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룬디의 부통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룬디의 부통령은 부룬디의 정부 직위로, 1998년 두 명의 부통령직이 처음 설치되었다. 1998년부터 2001년까지 임시 기간에는 제1부통령과 제2부통령이 있었고, 2001년부터 2005년까지 과도 기간에도 두 명의 부통령이 존재했다. 2005년 헌법 개정으로 제1부통령은 정치 및 행정 업무를, 제2부통령은 사회 및 경제 업무를 담당하도록 규정되었으며, 각 부통령은 후투족과 투치족에서 각각 임명되었다. 2018년 헌법 개정으로 제2부통령직이 폐지되었고, 현재는 한 명의 부통령만 존재하며 제한적인 권한을 행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룬디의 부통령 - 도미티앵 은다이제예
  • 부룬디의 정치 - 부룬디의 대통령
    부룬디의 대통령은 국가 원수이자 정부 수반으로서 공화국을 대표하고 헌법을 보장하며, 국민의 투표로 선출되어 5년 임기 동안 국가 법률 기능을 수행하고 군 통수권자로서의 권한을 행사하며, 1회 연임이 가능하다.
  • 부룬디의 정치 - 2015년 부룬디 시위
    2015년 부룬디 시위는 피에르 은쿠룬지자 대통령의 3선 출마 발표에 대한 반발로 시작되어 헌법 위반 논란, 쿠데타 시도, 난민 발생, 정치적 불안정을 야기했다.
부룬디의 부통령
직위 정보
직위부룬디 부통령
소속 국가부룬디
휘장부룬디의 국장
부룬디의 국장
부룬디의 국장
현직프로스페르 바좀반자
취임일2020년 6월 23일
임기5년
설치일1998년 6월 11일
첫 부통령프레데리크 밤부기뉨비라 (제1 부통령)
마티아스 시나멘예 (제2 부통령)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부룬디 정치
관련 항목부룬디의 주 (주지사)
2015
2020
2025 (예정)
ONUB
BINUB
BNUB

2. 부통령직의 역사

부룬디의 부통령직은 부룬디 내전 이후 정치적 안정을 도모하고 권력을 분점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도입되어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1998년 피에르 부요야 대통령 집권 시기 과도 헌법에 따라 처음으로 부통령직이 신설되었다. 당시에는 정치·행정 담당 제1부통령과 경제·사회 담당 제2부통령 등 두 명의 부통령을 두었으며, 이는 주요 민족인 후투족투치족 간의 권력 안배를 목적으로 했다. 초대 제1부통령은 후투족 출신의 프레데릭 밤부기늄비라, 제2부통령은 투치족 출신의 마티아스 시나메니에였다.

2001년부터 2005년까지의 과도 정부 기간에는 단일 부통령 체제로 변경되어 운영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후투족투치족이 번갈아 부통령직을 수행했다. 도미티앵 은다이세예는 이 시기 부통령을 거쳐 대통령직을 승계하기도 했다.

2005년 헌법 제정 이후, 부통령직은 다시 제1부통령과 제2부통령으로 나뉘는 이원 체제로 복귀했다. 이때도 후투족투치족 출신을 각각 임명하는 민족 안배 원칙이 유지되었고, 부통령 임명 시 부룬디 의회의 승인을 받도록 하는 절차가 추가되었다. 이 시기에는 여러 차례 부통령이 교체되었다.

2018년 헌법 개정을 통해 부통령직은 다시 단일 직위로 통합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개정 헌법은 부통령이 대통령과 다른 정당 및 다른 민족 집단 출신이어야 한다고 규정한다. 2020년 6월, 에바리스트 은다이시미예 대통령은 투치족 출신의 프로스페르 바좀반자를 단일 부통령으로 임명하여 현재까지 재임 중이다.

각 시기별 부통령 명단과 상세한 역할 변화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2. 1. 임시 기간 (1998년–2001년)

1996년 군사 쿠데타로 권력을 잡은 피에르 부요야 전 부룬디 대통령은 1998년 6월 11일 과도 헌법에 따라 스스로 대통령에 취임했다. 이 과도 헌법은 두 명의 부통령직을 새로 만들었는데, 제1 부통령은 정치 및 행정 업무를, 제2 부통령은 경제 및 사회 업무를 담당하도록 규정했다.

이에 따라 부요야 대통령은 부룬디 민주 전선(FRODEBU) 소속의 후투족 출신 프레데릭 밤부기늄비라를 제1 부통령으로 임명했다. 또한, 부요야 자신이 속한 국가 진보 연합(UPRONA) 소속의 투치족 출신 마티아스 시나메니에를 제2 부통령으로 임명했다. 이들은 모두 1998년 6월 11일에 취임하여 2001년 11월 1일까지 재임했다.

2. 2. 과도 기간 (2001년–2005년)

(출생–사망)초상화취임일퇴임일민족 집단정당대통령도미티앵 은다이세예
(1953년 출생)
(부통령)
도미티앵 은다이세예
2001년 11월 1일2003년 4월 30일후투족부룬디 민주 전선(FRODEBU)부요야알퐁스마리 카데게
(부통령)--2003년 4월 30일2004년 11월 11일투치족UPRONA은다이세예프레데릭 은젠제부호로
(부통령)--2004년 11월 11일2005년 8월 29일투치족UPRONA은다이세예


2. 3. 부통령직 (2005년–2018년)

2005년 2월 28일 2005년 부룬디 헌법 국민투표를 통해 통과된 새로운 헌법은 과도 정부 시기와 유사하게 두 명의 부통령을 두도록 규정했다. 제1부통령은 정치 및 행정 업무를, 제2부통령은 사회 및 경제 업무를 담당하도록 했다. 또한, 부통령 두 명은 각각 후투족투치족 출신으로 임명되어야 한다는 민족 안배 조항도 포함되었다. 부통령 지명자는 취임 전에 부룬디 의회 양원의 승인을 받아야 했다.

2005년 8월 29일, 피에르 은쿠룬지자 대통령은 마틴 은두위마나(투치족, UPRONA)를 제1부통령으로, 앨리스 은조무쿤다(후투족, CNDD-FDD)를 제2부통령으로 지명했다. 두 사람은 의회의 승인을 받아 즉시 취임했다. 그러나 은조무쿤다는 2006년 9월 5일에 사임했고,[1] 이틀 뒤 마리나 바라팜마(후투족, CNDD-FDD)가 그 자리를 이어받았다.

이후에도 부통령 교체는 계속되었다. 2007년 2월에는 제2부통령 바라팜마가 가브리엘 은티세제라나(후투족, CNDD-FDD)로 교체되었고,[3] 같은 해 11월에는 제1부통령 은두위마나가 이브 사힝구부(투치족, UPRONA)로 교체되었다.

2010년 8월에는 다시 한번 대대적인 교체가 이루어져, 제1부통령 사힝구부는 테렌스 시눙구루자(투치족, UPRONA)로, 제2부통령 니세제라나는 제르베 루피키리(후투족, CNDD-FDD)로 각각 교체되었다. 시눙구루자는 2013년 10월까지 재임했고, 이후 베르나르 부소코자(투치족, UPRONA, 2013년 10월 ~ 2014년 2월 1일)[4]와 프로스페르 바좀반자(투치족, UPRONA, 2014년 2월 14일 ~ 2015년 8월 20일)[5]가 연이어 제1부통령직을 맡았다. 루피키리는 2015년 8월 20일까지 제2부통령으로 재임했다.

2015년 8월 20일에는 가스통 신딤워(투치족, UPRONA)가 제1부통령으로, 조제프 부토레(후투족, CNDD-FDD)가 제2부통령으로 임명되었다. 이들은 2018년 헌법 개정으로 부통령직이 단일화되기 전까지 해당 직책을 유지했다.

다음은 2005년부터 2018년 헌법 개정 이전까지 재임한 부통령 목록이다.

이름
(출생–사망)
초상화직위취임일퇴임일민족 집단정당대통령
마르탱 은두위마나
(1958년 출생)
--제1 부통령2005년 8월 29일2007년 11월 7일투치족UPRONA피에르 은쿠룬지자
앨리스 은조무쿤다
(1966년 출생)
--제2 부통령2005년 8월 29일2006년 9월 5일후투족CNDD-FDD
마리나 바라팜마
(1969년 출생)
--제2 부통령2006년 9월 7일2007년 2월 8일후투족CNDD-FDD
가브리엘 은티세제라나[3]
(알 수 없음)
가브리엘 은티세제라나
제2 부통령2007년 2월 12일2010년 8월 28일후투족CNDD-FDD
이브 사힝구부
(1949년 출생)
--제1 부통령2007년 11월 8일2010년 8월투치족UPRONA
테렌스 시눙구루자
(1959–2020)
--제1 부통령2010년 8월 28일2013년 10월투치족UPRONA
베르나르 부소코자[4]
(1953년 출생)
--제1 부통령2013년 10월2014년 2월 1일투치족UPRONA
프로스페르 바좀반자[5]
(1959/60년 출생)
프로스페르 바좀반자
제1 부통령2014년 2월 14일2015년 8월 20일투치족UPRONA
제르베 루피키리
(1965년 출생)
--제2 부통령2010년 8월 28일2015년 8월 20일후투족CNDD-FDD피에르 은쿠룬지자
가스통 신딤워
(1965년 출생)
가스통 신딤워
제1 부통령2015년 8월 20일2018년 (헌법 개정)투치족UPRONA피에르 은쿠룬지자
조제프 부토레
(1969년 출생)
조제프 부토레
제2 부통령2015년 8월 20일2018년 (헌법 개정)후투족CNDD-FDD피에르 은쿠룬지자


2. 4. 부통령직 (2018년–현재)

(출생 연도)초상화재임 기간민족 집단정당대통령취임일퇴임일재임 기간가스통 신딤워
(1965년 출생)
제1 부통령2015년 8월 20일2020년 6월 23일4년 308일투치족UPRONA은쿠룬지자
은다이시미예조제프 부토레
(1969년 출생)
제2 부통령후투족CNDD-FDD은쿠룬지자
은다이시미예프로스페르 바좀반자
(1960년 출생)
부통령--2020년 6월 23일현직재임 중투치족UPRONA은다이시미예


3. 역대 부통령 목록

피에르 부요야 전 부룬디 대통령(1987–1993)은 1996년 군사 쿠데타로 다시 권력을 잡은 뒤, 1998년 6월 11일 대통령으로 취임하며 부통령직을 신설했다. 그는 부룬디 민주 전선(FRODEBU) 소속의 후투족인 프레데릭 밤부기늄비라를 제1 부통령으로, 자신의 소속 정당인 국가 진보 연합(UPRONA) 소속의 투치족인 마티아스 시나메니에를 제2 부통령으로 임명하여 민족 간 균형을 고려했다.

과도 헌법에 따라 부통령은 두 명으로 구성되어, 제1 부통령은 정치 및 행정 업무를, 제2 부통령은 경제 및 사회 업무를 담당했다. 2001년 11월 1일 새로운 과도 정부가 출범했고, 피에르 부요야 대통령은 18개월간 임시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2003년 임기 만료 후, 후투족 부통령이었던 도미티앵 은다이세예가 대통령직을 승계했으며, 투치족인 알퐁스마리 카데게를 부통령으로 임명했다. 카데게는 2004년 11월 해임되고 프레데릭 은젠제부호로로 교체되었다. 2005년 중반 선거 이후, 2005년 2월 28일 헌법 국민투표를 통해 통과된 새로운 헌법 역시 두 명의 부통령(후투족 1명, 투치족 1명)을 두도록 규정했다. 부통령 지명자는 의회 양원의 승인을 받아야 했다.

2005년 8월 29일, 피에르 은쿠룬지자 대통령은 마틴 은두위마나(제1 부통령, 투치족, UPRONA)와 앨리스 은조무쿤다(제2 부통령, 후투족, CNDD-FDD)를 임명했으며, 이후 여러 차례 부통령 교체가 이루어졌다.[1] 은조무쿤다는 2006년 9월 5일 사임했고[1], 이틀 뒤 마리나 바라팜마로 교체되었다. 2007년 2월에는 바라팜마가 가브리엘 니세제라나로, 2007년 11월에는 은두위마나가 이브 사힝구부로 교체되었다. 2010년 8월에는 사힝구부가 테렌스 시눙구루자로, 니세제라나가 제르베 루피키리로 각각 교체되었다.

이름초상화재임 기간민족 집단정당대통령
취임일퇴임일재임 기간
프레데릭 밤부기늄비라
(1961년 출생)
제1 부통령
프레데릭 밤부기늄비라
1998년 6월 11일2001년 11월 1일3년 143일후투족FRODEBU부요야
마티아스 시나메니에
제2 부통령
--투치족UPRONA부요야
도미티엔 은다예제예
(1953년 출생)
부통령
2001년 11월 1일2003년 4월 30일1년 180일후투족FRODEBU부요야
알퐁스-마리 카데게
부통령
--2003년 4월 30일2004년 11월 11일1년 195일투치족UPRONA은다예제예
프레데릭 은제제부호로
부통령
--2004년 11월 11일2005년 8월 29일291일투치족UPRONA은다예제예
마르탱 은두위마나
(1958년 출생)
제1 부통령
--2005년 8월 29일2007년 11월 7일2년 70일투치족UPRONA은쿠룬지자
앨리스 은조무쿤다
(1966년 출생)
제2 부통령
--2006년 9월 5일1년 7일후투족CNDD-FDD은쿠룬지자
마리나 바라팜마
(1969년 출생)
제2 부통령
--2006년 9월 7일2007년 2월 8일154일후투족CNDD-FDD은쿠룬지자
가브리엘 은티세제라나[3]
제2 부통령
2007년 2월 12일2010년 8월 28일3년 197일후투족CNDD-FDD은쿠룬지자
이브 사힝구부
(1949년 출생)
제1 부통령
--2007년 11월 8일2010년 8월2년 266일투치족UPRONA은쿠룬지자
테렌스 시눙구루자
(1959–2020)
제1 부통령
--2010년 8월 28일2013년 10월3년 34일투치족UPRONA은쿠룬지자
베르나르 부소코자
(1953년 출생)
제1 부통령[4]
--2013년 10월2014년 2월 1일123일투치족UPRONA은쿠룬지자
프로스페르 바좀반자
(1959/60년 출생)
제1 부통령[5]
2014년 2월 14일2015년 8월 20일1년 187일투치족UPRONA은쿠룬지자
제르베 루피키리
(1965년 출생)
제2 부통령
--2010년 8월 28일2015년 8월 20일4년 357일후투족CNDD-FDD은쿠룬지자
가스통 신딤워
(1965년 출생)
제1 부통령
2015년 8월 20일2020년 6월 23일4년 308일투치족UPRONA은쿠룬지자
은다이시미예
조제프 부토레
(1969년 출생)
제2 부통령
후투족CNDD-FDD은쿠룬지자
은다이시미예
프로스페르 바좀반자
(1960년 출생)
부통령
--2020년 6월 23일현직현직투치족UPRONA은다이시미예


3. 1. 정당 목록

참조

[1] 뉴스 Burundi VP steps down over graft http://news.bbc.co.u[...] BBC 2006-09-05
[2] 웹사이트 The AU and the constitutional review process in Burundi - Burundi https://reliefweb.in[...] 2022-04-01
[3] 웹사이트 ASSECAA https://www.assecaa.[...] 2022-04-01
[4] 웹사이트 Burundi: Prosper BAZOMBANZA, nouveau 1er Vice Président de la République https://burundi-agne[...] 2022-04-01
[5] 서적 Political Handbook of the World 2015 https://books.google[...] 2015-03-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