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계팔경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부계팔경도(釜溪八景圖)는 조선 후기 화가 모산 유원성(帽山 柳遠聲, 1851~1945)이 일제강점기에 경기도 안산시 부곡동 일대의 아름다운 경치 여덟 곳을 그린 8폭 병풍입니다. 각 경관마다 화제(畵題)가 있으며, 산수, 전원, 기암괴석 등을 독특한 필치로 묘사했습니다.
부계팔경도의 내용:
- 제1경 화모산초적(帽山草笛): 화모산에서 나무꾼이 피리 부는 모습
- 제2경 부계조월(釜溪釣月): 부곡 시냇가에서 달빛 아래 낚시하는 모습
- 제3경 만수화우(萬樹花雨): 숲속 봄날에 꽃비가 내리는 모습
- 제4경 진벽백운(鎭碧白雲): 진벽루에 흰 구름이 걸려 있는 모습
- 제5경 지평농가(芝坪農歌): 지평 뜰에서 농부들이 노래하는 모습
- 제6경 망해귀범(望海歸帆): 먼 바다에서 돛단배가 돌아오는 모습
- 제7경 우산낙조(牛山落照): 우산에 석양이 지는 모습
- 제8경 판천해화(板川蟹火): 판천교 다리에서 게잡이 불빛이 보이는 모습
부계팔경도의 역사와 가치:
- 유원성은 1905년 을사늑약 이후 관직을 버리고 고향인 부곡에 은거하며 부계팔경도를 그렸습니다. 이는 일제에 의해 고향 땅을 빼앗기지 않겠다는 의지를 담은 작품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1991년 11월 2일 안산시 향토유적 제16호로 지정되었고, 2014년 5월 9일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74호로 승격 지정되었습니다.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기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습니다.
- 원래 진주 유씨 백참판공파 문중에서 보관해 오다가 2008년 안산시에 기탁하여 현재 성호기념관에서 소장 및 관리하고 있습니다.
- 20세기 초 부곡 지역의 지형 구조 변화를 알 수 있는 유일한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습니다.
그림의 크기:
- 그림: 각각 31.2×24.8㎝
- 병풍: 150×560㎝
부계팔경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부계팔경도 정보 | |
![]() | |
명칭 | 부계팔경도 |
국가 | 대한민국 |
소재지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호로 131 (이동, 성호(이익)기념관) |
지정일 | 2014년 5월 9일 |
관리 | 안산시 |
참고 | 성호기념관 |
문화재 지정 정보 | |
구분 | 문화재자료 |
지정 번호 | 174호 |
시대 | 대한제국시대 |
수량 | 1점 |
이전 향토유적 지정 정보 | |
구분 | 향토유적 |
지정 번호 | 16호 |
지정일 | 1991년 11월 2일 |
해제일 | 2014년 5월 9일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