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쇼이우수리스키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쇼이우수리스키섬은 아무르강과 우수리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한 섬으로, 1860년 베이징 조약에 따라 중국 영토로 지정되었다. 1929년 중소 분쟁 이후 소련이 점령했으나, 1964년부터 중소 국경 분쟁의 주요 쟁점이 되었다. 2001년 중러 선린 우호 협력 조약 체결 이후, 2004년 협정을 통해 섬의 약 절반이 중국에 반환되었고, 2008년에는 서쪽 절반과 인룽섬이 추가로 반환되었다. 그러나 2023년 중국이 이 섬 전체를 자국 영토로 표기한 지도를 발표하면서 논란이 일어났다. 이 섬은 현재 러시아 하바롭스크 지방과 중국 헤이룽장성 푸위안 시에 걸쳐 있으며,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바롭스크 변경주의 섬 - 샨타르스키예 제도
샨타르스키예 제도는 러시아 하바롭스크 지방의 약 15개 섬으로 이루어진 군도로, 17세기 초 러시아 탐험가에 의해 발견되었고 현재는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보호받는 야생 동식물의 서식지이다.
볼쇼이우수리스키섬 | |
---|---|
위치 정보 | |
위치 | 중국과 러시아 국경의 아무르강과 우수리강 합류 지점 |
일반 정보 | |
다른 이름 | 러시아어: Остров Большой Уссурийский (오스트로프 볼쇼이 우수리스키) 중국어 간체: 黑瞎子岛 (헤이샤쯔다오) 중국어 정체: 黑瞎子島 (헤이샤쯔다오) 만주어: ᠮᠣᠷᡞᠨ ᡠᠵᡠ ᡨᡠᠨ (모린 우주 툰) |
위치 | 하바롭스크 지방 / 헤이룽장성 푸위안시 |
면적 | 약 327 ~ 350 제곱킬로미터 |
소속 국가 | 중국 (서쪽) 및 러시아 (동쪽) |
역사 | |
이전 소속 | 소련 / 러시아 (전체) |
분할 | 2008년, 중국과 러시아 간 국경 조약에 따라 분할 |
지리 | |
강 | 아무르강, 우수리강 |
삼각주 | 푸위안 삼각주 (일부) |
추가 정보 | |
기타 섬 | 타라바로프섬 (러시아어: Остров Тарабаров) 은룡섬 (중국어: 银龙岛, Yínlóng Dǎo) |
2. 역사
1929년 중소 분쟁(중동 철도 사건) 이후 소련이 볼쇼이우수리스키섬을 점령했지만, 중화민국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이후 소련은 볼쇼이우수리스키섬에 아파트, 교회, 별장 등 많은 시설을 지었고, 러시아인들도 섬으로 이주했다.
1964년부터 볼쇼이우수리스키섬 문제는 중소 국경 분쟁의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이 분쟁 해결이 어려웠던 이유는 러시아와 중국의 이해관계가 충돌했기 때문이다. 중국 주장대로 경계를 설정하면 하바롭스크 시가 포병 사정권 안에 놓이게 되지만, 러시아는 섬 전체를 점령하여 아무르강과 우수리강 수로 전체를 통제하고 하바롭스크에 안전한 완충 지대를 확보하려 했다. 러시아는 섬을 통제하면서 중국 선박의 아무르 강과 우수리 강 항행을 거부했다.[1]
2001년 중러 선린 우호 협력 조약이 체결되었고,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장쩌민과 러시아 연방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은 볼쇼이우수리스키섬을 거의 동서로 분할하는 것으로 원칙적인 합의를 이루었다. 2004년 푸틴 대통령이 방중하여 중러 간에 中华人民共和国和俄罗斯联邦关于中俄国界东段的补充协定|중러 국경 동단 보충 협정중국어이 체결되어 정식으로 분할이 성립되었다. 이 협정에서 러시아는 인룽다오(타라바로프섬)와 볼쇼이우수리스키섬의 약 절반에 대한 통제권을 포기하기로 합의했다. 볼쇼이우수리스키섬의 약 170km2가 중국으로 이양되었고, 나머지는 러시아의 관할 구역으로 남았다. 그 대가로 중국은 러시아가 보유한 볼쇼이우수리스키섬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모든 영토 주장을 철회하고 아무르강의 주요 수로를 따라 선박을 운항할 권리를 얻었다.
그러나 2023년 8월 28일, 중국 중화인민공화국 자연자원부가 공개한 2023년도판 표준 지도에서는 볼쇼이우수리스키섬 전역이 중국 영토로 명기되었다. 이 지도에서는 이 외에도 중국이 일방적으로 주장하는 국경선이 채택되면서 주변국들이 항의하는 사태가 발생했지만, 볼쇼이우수리스키섬에 대해 러시아의 푸틴은 침묵을 지켰다.
2. 1. 청나라와 러시아 제국의 국경 획정 (1860년)
1860년 베이징 조약에 따라 러시아 제국과 청나라 사이의 경계는 아무르강과 우수리강을 따라 정해졌다. 따라서 두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있는 이 섬은 중국 영토였다.[1] 1929년 소련은 러-만주 분쟁 이후 볼쇼이우수리스키섬과 인룽섬을 강제로 점령했지만, 이는 중국에 의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1] 이후 2004년까지 볼쇼이우수리스키섬은 중국 본토와 러시아 간의 영토 분쟁 지역이었다.[1] 소비에트 러시아가 이 섬들을 하바롭스크 지방의 일부로 통치하는 동안, 중국은 이 섬들을 헤이룽장성 푸위안현의 일부, 즉 중국 최동단 지역이라고 주장했다.[1]이 분쟁 해결이 어려웠던 이유는 러시아와 중국 간의 상충되는 이해관계 때문이었다.[1] 중국이 주장하는 대로 경계를 설정하면 하바롭스크시의 정착된 지역이 헤이샤쯔에 설치된 포병의 사정권 안에 놓이게 된다.[1] 그러나 러시아는 섬 전체를 점령함으로써 아무르강과 우수리강 수로 전체를 통제하고 하바롭스크에 안전한 완충 지대를 제공했다.[1] 러시아는 섬을 통제하는 동안 중국 선박의 아무르강과 우수리강 항행을 거부했다.[1]
2. 2. 소련의 점령과 중화민국의 반발 (1929년)
1929년 중소 분쟁(중동 철도 사건) 이후 소련이 이 섬을 점령했지만, 중화민국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1] 소비에트 러시아가 섬을 하바롭스크 지방의 일부로 통치하는 동안, 중국은 섬을 헤이룽장성 푸위안 현의 일부, 즉 중국 최동단 지역이라고 주장했다.[1]이 분쟁 해결이 어려웠던 이유는 러시아와 중국의 이해관계가 충돌했기 때문이다. 중국 주장대로 경계를 설정하면 하바롭스크 시가 포병 사정권 안에 놓이게 되지만, 러시아는 섬 전체를 점령하여 아무르강과 우수리강 수로 전체를 통제하고 하바롭스크에 안전한 완충 지대를 확보하려 했다. 러시아는 섬을 통제하면서 중국 선박의 아무르 강과 우수리 강 항행을 거부했다.[1]
1929년 중동 철도 사건을 둘러싼 소비에트 연방과 중화민국 간의 무력 충돌을 종결하는 "하바롭스크 협정"에서 소비에트 연방군은 중국 동북부에서 철수하겠다는 약속을 했지만, 볼쇼이우수리스키 섬에서는 철수하지 않아 섬의 귀속 문제가 되었다.
2. 3. 중소 국경 분쟁과 협상 (1964년~2004년)
1929년 중동 철도 사건을 둘러싼 소비에트 연방과 중화민국 간의 무력 충돌을 종결하는 "하바롭스크 협정"에서 소비에트 연방군은 중국 동북부에서 철수하겠다는 약속을 했지만, 볼쇼이우수리스키섬에서는 철수하지 않아 섬의 귀속 문제가 되었다. 그 후, 소련은 볼쇼이우수리스키섬에 아파트, 교회, 별장 등 많은 시설을 지었다. 러시아인들도 섬으로 이주했다.[1]1964년부터 볼쇼이우수리스키섬 문제는 중소 국경 분쟁의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1]
이 분쟁 해결의 어려움은 러시아와 중국 간의 상충되는 이해관계와 관련이 있었다. 중국이 주장하는 대로 경계를 설정하면 하바롭스크시의 정착된 지역이 헤이샤쯔에 설치된 포병의 사정권 안에 놓이게 된다. 그러나 러시아는 섬 전체를 점령함으로써 아무르강과 우수리강 수로 전체를 통제하고 하바롭스크에 안전한 완충 지대를 제공했다. 러시아는 섬을 통제하는 동안 중국 선박의 아무르강과 우수리강 항행을 거부했다.[1]
2001년 중러 선린 우호 협력 조약이 체결되었고,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장쩌민과 러시아 연방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은 볼쇼이우수리스키섬을 거의 동서로 분할하는 것으로 원칙적인 합의를 이루었다.
2004년 푸틴 대통령이 방중하여 중러 간에 中华人民共和国和俄罗斯联邦关于中俄国界东段的补充协定|중러 국경 동단 보충 협정중국어이 체결되어 정식으로 분할이 성립되었다.[1]
2. 4. 중러 국경 협정 체결과 분할 (2004년~2008년)
1929년 중동 철도 사건을 둘러싼 소비에트 연방과 중화민국 간의 무력 충돌을 종결하는 "하바롭스크 협정"에서 소비에트 연방군은 중국 동북부에서 철수하겠다는 약속을 했지만, 볼쇼이우수리스키섬에서는 철수하지 않아 섬의 귀속 문제가 되었다. 그 후, 소련은 볼쇼이우수리스키섬에 아파트, 교회, 별장 등 많은 시설을 지었다. 러시아인들도 섬으로 이주했다.[1]1964년부터 볼쇼이우수리스키섬 문제는 중소 간의 영토 협상의 의제였다.[1]
2001년 "중러 선린 우호 협력 조약"이 체결되었고,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장쩌민과 러시아 연방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은 볼쇼이우수리스키섬을 거의 동서로 분할하는 것으로 원칙적인 합의를 이루었다.[1]
2004년 푸틴 대통령이 방중하여 중러 간에 "中华人民共和国和俄罗斯联邦关于中俄国界东段的补充协定|중러 국경 동단 보충 협정중국어"이 체결되어 정식으로 분할이 성립되었다.[1] 이 협정에서 러시아는 인룽다오(타라바로프섬)와 볼쇼이우수리스키섬의 약 절반에 대한 통제권을 포기하기로 합의했다. 볼쇼이우수리스키섬의 약 170km2가 중국으로 이양되었고, 나머지는 러시아의 관할 구역으로 남았다. 그 대가로 중국은 러시아가 보유한 볼쇼이우수리스키섬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모든 영토 주장을 철회하고 아무르강의 주요 수로를 따라 선박을 운항할 권리를 얻었다.[1]
2005년 러시아의 러시아 연방 회의와 중국의 중국 전국 인민 대표 대회는 중-러 국경 협정을 승인했다.[2] 2008년 7월 21일, 베이징에서 중국과 러시아 외무부 장관이 국경 획정을 마무리하고 협상을 공식적으로 종결하는 협정에 서명했다. 협정에 따라 러시아는 약 174km2의 영토를 중국에 양도했다.[2] 양도는 2008년 10월 14일에 이루어졌다. 중국에 양도된 지역은 대부분 사람이 살지 않는 곳이다.[3] 섬의 중국 측 부분은 중국 최동단 현인 푸위안 시의 헤이룽장성에 위치해 있다.
그러나 2023년 8월 28일, 중국 중화인민공화국 자연자원부가 공개한 2023년도판 표준 지도에서는 볼쇼이우수리스키섬 전역이 중국 영토로 명기되었다. 이 지도에서는 이 외에도 중국이 일방적으로 주장하는 국경선이 채택되면서 주변국들이 항의하는 사태가 발생했지만, 볼쇼이우수리스키섬에 대해 러시아의 푸틴은 침묵을 지켰다. 중국과의 관계를 중시한 것으로 보인다.
2. 5. 협정 이후의 논란 (2008년~현재)
2004년 협정은 양국에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2005년 5월, 하바롭스크의 코사크들은 볼쇼이우수리스키섬의 절반을 잃는 것에 반대하여 시위를 벌였다.[1] 반면, 홍콩, 타이완, 그리고 중국 본토 밖의 해외 화교 그룹의 일부 중국 언론 평론가들은 외만주와 같은 이전 중국 영토가 러시아에 영구적으로 넘어가는 것을 확정하는 것으로 간주하며, 협정에 서명한 중화인민공화국을 비판했다. 중화민국 정부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주권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중화인민공화국이 체결한 국경 조약을 유효한 것으로 간주하지 않아 헤이샤쯔섬 전체에 대한 영유권을 계속 주장하고 있다.일본 슬라브 관계 전문가인 이와시타 아키히로는 2002년 연구에서, 하바롭스크 지역 엘리트들, 특히 군부는 이 섬들이 하바롭스크를 중국으로부터 막아주는 전략적 중요성을 지닌 것으로 간주했다고 밝혔다.[4]
2023년, 중국의 환구시보는 섬 전체를 중국 영토로 포함하는 것처럼 보이는 "2023년 중국 표준 지도"를 발행했다.[5][6] 중화인민공화국 자연자원부가 공개한 2023년도판 표준 지도에서는 볼쇼이우수리스키섬 전역이 중국 영토로 명기되어 있었다. 다른 주변국들은 중국이 일방적으로 주장하는 국경선에 항의했지만,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이에 대해 침묵했다. 이는 중국과의 관계를 중시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3. 지리
볼쇼이우수리스키섬의 총 면적은 약 340km2이다.[1] 섬의 중국 본토 구역은 푸위안 시에 속하며, 러시아 구역은 하바롭스크, 하바롭스크 지방에 속한다.
4. 자연 환경
2015년 중화인민공화국은 이 섬을 생물 다양성 보호를 위한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했다. 이 섬에는 505종의 식물과 351종의 동물, 그리고 시베리아호랑이를 포함한 44종의 국가 보호종이 서식한다.[7][8] 섬에는 반달가슴곰을 수용하기 위한 "곰 공원"이 있다.[9]
5. 한반도와의 관계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 시절, 독도 문제와 관련하여 볼쇼이우수리스키섬(흑하자도)의 사례가 종종 언급되었다.[2] 이 섬은 중화인민공화국과 러시아가 분할 점유하고 있는데[2], 이러한 분쟁 해결 과정은 한국의 영토 문제, 특히 독도 문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볼쇼이우수리스키섬 사례는 영토 수호의 중요성과 함께, 실효적 지배 강화 및 외교적 노력을 통한 평화적 분쟁 해결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특히 독도에 대한 실효적 지배를 더욱 강화하고, 국제사회에서 독도가 대한민국의 영토임을 명확히 하는 외교적 노력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참조
[1]
웹사이트
How the Sino-Russian Boundary Conflict Was Finally Settled: From Nerchinsk 1689 to Vladivostok 2005 via Zhenbao Island 1969
http://www.isn.ethz.[...]
2007-06
[2]
뉴스
Business Standard Article - source for 174 km² figure
https://web.archive.[...]
[3]
뉴스
Economist article including map of new Russia China Border
http://www.economist[...]
2008-07-24
[4]
뉴스
Russia Today
[5]
뉴스
Why is Putin suddenly attacking China?
https://www.msn.com/[...]
2024-09-17
[6]
뉴스
Explained: Why Has Russia Rejected China's New Map, What All Territorial Disputes Does China Have With Neighbours?
https://www.outlooki[...]
Outlook Publishing India Pvt Ltd.
2023-09-04
[7]
웹사이트
人民网--404页面
https://web.archive.[...]
2020-07-22
[8]
웹사이트
黑瞎子岛解放军透过望远镜发现普京放生的东北虎"乌斯京" (The People's Liberation Army of Heixiazi Island discovered the Siberian tiger "Ustin" released by Putin through binoculars)
https://web.archive.[...]
2020-07-22
[9]
웹사이트
黑龙江一保护区两熊一虎仍"在逃"?保护区回应-新华网
http://www.xinhuanet[...]
2018-11-18
[10]
문서
黒瞎子島とは
http://plus.yomiuri.[...]
[11]
문서
中国で最も早く太陽が拝める地 黒瞎子島
http://japanese.chin[...]
[12]
뉴스
「中ロ領土問題の解決―黒瞎子島をめぐって」岡部達味
http://www.rips.or.j[...]
平和・安全保障研究所
[13]
뉴스
黑瞎子島から帰ってきて、中ロの境界に決着を打てずにいる
http://ameblo.jp/cop[...]
[14]
뉴스
中露国境 解決に40年
http://premium.yomiu[...]
読売新聞
2016-12-16
[15]
뉴스
中国の最新領土・領海地図、アジア4カ国・地域が一斉に抗議
https://jp.reuters.c[...]
2023-09-01
[16]
뉴스
Kremlin Silent on Chinese Map Claiming Part of Russia's Territory
https://www.newsweek[...]
ニューズウィーク
2023-08-31
[17]
뉴스
中, 79년만에 러시아로부터 헤이샤쯔 받아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08-1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