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봉성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봉성주는 요나라와 송나라 시대에 상급 행정 구역으로, 무정군으로 불리었으며, 절도사가 민정을 담당했다. 영흥현, 반산현, 용문현, 망운현, 귀화주, 문덕현, 가한주, 회래현, 유주, 진산현 등의 현을 관할했다. 금나라 시대에는 8만여 호를 관할했으며, 덕흥의, 규천현, 진산현, 망운현, 반산현, 용문현 등의 현과 진을 통치했다.

2. 행정 구역

줘루는 시대에 따라 행정 구역과 명칭이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요나라와 송나라 시대에는 상급 행정 구역으로, 군명은 무정군(武定軍)이었다. 절도가 주의 민정을 맡았으며, 3주 4현을 통치했다.[1]

요, 송 시대 봉성주의 행정 구역
현명/주명한자군명대략적 위치비고
영흥현永興縣장자커우 시 줘루 현주의 치소. 8,000호가 살았다.
반산현礬山縣줘루 현 반산진(礬山鎭)3,000호가 살았다.
용문현龍門縣장자커우 시 츠청 현4,000호가 살았다.
망운현望雲縣츠청 현 북부1,000호가 살았다.
귀화주歸化州웅무군(雄武軍)장자커우 시 쉬안화 구상급주. 자사가 주의 민정을 맡았다.
문덕현文德縣귀화주의 치소. 10,000호가 살았다.
가한주可汗州청평군(淸平軍)장자커우 시 화이라이 현 북동하급주. 자사가 주의 민정을 맡았다.
회래현懷來縣
유주儒州진양군(縉陽軍)베이징시 옌칭구상급주. 절도사가 주의 민정을 맡았다.
진산현縉山縣5,000호가 살았다.



금나라 시대에는 6현 1진을 거느렸다.[2]

금나라 시대 봉성주의 행정 구역
현/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덕흥의德興倚장자커우시 줘루현
규천현媯川縣장자커우시 화이라이현 북동
진산현縉山縣베이징시 옌칭구
망운현望雲縣츠청현 북부
반산현礬山縣줘루현 반산진(礬山鎭)
용문현龍門縣장자커우시 츠청현


2. 1. 요, 송 시대

요나라와 송나라 시대에 줘루는 상급 행정 구역이었으며, 군명은 무정군(武定軍)이었다. 절도가 주의 민정을 맡았으며, 온천, 용문산(龍門山), 탁록산(涿鹿山)이 있었다. 동남쪽으로 남경까지 300리, 서북쪽으로 서경까지 440리 거리였다. 서경도부서사(西京道部署司)가 주의 군정을 맡았다. 3주 4현을 통치했다.[1]

요, 송 시대 봉성주의 행정 구역
현명/주명한자군명대략적 위치비고
영흥현永興縣장자커우 시 줘루 현주의 치소. 한나라 탁록현이 있던 곳이다. 8,000호가 살았다.
반산현礬山縣줘루 현 반산진(礬山鎭)한나라 군도현이 있던 곳이다. 백록반(白綠礬)이 생산된다. 반산(礬山)과 상건하가 있다. 주 남쪽 60리에 있다. 3,000호가 살았다.
용문현龍門縣장자커우 시 츠청 현4,000호가 살았다.
망운현望雲縣츠청 현 북부망운천이 있던 곳이다. 요 경종의 잠저가 있었고, 정사(井肆)를 두었다. 목종 사후 경종이 국통을 이으면서 어장(禦莊)으로 칭했다. 후에 망운현을 설치했고, 창민궁에 속했다. 주 동북 260리 거리에 있다. 1,000호가 살았다.
귀화주歸化州웅무군(雄武軍)장자커우 시 쉬안화 구상급주. 자사가 주의 민정을 맡았다. 한나라 하락현, 북위 문덕현, 당나라 무주, 당 희종 의주(毅州), 후당 태조 이존욱 무주(武州), 이사원 의주(毅州)를 거쳐 후진 석경당이 할양한 후 요나라가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상건하, 회하천(會河川), 애양천(愛陽川), 탄산(炭山)이 있다. 승천황후와 경종의 양전이 있었다. 주에서 서북쪽으로 서경까지 450리 거리이다.
문덕현文德縣귀화주의 치소. 10,000호가 살았다. 요사에는 한나라 여기현의 옛 땅으로 기록되어있다.
가한주可汗州청평군(淸平軍)장자커우 시 화이라이 현 북동하급주. 자사가 주의 민정을 맡았다. 한나라 반현(潘縣), 북위 폐현, 북제 북연군(北燕郡) 회융현(懷戎縣), 수나라 탁군, 당나라 북연주, 634년(정관 8년) 규주(媯州)를 거쳤다. 오대십국시대 해족 추장이 가한주로 칭했다가 요나라가 연운십육주로 할양받은 뒤 그대로 따랐다. 규천(嬀泉), 온천, 판천(版泉), 마계산(磨笄山), 계명산(雞鳴山), 교산(喬山), 역산(歷山)이 있다.
회래현懷來縣거란이 석경당에게 할양받은 직후 회융현에서 개명했다.
유주儒州진양군(縉陽軍)베이징시 옌칭구상급주. 절도사가 주의 민정을 맡았다. 당나라 설치, 연운십육주 중 하나. 924년(동광 2년) 신주(新州) 속함. 요 태종 봉성주, 이후 봉성주 속주. 남해하(南奚河), 고하(沽河), 송왕골(宋王峪), 도욕구(桃峪口)가 있다.
진산현縉山縣한나라 광밀현(廣蜜縣). 당나라 천보 연간 규천현에서 분리 신설, 개명. 5,000호가 살았다.


2. 2. 금 시대

금나라 시대에 줘루는 80,868호, 6현 1진을 거느렸다.[2]

현/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덕흥의德興倚장자커우시 줘루현1209년 영흥현에서 개명되었다. 탁록정(涿鹿定), 동수진(東水鎭), 계명산(雞鳴山)이 있다.
규천현媯川縣장자커우시 화이라이현 북동1195년(금 장종 명창 6년) 가한주 회래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현 서북쪽에 1193년(금 장종 명창 4년)에 세워진 합하귀관석교(合河龜館石橋)가 있다.
진산현縉山縣베이징시 옌칭구1141년(금 희종 황통 원년) 유주를 폐지하고 현으로 격하되었다. 1212년(금 위소왕 숭경 원년) 진주(鎭州)로 격상되었다. 영안진(永安鎭)이 있었다.
망운현望雲縣츠청현 북부
반산현礬山縣줘루현 반산진(礬山鎭)금나라가 점령한 초기에 홍주(弘州)에 속했으나 1192년(금 장종 명창 3년) 본주로 내속되었다.
용문현龍門縣장자커우시 츠청현금나라가 점령한 초기에 홍주(弘州)에 소속되었다가 후에 본주로 내속되었다. 1192년 선덕주로 이관되었다. 1205년(금 장종 태화 5년) 용문현의 현령에게 본현의 민정을 겸하게 했다. 행궁인 경녕궁(慶寗宮)이 있었다.


참조

[1] 서적 요사 권41 지리지 5 서경도 https://zh.wikisourc[...]
[2] 서적 금사 권24 지리지 1 서경로 덕흥부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