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경고사우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경고사우루스는 2000년 대한민국 경상남도 하동군 하산동층에서 발견된 용각류 화석이다. 꼬리뼈에서 수각류의 이빨 자국이 발견되어 당시 생태 환경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동즈밍, 백인성, 김현주는 2001년 부경고사우루스에 대한 예비 보고서를 발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립부경대학교 - 부산수산대학교
1941년 부산고등수산학교로 개교한 부산수산대학교는 부산대학교와의 통합 및 분리, 그리고 부산공업대학교와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부경대학교로 출범한 대학으로, 일제강점기부터 국립대학 체제 변화, 종합대학교 승격, 그리고 정부의 대학 통합 정책 등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 국립부경대학교 - 부산공업대학교
부산공업대학교는 1924년 부산공립공업보습학교로 시작하여 여러 학교를 거쳐 1993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으나 1996년 부경대학교로 통합되었다. - 대한민국의 공룡 - 드로마에오사우리푸스
드로마에오사우리푸스는 육식 공룡의 발자국 화석으로, 다양한 종이 존재하며, 대한민국과 미국 등지에서 발견된다. - 대한민국의 공룡 - 울트라사우루스
울트라사우루스는 한때 가장 큰 공룡으로 여겨졌으나, 명명 과정의 복잡성과 표본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현재는 의문명으로 분류되고, 다른 표본은 슈퍼사우루스의 이명으로 취급되는 공룡 이름이다. - 대한민국의 화석 - 신평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신평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는 부산 기장군에 위치한 이천리층 노두로, 다양한 공룡 및 새 발자국 화석과 뼈 화석, 구과식물 화석이 발견되어 당시 얕은 바다 또는 갯벌 환경과 지질학적 활동성을 보여주는 학술적 가치가 높은 지질유산이다. - 대한민국의 화석 - 울주 대곡리 공룡발자국 화석
울주 대곡리 공룡발자국 화석은 약 1억 년 전 전기 백악기 시대의 용각류와 조각류 공룡 발자국 화석으로, 공룡들의 행동 양상과 서식 환경을 추정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며 코리스토데라 발자국 화석 발견으로 고기후 연구에도 기여한다.
부경고사우루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화석 발견 시기 | 압트절 - 알비절 |
학명 | Pukyongosaurus |
명명자 | Dong 외, 2001 |
모식종 | Pukyongosaurus millenniumi |
모식종 명명자 | Dong 외, 2001 |
분류 | |
상목 | 공룡상목 |
목 | 용반목 |
아목 | 용각아목 |
하목 | 용각하목 |
하목 계통군 | 티타노사우루스류 |
속 | 푸켱고사우루스속 (Pukyongosaurus) |
종 | |
학명 | Pukyongosaurus millenniumi |
명명자 | Dong 외, 2001 |
2. 발견
2000년, 대한민국 하동군 하산동층에서 부경고사우루스의 화석이 발견되었다.
2. 1. 화석의 특징
2000년, 대한민국 하동군 하산동층에서 용각류 화석 여러 조각이 발견되었다. ''부경고사우루스''(Pukyongosaurus)로 분류된 꼬리뼈 한 개에는 수각류의 이빨 자국이 남아있다.[4]3. 연구
동즈밍, 백인성, 김현주는 2001년 "한국 하산동층 (백악기 전기)의 용각류에 대한 예비 보고서"를 발표하였다.[4]
3. 1. 학계의 평가
부경고사우루스는 백악기 전기 한반도의 공룡 다양성 및 고생태 환경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2000년, 대한민국 하동군 하산동층에서 용각류 화석 여러 조각이 발견되었다. 부경고사우루스로 분류된 꼬리뼈 한 개에는 수각류 이빨 자국이 남아있다.[4]참조
[1]
서적
Proceedings of the Eighth Annual Meeting of the Chinese Society of Vertebrate Paleontology
China Ocean Press
2001
[2]
논문
Comments on the validity of the taxonomic status of "Pukyongosaurus" (Dinosauria: Sauropoda)
https://www.dinosaur[...]
2016
[3]
논문
Sauropod dinosaur teeth from the lower Upper Cretaceous Winton Formation of Queensland, Australia and the global record of early titanosauriforms
[4]
논문
Diverse tooth marks on an adult sauropod bone from the Early Cretaceous, Korea: Implications in feeding behaviour of theropod dinosaurs
2011-09
[5]
웹인용
과학학습콘텐츠
https://smart.scienc[...]
2021-07-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