아한대 기후 지역에 위치하여 어업, 해운업, 제지·철강 산업이 발달했고 환경 보전 노력이 진행 중입니다.
보트니아만
지도 정보
명칭
한국어보트니아만
핀란드어Pohjanlahti (포흐얀라흐티)
스웨덴어Bottniska viken (보트니스카 비켄)
지리
위치발트해 북쪽
면적117,000 km²
최대 깊이295 m
평균 깊이60 m
수심50~70m
염도0.2~0.7%
유입 강오울루 강
달 강
옹에르만 강
특징
설명발트해의 북쪽 부분으로, 핀란드와 스웨덴 사이에 위치한다.
만의 북쪽 부분은 보트니아 만으로 알려져 있다.
겨울철에는 얼어붙는다.
수심이 얕고 염도가 낮다.
해양학적 특징유입 강에 의해 염도가 낮으며, 담수와 가까운 환경을 가지고 있다.
빙하기에 의해 형성된 지형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역사
역사적 중요성수세기 동안 중요한 해상 교통로 역할을 해왔다.
지역 경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어업 및 해상 활동의 중심지이다.
만 주변의 연안 도시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항구 도시 역할을 수행했다.
환경
생태계다양한 해양 생물 서식지이다.
환경 문제오염 및 기후 변화의 영향을 받고 있다.

2. 명칭

보트니아(Bothnia)는 라틴어 표기이다. 스웨덴어로는 Bottenvikensv, 핀란드어로는 Pohjanmaafi라고 불린다.[1][2]

스웨덴어 명칭의 Bottensv고대 노르드어로 '만' 또는 '입구'를 의미하는 botnnon에서 유래했다.[1] 이는 영어 단어 'bottom'과 동족어이다.

핀란드어 명칭인 Pohjanmaafi에서 maafi는 '땅'을 의미하며, pohjafi는 '저지대'와 '북쪽'이라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2] Pohjafi는 북쪽을 의미하는 pohjoinenfi의 어근에 형용사 접미사가 추가된 형태이다.

3. 지리

보트니아만은 길이 725km, 너비 80km 에서 240km, 평균 수심 60m이다. 최대 수심은 295m이며, 면적은 117km2이다. 국제수로기구는 보트니아만의 남쪽 경계를 올란드 제도핀란드 본토 사이를 잇는 선으로 정의한다.[3] 최북단은 토레에 위치하며, 좌표는 북위 65° 54′ 07″, 동경 22° 39′ 00″이다.[4]

2006년 6월 핀란드 보트니아만 전경


항로표지소와 마르야니에미 등대가 있는 하일루오토 섬. 오울루 시 근처 보트니아만에 위치


보트니아만 연안 칼라요키의 모래 해변


여러 강이 보트니아만으로 흘러들어오기 때문에 북쪽에서 남쪽으로 갈수록 염분 농도가 낮아진다. 남쪽은 발트해의 일반적인 기수이지만, 북쪽 보트니아만에서는 염분이 매우 낮아, 크바르켄 근처에서는 0.4%, 최북단에서는 0.2%[8]에 불과하여 파이크, 흰살 생선, 농어와 같은 많은 담수어가 서식한다.[6]

보트니아만은 북쪽의 보트니아만과 남쪽의 보트니아해로 구성되며, 크바르켄 해협이 두 지역을 나눈다. 크바르켄 지역은 수심이 약 25m이고 빙하기 이후 지반융기 속도가 연간 거의 10mm이다.

지난 빙하기 동안 대륙 빙하에 의해 약 약 792.48m 에서 약 1005.84m 가라앉았던 땅이 융기하면서 보트니아만의 수심과 면적은 끊임없이 감소하고 있다. 융기 속도는 100년에 80cm이다.[6] 이러한 융기 속도는 점차 느려지겠지만, 균형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약 91.44m 에서 약 121.92m 더 융기할 것으로 추정된다.[5] 2000년 이내에 보트니아만은 보트니아만의 나머지 부분과 분리되어 담수호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보트니아만은 거의 담수에 가까워 매년 5개월 동안 얼어붙는다. 발트해의 결빙은 보트니아만 북부에서 시작하여 끝난다. 쇄빙선 지원이 필요한 운항 제한은 일반적으로 1월 말부터 4월 말까지 보트니아만 전체에, 그리고 12월 중순부터 5월 중순까지 최북단 항구에 적용된다.[9]

3. 1. 주요 도시 및 항구

보트니아 만 연안의 주요 도시는 다음과 같다.

보트니아 만의 주요 도시
국가도시
스웨덴루레오, 우메오, 순스발, 예블레, 헤르뇌산드
핀란드토르니오, 오울루, 바사, 라우마, 포리, 야코브스타드, 칼라요키, 코크콜라, 크리스티네스타드



스웨덴의 루레오는 키루나 광산 등에서 채굴된 철광석의 주요 수출항이다. 그러나 루레오는 1년의 절반 이상이 결빙되기 때문에, 스칸디나비아반도 북쪽 해안의 노르웨이 나르비크가 대체 수출항이 되는 경우가 많다.[16]

4. 지질

지질학적으로 보트니아만은 고대의 지각 변동으로 생긴 움푹 들어간 곳이다. 이 움푹 들어간 곳은 선캄브리아기와 고생대에 퇴적된 퇴적암으로 일부 채워져 있다. 만에 인접한 평원은 캄브리아기 이전 평야의 일부이다.[10]

빙하퇴적 후 지반융기로 노라 크바르켄 지역의 해저가 수면 위로 올라와 보트니아만이 남쪽 만과 북쪽 호수로 분리될 것으로 추정된다.[11]

보트니아만 안쪽 루레오 주변에서는, 빙하기가 끝난 후 지각이 원래대로 돌아가려고 상승하는 아이소스타시 현상 때문에 이미 250m 정도의 융기를 기록하고 있으며, 스칸디나비아반도 남단 근처에서는 50m 정도의 융기가 있다.[16]

5. 역사

보트니아만은 고대 및 중세 지리학자들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1427년 덴마크 지도 제작자 클라우디우스 클라부스(Claudius Clavus)의 지도와 1493년에 인쇄된 하르트만 셰델(Hartmann Schedel)의 지도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보트니아만이 이름 없이 처음으로 묘사된 것은 1482년 니콜라우스 게르마누스(Nicolaus Germanus)의 지도이다.[12]

6. 경제

보트니아만 주변 지역은 숲이 우거져 있어, 벌목된 나무가 연안으로 운반되어 제재되는 임업이 발달했다. 보트니아만은 또한 연안 도시로의 석유 운송과 라아헤(Raahe)의 제철소로의 광석 운송과 같은 해상 운송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13]

국제 운송 톤수 측면에서 핀란드 측의 주요 항구는 라우마, 코콜라, 토르니오이다.[13] 스웨덴 측의 주요 항구는 루레오, 스켈레프테오, 우메오, 순드스발, 예블레, 하르그샴에 있다. 루레오에서는 철광석 펠릿을 수출하고 석탄을 수입한다. 예블레는 스웨덴에서 세 번째로 큰 컨테이너 항구이며, 임산물과 석유도 취급한다.[14] 보트니아만의 항만 운영에서는 평균 6개월에 달하는 결빙기에 쇄빙선 지원이 필요할 수 있다.[15]

동유럽 청어 어업이 주로 국내 수요를 위해 일부 존재한다. 보트니아만은 큰 유역으로 둘러싸여 있고 대서양의 더 신선한 물과 연결이 잘 되어 있지 않아 오염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수은과 PCB 수치가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핀란드 식품 안전청은 청어를 식용으로 간주한다. 수치가 기준치를 초과하지만, 지방산은 이러한 위험을 상쇄하는 건강상의 이점이 있다.

7. 주요 강

국가강 이름
스웨덴달얼븐 강, 유스난 강, 유간 강, 인달스얼븐 강, 옹에르만 강, 우메 강, 스켈레프테 강, 피테 강, 룰레 강, 칼릭스 강, 토르네 강
핀란드칼라요키 강, 케미요키 강, 키민키요키 강, 코케매엔요키 강, 울루요키 강



```

제시된 출력물은 이미 지시사항을 준수하여 작성되었으므로 변경할 내용이 없습니다.

7. 1. 스웨덴


  • 달얼븐 강
  • 유스난 강
  • 유간 강
  • 인달스얼븐 강
  • 옹에르만 강
  • 우메 강
  • 스켈레프테 강
  • 피테 강
  • 룰레 강
  • 칼릭스 강
  • 토르네 강

7. 2. 핀란드

강 이름링크
케미 강케미요키 강
오울루 강울루요키 강
칼라 강칼라요키 강
코케매키 강코케매엔요키 강


8. 기타

같은 유럽에 위치한 국가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보스니아와는 무관하다.

참조

[1] 웹사이트 Svensk etymologisk ordbok https://runeberg.org[...]
[2] 웹사이트 suomen kielisten ilmansuuntien etymologia https://web.archive.[...] 2006-07-26
[3] 웹사이트 Limits of Oceans and Seas, 3rd edition https://iho.int/uplo[...]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2020-12-28
[4] 웹사이트 Töre båthamn http://www.bottenvik[...] bottenviken.se 2015-12-01
[5] 서적 Geologica: Earth’s Dynamic Forces
[6] 웹사이트 About the Bay of Bothnia https://web.archive.[...] Bottenvikens Skargård 2015-12-01
[7] 웹사이트 Gulf of Bothnia http://www.ku.lt/nem[...]
[8] 웹사이트 Perämeren erityispiirteet http://www.ymparisto[...]
[9] 웹사이트 Typical restrictions to navigation 1994/95-2003/04 http://portal.fma.fi[...] 2015-12-01
[10] 논문 A long-term perspective on glacial erosion 1997
[11] 논문 Late Weichselian and Holocene shore displacement history of the Baltic Sea in Finland http://www.helsinki.[...] 2002
[12] 서적 Suomi 500 vuotta Euroopan kartalla Gummerus
[13] 웹사이트 Table 4. Statistics on international shipping 2014 https://web.archive.[...] 2015-12-01
[14] 문서 Havsplanering http://www.lansstyre[...]
[15] 웹사이트 Climate change creates new prerequisites for shipping https://web.archive.[...] SYKE, Aalto University, YTK & Finnish Met. Institute 2015-12-01
[16] 서적 北欧内のスウェーデンの地理的位置 明石書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