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산광역시의 상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광역시의 상징은 부산광역시를 대표하는 시각적, 청각적, 그리고 생물학적 요소들을 포괄한다. 여기에는 2023년 제정된 상징기, 1984년 제정된 시가 《부산찬가》, 2003년부터 2023년까지 사용된 "Dynamic Busan"과 2023년부터 현재까지 사용되는 "Busan is good (부산 이즈 굿) - 부산이라 좋다" 슬로건이 포함된다. 또한 1995년 제정된 마스코트 부비(Buvi)와 1970년 지정된 동백꽃과 동백나무, 1978년 지정된 갈매기, 2011년 지정된 고등어가 상징 동식물로 지정되어 있다.

2. 상징기

부산광역시기는 2023년 5월 17일에 제정되었다.[1]

부산광역시기

3. 상징 노래

부산찬가》(釜山讚歌)는 부산광역시의 시가(市歌)로 부산을 상징하는 노래이다.[2] 1983년에 가사, 작곡 공모를 하여 1984년에 제정 공포하였다.[2] 윤평원이 작사, 이범희가 작곡을 맡았으며 윤시내가 노래를 맡았다.[2]

4. 상징 슬로건

2003년 11월 27일부터 2023년 5월 17일까지 사용된 "Dynamic Busan"(다이내믹 부산) 슬로건


부산광역시청은 2002년 말부터 2002년 FIFA 월드컵, 2002년 아시안 게임 등 국제 행사 개최로 높아진 부산광역시의 위상을 홍보하고, 세계 도시로 발전하는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슬로건 개발 계획을 수립했다.[3] 2003년 2월, 부산 시민 대상 슬로건 공모전에 4,865건이 출품되었고, 슬로건 선정 자문위원회의 심사와 내·외국인 선호도 조사를 거쳐 2003년 11월 27일, "Dynamic Busan"(다이내믹 부산/Dynamic Busan영어)이 최종 선정되었다. 2004년 2월 27일에는 슬로건 선포식이 열렸다.[3]

Dynamic Busan은 개방적이고 진취적인 부산 시민의 특징을 담아, 경제, 문화, 교육, 관광 등 모든 분야에서 역동적이고 긍정적인 분위기 속에 발전하는 모습을 표현한다.[3] 자유분방한 Dynamic 서체는 약동하는 부산을, 정돈된 BUSAN 서체는 세계 물류·비즈니스 중심 도시라는 정체성을 나타낸다. 파도와 태양 문양은 해양 도시 부산을 상징하며, 파도 위의 US는 세계 도시로 함께 나아가자는 염원을 담고 있다.[3]

Dynamic 서체의 빨간색은 2002년 FIFA 월드컵에서 나타난 부산 시민들의 단결된 모습을, 태양 문양의 주황색은 미래에 대한 꿈과 희망을, BUSAN 서체와 파도 문양의 파란색은 해양 도시·미래 도시 부산을 나타낸다.[3] 보조 슬로건은 "City of Tomorrow", "Asian Gateway"이며, 대표 슬로건은 단독 또는 보조 슬로건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3]

2023년 5월 17일부터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Busan is good (부산 이즈 굿) - 부산이라 좋다" 슬로건


"Busan is good (부산 이즈 굿) - 부산이라 좋다"는 2023년 5월 17일부터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부산광역시의 슬로건이다.[1] 부산광역시청은 2022년 11월 28일부터 12월 7일까지 새 슬로건 공모전을 개최했으며,[4] 2023년 1월 3일에는 최종 후보안 3개를 공개했다.[5][6][7] 시민 선호도 조사 등을 거쳐[9][10] 2023년 1월 13일 도시브랜드위원회에서 "Busan is good - 부산이라 좋다"를 새 슬로건으로 선정했다.[8]

Good, 좋다라는 표현은 다른 도시 어디에서도 경험할 수 없는 부산의 독창성, 부산에 대한 자긍심·만족감을 나타낸다.[1] 또한 Good은 세계적이고(Global) 특색 있고(Original) 개방적이고(Open) 역동적인(Dynamic) 부산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자주색-마젠타, 파란색-시안 색상 간의 조합은 부산 시민의 포용과 화합을 나타낸다.[1]

4. 1. Dynamic Busan (다이내믹 부산)



부산광역시청은 2002년 말부터 2002년 FIFA 월드컵, 2002년 아시안 게임 등 국제 행사 개최로 높아진 부산광역시의 위상을 홍보하고, 세계 도시로 발전하는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슬로건 개발 계획을 수립했다.[3] 2003년 2월, 부산 시민 대상 슬로건 공모전에 4,865건이 출품되었고, 슬로건 선정 자문위원회의 심사와 내·외국인 선호도 조사를 거쳐 2003년 11월 27일, "Dynamic Busan"(다이내믹 부산)이 최종 선정되었다. 2004년 2월 27일에는 슬로건 선포식이 열렸다.[3]

Dynamic Busan은 개방적이고 진취적인 부산 시민의 특징을 담아, 경제, 문화, 교육, 관광 등 모든 분야에서 역동적이고 긍정적인 분위기 속에 발전하는 모습을 표현한다.[3] 자유분방한 Dynamic 서체는 약동하는 부산을, 정돈된 BUSAN 서체는 세계 물류·비즈니스 중심 도시라는 정체성을 나타낸다. 파도와 태양 문양은 해양 도시 부산을 상징하며, 파도 위의 US는 세계 도시로 함께 나아가자는 염원을 담고 있다.[3]

Dynamic 서체의 빨간색은 2002년 FIFA 월드컵에서 나타난 부산 시민들의 단결된 모습을, 태양 문양의 주황색은 미래에 대한 꿈과 희망을, BUSAN 서체와 파도 문양의 파란색은 해양 도시·미래 도시 부산을 나타낸다.[3] 보조 슬로건은 "City of Tomorrow", "Asian Gateway"이며, 대표 슬로건은 단독 또는 보조 슬로건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3]

4. 2. Busan is good (부산 이즈 굿) - 부산이라 좋다



"Busan is good (부산 이즈 굿) - 부산이라 좋다"는 2023년 5월 17일부터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부산광역시의 슬로건이다.[1] 부산광역시청은 2022년 11월 28일부터 12월 7일까지 새 슬로건 공모전을 개최했으며,[4] 2023년 1월 3일에는 최종 후보안 3개를 공개했다.[5][6][7] 시민 선호도 조사 등을 거쳐[9][10] 2023년 1월 13일 도시브랜드위원회에서 "Busan is good - 부산이라 좋다"를 새 슬로건으로 선정했다.[8]

Good, 좋다라는 표현은 다른 도시 어디에서도 경험할 수 없는 부산의 독창성, 부산에 대한 자긍심·만족감을 나타낸다.[1] 또한 Good은 세계적이고(Global) 특색 있고(Original) 개방적이고(Open) 역동적인(Dynamic) 부산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자주색-마젠타, 파란색-시안 색상 간의 조합은 부산 시민의 포용과 화합을 나타낸다.[1]

5. 상징 마스코트

부산광역시의 마스코트는 부비(Buvi)로 1995년 6월 14일에 제정되었다. 부비는 "부산(Busan)의 비전(Vision), 활력(Vitality, 바이탈리티/Vitality영어), 승리(Victory, 빅토리/Victory영어)"라는 뜻을 담고 있다.[1]

부비는 부산의 바다에 떠오르는 밝고 희망찬 태양을 뜻하는 동그라미, 부산의 바다에서 볼 수 있는 출렁이는 물결을 뜻하는 선이 특징이다. 전체적으로는 21세기를 맞아 세계 선진 일류 도시를 꿈꾸는 부산의 비전과 진취적인 부산 시민의 정서를 표현하고 있다.[1]

6. 상징 동식물

부산광역시는 상징 동식물을 다음과 같이 정했다.[11]


  • 부산광역시의 시화(市花, 상징 꽃)는 동백꽃(1970년 3월 1일 지정)이다. 부산광역시의 시목(市木, 상징 나무)은 동백나무(1970년 7월 1일 지정)이다. 동백나무의 진녹색 잎과 진홍색 꽃이 조화를 이룬 모습은 부산의 푸른 바다, 사랑이 많은 부산 시민의 정신을 나타낸다. 또한 싱싱하고 선명한 빛을 띤 동백나무의 진녹색 활엽은 부산 시민의 젊음과 의지를 나타낸다.

  • 부산광역시의 시조(市鳥, 상징 새)는 갈매기(1978년 7월 1일 지정)이다. 갈매기의 하얀 날개와 몸은 백의민족을 나타낸다. 갈매기가 끈기있게 머나먼 뱃길을 따라 하늘을 나는 강인함은 부산 시민의 정신을 나타낸다.

  • 부산광역시의 시어(市魚, 상징 물고기)는 고등어(2011년 7월 6일 지정)이다. 이는 해양수산도시 부산이 태평양을 누비는 강한 힘을 갖고 있는 고등어처럼 목표를 향하여 끊임없이 도약함을 상징한다.


6. 1. 상징 꽃과 나무

부산광역시의 시화(市花)는 동백꽃(1970년 3월 1일 지정)이고, 시목(市木)은 동백나무(1970년 7월 1일 지정)이다.[11] 동백나무의 진녹색 잎과 진홍색 꽃이 조화를 이룬 모습은 부산의 푸른 바다, 사랑이 많은 부산 시민의 정신을 나타낸다.[11] 또한 싱싱하고 선명한 빛을 띤 동백나무의 진녹색 활엽은 부산 시민의 젊음과 의지를 나타낸다.[11]

6. 2. 상징 새

부산광역시의 시조(市鳥)는 갈매기로 1978년 7월 1일에 지정되었다.[11] 갈매기의 하얀 날개와 몸은 백의민족을 나타내며, 끈기 있게 머나먼 뱃길을 따라 하늘을 나는 강인함은 부산 시민의 정신을 나타낸다.[11]

6. 3. 상징 물고기

부산광역시의 시어(市魚)는 고등어이다.(2011년 7월 6일 지정)[11] 고등어는 해양수산도시 부산이 태평양을 누비는 강한 힘을 갖고 있는 고등어처럼 목표를 향하여 끊임없이 도약함을 상징한다.[11]

참조

[1] 웹인용 부산소개 : 부산의 상징 : 기관상징 : 브랜드 슬로건 : 부산광역시 https://www.busan.go[...] 2024-02-09
[2] 웹인용 부산소개 : 부산의 상징 : 부산찬가 https://www.busan.go[...] 2024-02-09
[3] 웹인용 부산광역시 - 해양수도부산 - 부산의 상징 - CI(기관로고) - 슬로건 https://web.archive.[...] 2024-02-09
[4] 뉴스 '다이내믹 부산' 이을 도시브랜드 개발에 시민·전문가 상상력 더한다 https://www.busan.co[...] 부산일보 2022-12-18
[5] 뉴스 1만 3000개 상징어 뽑고, 시민 아이디어 더하고 더해 선정[부산 새 슬로건] https://www.busan.co[...] 부산일보 2023-01-15
[6] 뉴스 '다이내믹 부산' 대체할 새로운 부산 도시 슬로건은? https://www.kookje.c[...] 국제신문 2023-01-03
[7] 웹인용 "#슬로건 브랜드 상상모음전" https://www.busanbra[...] 2024-02-09
[8] 웹인용 부산시 새 도시브랜드 ‘상징·슬로건 디자인’ 확정 https://www.busan.go[...] 2023-03-14
[9] 웹인용 슬로건 시민 선호도 조사 https://www.busanbra[...] 2024-02-09
[10] 웹인용 디자인 시민 선호도 조사 https://www.busanbra[...] 2024-02-09
[11] 웹인용 부산소개 : 부산의 상징 : 지역상징 https://www.busan.go[...] 2024-0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