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풀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본풀이는 신의 기원에 대한 이야기로, 굿 의식에서 무당이 낭송하며 신들의 호의를 구하는 역할을 한다. 구비문학의 한 장르로, 무당마다 고유한 버전이 존재하며, 운율과 표현 방식에서 특징을 보인다. 본풀이는 일반, 마을-당, 조상신, 특별 본풀이로 나뉘며, 각 유형에 따라 다양한 신화적 내용과 의례적 의미를 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사무가 - 차사본풀이
차사본풀이는 저승사자 강림의 기원과 활약을 그린 한국 무속 신화로, 큰굿이나 괸당풀이에서 서사 무가 형태로 낭송되며, 범왕의 아들들의 죽음에 대한 진실을 밝히기 위해 염라대왕을 잡아오는 강림의 여정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 서사무가 - 천지왕본풀이
천지왕본풀이는 하늘과 땅의 창조와 천지왕의 탄생을 다루며, 대별왕과 소별왕 형제의 경쟁, 인간 세상의 질서 확립, 인간 심판 등의 내용을 담고 있는 한국 신화이다. - 한국의 노래 - 아리랑
아리랑은 19세기 이후 등장한 한국의 민요로, 슬픔과 희망을 담은 멜로디가 특징이며, 다양한 종류와 어원 해석이 존재하고, 일제강점기 저항의 노래, 남북 분단 이후 통일 염원의 노래로 불렸으며, 유네스코 무형유산으로 등재되어 대중문화에 널리 활용된다. - 한국의 노래 - 서도소리
서도소리는 한반도 서부 지역에서 전승되는 민요로, 짧은 장절 형식의 민요, 긴 통절 형식의 잡가, 한시를 읊는 시창으로 나뉘며 수심가, 난봉가, 산염불 등이 대표적이고, 수심가토리 가락과 속청, 본청 창법을 특징으로 하며 관산융마, 배뱅이굿 등으로도 전승된다.
본풀이 | |
---|---|
개요 | |
유형 | 한국 샤머니즘 내러티브 |
지역 | 제주도 |
언어 | 제주어 |
관련 문서 | 천지왕 세경 문전 차사 삼승할망 초공 이공 삼공 제주도 무속 |
명칭 | |
한국어 (한글) | 본풀이 |
한국어 (한자) | 本풀이 |
로마자 표기 | Bon-puri |
영어 (직역) | Origin Narration |
2. 어원
''본풀이''는 "기원"을 뜻하는 한자어 명사 ''본''(本)과 "이야기하다"라는 동사 ''풀다''의 명사화 형태인 ''풀이''의 합성어이다. 따라서 ''본풀이''의 기본적인 의미는 신의 기원, 즉 숭배받는 신이 어떻게 신적인 지위를 얻게 되었는가에 대한 이야기이다. 어떤 구절에서 ''풀다''는 "달래다"라는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본풀이''는 신을 기쁘게 하거나 신의 불만을 달래는 이야기라는 뉘앙스도 포함할 수 있다.
굿 의식의 일부로 무당이 항상 낭송하는 것이 본풀이이며, 이 의식에서 무당은 신들의 호의를 간청하기 위해 인간 세계로 신들을 부른다. 많은 본풀이 작품은 신들을 기쁘게 하고 그들의 의식 참여를 장려하기 위해 공연의 이유를 명시적으로 밝히고 있다. 예를 들어 초공 본풀이에서 발췌한 내용이다.[1]
본풀이는 구비문학의 한 장르로, 정해진 텍스트는 없지만 무당마다 고유한 버전을 가지면서도 일정한 일관성을 유지한다. 민속학자 장주근은 경험 많은 무당들이 '조공 본풀이' 공연을 10번이나 중단시키고 세부 사항에 이의를 제기한 사례를 언급하며, 극단적인 경우 무당이 교체될 수도 있다고 설명한다.
본풀이는 크게 일반, 마을-당, 조상신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3. 의례적 맥락
귀신은 본을 풀민 신나락하는 법이옵고 생인은 본 풀민 백년원수 지는 법이웨다.|신의 기원을 말하면, 그 신은 기뻐하게 되고 사람의 기원을 말하면, 백 년 동안의 원수를 만들게 된다.jje
제주도 무속 신앙에서 인간은 불완전한 존재이며, 그들에 대해 더 많이 알수록 그들의 결점이 더 명확해진다. 이와 대조적으로 숭배받는 신들은 모범적인 존재이며, 그들의 행위를 이야기하는 것은 그들의 탁월함을 알리고 의식에서 그들의 호의를 얻는 것이다.[2]
무당은 제물 제단을 마주보고 앉아 사람들로부터 등을 돌린 채 본풀이를 부른다. 본풀이는 항상 장구 북 장단에 맞춰 불린다.
4. 특징
본풀이 공연은 신들에게 낭송 시작을 알리고, 신들이 의식 장소로 내려오기를 요청하며, 소환되는 신들의 계보를 읊는 것으로 이어진다. 토산 마을 신의 본풀이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일뢰한집 난수생 올립니다. 본산국데레 과광성 신풀어사옵소서... 일뢰또한집 어멍국은 웃손당 백주님, 아바님은 알손당 소천국 하르바님, 하나 두개 시개 늬개 다서 여ᄉᆞ 일고차 아들입니다.|칠일 대가의 ''난수생''[1]을 올립니다. 본향으로 굳건히 내려오소서... 칠일 대가 신의 어머니는 웃손당 백주님, 아버지는 알손당 소천국 할아버지십니다.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 그는 일곱 번째 아들입니다.jje
본풀이의 운율은 음절 수에 기초하며, 기본적으로 두 개의 4음절 음보로 구성되지만, 첫 음보가 3음절, 두 번째 음보가 5음절인 경우도 많다. 또한, 병렬이나 반복을 포함하는 공식적인 구절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많은 마을 신사 본풀이는 주인공이 마을 사람들의 삶을 다스리는 신이 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 안음 버은 금책에, 좀이 버은 금붓대, 삼천장 베릿돌에 일만장의 먹을 ᄀᆞᆯ려... ᄆᆞ을의 장적 호적 문세를 찾이.|팔꿈치만큼 두꺼운 신성한 책과 주먹만큼 두꺼운 신성한 붓으로, [신은] 삼천 장 벼루에 만 페이지 분량의 먹을 갈아... 마을의 ''장적''과 ''호적'' 문서를 관리한다.[2]jje
본풀이는 서술의 주요 순간에 강조적인 현재 시제를 사용(동사 종결 어미 '-고(나)'로 표시)하여 이야기가 의례를 통해 현재 재연되고 있다는 인상을 준다. 신화적 과거가 재연된다는 인상은 서술 없이 직접 인용된 대화가 길게 이어지면서 더욱 강해진다. '삼공 본풀이'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은장아가 은장아가, 너는 누구 덕에 밥을 먹고 은대영에 싯술ᄒᆞ고 놋대영에 시수를 ᄒᆞ느냐?"
>
>"아바님도 덕입네다. 어머님도 덕입네다."
>
>"나 ᄄᆞᆯ애기 착실하다. 네 방으로 들어가라."|"은장아! 은장아! 누구의 은혜로 밥을 먹고 은 대야에 얼굴을 씻고, 놋 대야에 얼굴을 씻느냐?"
>
>"아버지의 은혜이옵니다. 어머니의 은혜이옵니다."
>
>"우리 딸은 옳고 그름을 안다. 네 방으로 들어가거라."jje
본풀이에는 제주나 한국 어디에서도 증명되지 않는 표현들이 많다. 예를 들어, 신들의 수호견을 "뜰의 ''나구리'', 땅의 ''나구리''"라고 부르는 표현이 있는데, 이러한 표현들의 정확한 의미는 불분명하다.
많은 본풀이는 제주 의례 생활의 특정 측면에 대한 신화적 이유를 설명하며 끝을 맺는다. 마을 신사 본풀이의 경우, 마지막 문장은 다음과 같은 공식적인 기원으로 마무리된다.
> 어진 한집님전 축하올립니다.|자비로운 대가 님께 칭송을 올립니다.jje
5. 유형
열두 개의 일반 본풀이(일반신본풀이|ilban-sin bon-puri한국어)는 모든 무당이 외워야 하며, 섬 전체에서 숭배되는 신들의 기원을 다룬다. 마을-당 본풀이(당신본풀이|dang-sin bon-puri한국어)는 특정 마을의 수호신에 대한 이야기이다. 무당은 자신이 속한 마을과 인접한 마을의 본풀이만 외우는데, 이는 인접 마을의 신들이 가까운 친척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조상신 본풀이(조상신본풀이|josang-sin bon-puri한국어)는 특정 가문이나 직업의 수호신 (때로는 신격화된 역사적 인물)을 다루며, 해당 가문에 속한 무당만이 암송한다.
다섯 개의 본풀이는 위의 범주에 명확하게 속하지 않고 의례적 중요성이 불분명하여 특별 본풀이(특수신본풀이|teuksu-sin bon-puri한국어)로 분류된다. 무당들은 더 이상 특별 본풀이를 낭송하지 않는다.[1]
5. 1. 일반 본풀이
5. 2. 마을-당 본풀이
제주도에는 300개가 넘는 마을 신당이 있지만, 동일한 신을 숭배하는 경우가 많고, 관련된 본풀이가 없는 신당도 많아 실제 마을 신당 본풀이는 70~80개 정도이다.[1] 마을 신당 본풀이는 6가지 이야기 요소를 가지며, 이 요소의 포함 여부에 따라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2]
6가지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육식을 하는 사냥 신이 지역 언덕에서 나타난다.
2. 쌀을 먹는 농업 여신이 해외(주로 서울, 중국, 천국, 바다, 신화 속 땅)에서 온다. 일부 여신은 뱀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칠성 본풀이는 원래 함덕 마을의 본풀이였으나 섬 전체에서 숭배하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3. 두 신이 결혼한다. 여신은 주로 신에게 사냥을 그만두고 농사를 짓도록 권유한다.
4. 두 신은 일반적으로 식습관 차이로 인해 이혼한다. 송당 신당 본풀이에서는 여신이 남편에게 밭을 갈도록 권유하고, 남편이 쟁기질하는 소를 모두 먹어버리자 이혼한다. 본풀이 이야기는 일반적으로 육식을 하는 남편보다 농업 여신을 더 옹호한다.
5. 두 신의 아들은 중국 황제를 섬기는 등 해외에서 무예를 펼치고, 스스로 세 번째 마을의 신이 된다.
6. 신 또는 신들은 마을의 수호신이 된다. 일부 본풀이에서는 신들이 화살을 쏘아 떨어진 곳을 맡는다. 다른 이야기에서는 신이 자신의 존재를 인정하고 숭배를 받을 때까지 마을에 저주를 내리거나, 신에게 더 적합한 곳으로 마을을 옮기도록 권유한다.
5가지 유형은 다음과 같다.
많은 마을 신당 본풀이는 그들의 신을 다른 신들의 친족으로 설정한다. 송당 신당은 전용 완성 본풀이를 가지고 있으며, 송당 신들이 18명의 아들, 28명의 딸, 378명의 손자녀를 두었고, 이들 모두가 다양한 마을의 수호신이 되었기 때문에 이 관계에서 매우 중요하다.
극히 드문 경우로, 마을의 수호신이 천지왕 본풀이의 쌍둥이 주인공인 대별왕과 소별왕으로 여겨지는 마을 신당 본풀이도 있다. 이것은 위의 어떤 유형에도 속하지 않는다.
5. 3. 조상신 본풀이
선조 ''본풀이''는 가족과 직업의 수호신에게 헌정되며, 이들은 실제로 조상으로 인식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어업과 관련된 신 영등의 ''본풀이''는 어부의 가족 출신 무당만 수행한다. 숭배되는 신의 정체성은 다양하다. 일부 가족은 역사적 조상을 숭배하고, 다른 가족은 뱀, 도깨비, 노파, 또는 어린 소녀를 숭배한다. 전통적으로 가족 내 무당만 알고 있기 때문에 외부인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1]
5. 4. 특별 본풀이
다섯 개의 특별한 "본풀이"가 있다.
6. 목록
참조
[1]
서적
제주도 조상신본풀이 연구
보고사
2006
[2]
참고문헌
제주도 무속자료사전 - 열두 본풀이 자료집
칠머리당굿 보존회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