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진경찰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진경찰서는 1957년 8월 1일 북부산경찰서에서 분리되어 개서했다. 부산진구 일원을 관할하며, 부전지구대, 서면지구대 등 8개의 지구대와 전포파출소 등 1개의 파출소를 두고 있다. 각 지구대 및 파출소에는 치안센터가 설치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부산진구 소재의 관공서 - 부산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는 부산광역시의 수돗물 안정적 공급을 위해 원수 개발부터 급수, 수질 향상 연구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으로, 경영지원부, 급수부, 시설부와 하부 기관을 통해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을 시민들에게 제공한다. - 부산 부산진구 소재의 관공서 - 부산국악원
부산국악원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국악 공연 및 교육 기관으로, 연악당, 예지당 등의 공연 시설과 벽천광장, 한국정원 등의 부대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행정지원과, 장악과, 국악연주단으로 구성되어 운영되고 국악연주단은 국립민속국악원 소속으로 다양한 국악 공연을 선보인다. - 부산광역시의 경찰서 - 부산북부경찰서
부산북부경찰서는 1999년 개서하여 부산광역시 북구를 관할하며 구포, 만덕, 화명, 덕천 지구대와 금곡파출소를 운영하여 치안 유지 및 범죄 예방 활동을 수행한다. - 부산광역시의 경찰서 - 부산동래경찰서
부산동래경찰서는 1945년 동래경찰서로 시작하여 관할 구역 조정과 명칭 변경을 거쳐 2001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부산 동래구를 관할하며 6개의 지구대 및 파출소를 운영하고 있다. - 1957년 설치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1957년 설치 - 서구 (부산광역시)
서구는 부산광역시의 구로, 해방 이후 서부출장소에서 구제로 개편되어 현재 13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었으며, 남해 바다와 접하고 온대계절풍 기후의 영향을 받으며, 송도해수욕장, 임시수도기념관, 송도해상케이블카 등의 시설이 있다.
부산진경찰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설치 년도 | 1957년 |
관할 구역 | 부산진구 일원 |
상급 기관 | 부산광역시경찰청 |
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로111번길 6 (부전동) |
웹사이트 | 부산진경찰서 |
조직 | |
지구대 | 전포지구대, 서면지구대, 당감지구대, 성지지구대, 가야지구대, 부암지구대, 양정지구대 |
파출소 | 전포파출소, 범천1파출소 |
영어 | |
명칭 | Busanjin Police Station |
2. 연혁
- 1957년 7월 26일: 부산진경찰서 설치[1]
- 1963년 1월 1일: 부산북부경찰서로 변경[2]
- 1978년 8월 9일: 부산진경찰서로 변경
3. 관할 구역
중앙치안센터
당감4치안센터,
개금3치안센터
연지치안센터
개금1치안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