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엌 논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엌 논쟁은 1959년 미국 부통령 리처드 닉슨과 소련 공산당 서기장 니키타 흐루쇼프가 모스크바에서 열린 미국 전시회에서 벌인 즉흥적인 토론을 말한다. 이 논쟁은 냉전 시대에 자본주의와 공산주의의 이념적 차이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특히 미국의 주방 모형에서 닉슨이 자본주의의 풍요로움을, 흐루쇼프가 공산주의의 미래를 강조하며 설전을 벌였다. 이 논쟁은 미국 텔레비전을 통해 보도되어 닉슨의 정치적 인지도를 높였으며,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체제의 우위를 놓고 벌어진 이념 대립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9년 - 루산 회의
루산 회의는 1959년 중국 공산당이 대약진 운동의 실패를 논의하기 위해 개최되었으나 펑더화이의 비판을 계기로 마오쩌둥의 권력 강화와 반대파 숙청의 장으로 변질되어, 펑더화이 등 고위 간부들이 숙청되고 중국 공산당 내부 권력 다툼을 심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 정치 논쟁 - 정권 문제
정권 문제는 공산주의 운동에서 혁명 단계를 규정하고 그에 따른 정권 형태를 둘러싼 이론적, 실천적 논쟁을 의미하며, 코민테른 테제 발표 후 식민지 공산주의자들 사이에서 혁명의 목표와 주체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해석과 노선 대립을 야기했다. - 정치 논쟁 - 링컨-더글러스 논쟁
링컨-더글러스 논쟁은 1858년 일리노이주 상원 의원 선거에서 에이브러햄 링컨과 스티븐 더글러스가 노예제 문제를 놓고 벌인 7차례의 공개 토론으로, 링컨의 전국적 인지도를 높여 1860년 대통령 당선에 기여했다.
부엌 논쟁 | |
---|---|
논쟁 개요 | |
이름 | 부엌 논쟁 |
영어 이름 | Kitchen Debate |
러시아어 이름 | Кухонные дебаты (쿠혼니예 데바티) |
장소 | 소콜니키 공원 미국 국립 전시회 |
날짜 | 1959년 7월 24일 |
주제 | 냉전, 자본주의 대 공산주의, 생활 수준, 기술 발전 |
참가자 | 리처드 닉슨 니키타 흐루쇼프 |
중요성 | 냉전 시기 이념적 대립의 상징적 사건 |
배경 | |
전시회 | 미국 국립 전시회 (소련 모스크바) |
목적 | 미국 자본주의 사회의 생활상 소개 |
소련 반응 | 소련도 유사한 전시회 (미국 뉴욕) 개최 |
논쟁 내용 | |
닉슨 주장 | 미국 가정의 풍요로운 생활 소개, 기술 발전 강조 |
흐루쇼프 주장 | 소련의 주택 건설 및 사회 시스템 우월성 강조, 미국의 상업주의 비판 |
주요 쟁점 | 생활 수준 비교 자동화 및 기술 발전의 사회적 영향 이념적 우월성 주장 |
영향 | |
미국 내 반응 | 닉슨의 정치적 이미지 상승 |
소련 내 반응 | 소련 시스템에 대한 자부심 고취 |
냉전 구도 | 이념적 대립 심화, 선전전 강화 |
2. 역사적 배경
1959년, 소련과 미국은 상호 이해 증진을 위한 문화 교류의 일환으로 상대 국가에서 전시회를 열기로 합의했다. 이는 1958년 미국-소련 문화 협정의 결과였다.[1] 1959년 6월에 뉴욕에서 소련 전시회가 열렸고, 그 다음 달에는 닉슨 부통령이 모스크바에서 미국 전시회 개막식에 참석했다. 닉슨은 소련 제1서기 니키타 흐루쇼프와 함께 전시회를 둘러봤다. 450개 이상의 미국 기업이 제공한 다양한 전시물과 소비재가 있었으며, 전시회의 중심은 2,787m²(30,000 평방 피트) 규모의 시설에서 과학 및 기술 실험을 수행하는 지오데식 돔이었다.[1] 소련은 모스크바 전시회가 끝날 때 이 돔을 구입했다.[1]
윌리엄 사파이어는 전시 기획자의 홍보 담당자였는데, 그는 부엌 논쟁이 전시회의 여러 장소에서 일어났지만 주로 쉽게 볼 수 있도록 반으로 잘린 교외형 주택의 부엌에서 벌어졌다고 회상했다.[2] 이는 1959년 전시회 기간 동안 닉슨과 흐루쇼프 사이에 일어난 네 차례의 만남 중 하나였다. 닉슨은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동생인 밀턴 S. 아이젠하워와 동행했는데, 그는 당시 존스 홉킨스 대학교 총장이었다.[3]
흐루쇼프는 첫 번째 크렘린에서의 만남에서 미국 포로 국가 결의안에 항의하며 닉슨을 놀라게 했다. 이 결의안은 미국 86대 미국 의회가 소련이 동구권의 "포로" 국민을 통제하는 것을 비난하고 미국인에게 그들을 위해 기도할 것을 촉구했다. 흐루쇼프는 미국 의회의 행위에 항의한 후 미국의 새로운 기술을 폄하하며 소련이 몇 년 안에 모든 것을 갖게 될 것이고, 그 후 "안녕"이라고 말하며 미국을 따라잡을 것이라고 선언했다.[4]
흐루쇼프는 미국의 다양한 기기들을 비판했다. 특히, 흐루쇼프는 일부 기기가 전통적인 방식보다 사용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았다. 이러한 기기 중 하나는 차를 위한 휴대용 레몬 착즙기였다. 그는 이 기기를 비판하며 손으로 짜는 것이 훨씬 쉽고 이 기기는 불필요하다고 말했다. 흐루쇼프는 닉슨에게 이 기기가 미국 부엌에서 표준으로 사용되냐고 물었다. 닉슨은 일부 제품은 미국 시장에 출시되지 않았고 시제품이라고 인정했다.[5] 흐루쇼프는 풍자적으로 "음식을 입에 넣고 밀어 넣는 기계는 없습니까?"라고 물었는데, 이는 찰리 채플린의 1936년 영화 ''모던 타임즈''를 언급한 것이다.[6] 닉슨은 적어도 경쟁은 군사적인 것이 아닌 기술적인 것이라고 응수했다. 두 사람은 미국과 소련이 합의점을 찾아야 한다고 동의했다.[4]
두 번째 방문은 미국 전시회 내 텔레비전 스튜디오에서 이루어졌다. 결국 흐루쇼프는 그들의 논쟁에서 그가 한 모든 말을 영어로 번역하여 미국에서 방송해야 한다고 말했다. 닉슨은 "물론 그렇게 할 것이고, 제가 하는 모든 말은 러시아어로 번역되어 소련 전역에 방송될 것입니다. 그것이 공정한 거래입니다."라고 응답했다. 흐루쇼프는 이 제안에 힘차게 악수를 했다.[4]
닉슨은 미국인들이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 건설했다고 주장한 반면, 흐루쇼프는 공산주의를 옹호하며 소련인들이 미래 세대를 위해 건설했다고 주장했다. 흐루쇼프는 "이것이 미국의 능력이며, 얼마나 오랫동안 존재했습니까? 300년입니까? 150년의 독립 이후가 이 수준입니다. 우리는 아직 42년에 도달하지 못했고, 7년 후에는 미국의 수준에 도달할 것이며, 그 후에는 더 나아갈 것입니다."라고 말했다.[7] 사파이어는 레오니트 브레즈네프가 참석하여 그의 사진을 방해하려고 했다고 보고했다.[8]
세 번째 방문은 식기 세척기, 냉장고, 주방용 레인지가 갖춰진 절개 모형 주택의 부엌에서 이루어졌다. 그것은 일반적인 미국 노동자가 감당할 수 있는 14,000달러짜리 주택을 나타내도록 설계되었다.[1]
2. 1. 전시회의 구성
3. 부엌 논쟁의 전개
1959년 소련과 미국은 문화 교류의 일환으로 양국에서 전시회를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1958년 미소 문화 협정에 따른 것이었다.[37] 뉴욕에서 소련 전시회가 열렸고, 닉슨 부통령은 모스크바에서 열린 미국 전시회에 니키타 흐루쇼프 서기장과 함께 참석했다. 450곳 이상의 미국 기업이 제공한 다양한 시제품과 소비재가 전시되었고, 2,800 m2 규모의 지오데식 돔 구조물에서는 다양한 기술 및 과학 실험이 이루어졌다. 소련은 전시회가 끝날 무렵 이 돔을 구매했다.[37]
전시회 홍보 담당자였던 윌리엄 새파이어는 부엌 논쟁이 전시회의 여러 장소에서 열렸지만, 주로 교외의 모델하우스 주방을 보기 쉽게 반으로 잘라놓은 곳에서 열렸다고 회고했다.[38] 이는 1959년 전시회 기간 닉슨과 흐루쇼프 사이 이루어진 네 차례 회담 중 하나였다. 닉슨은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동생이자 당시 존스 홉킨스 대학교 총장이었던 밀턴 S. 아이젠하워와 동행했다.[39]
모스크바 크렘린에서 열린 회담에서 흐루쇼프는 미국 의회가 통과시킨 포로 국가 결의안에 대해 항의하며 닉슨을 놀라게 했다.[40] 그는 미국의 신기술을 무시하며 소련도 몇 년 내에 미국을 능가하는 모든 것을 가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40]
흐루쇼프는 미국의 다양한 기계에 대해 비판했다. 특히 일부 기계는 전통적인 방식보다도 사용하기 더 복잡하고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휴대용 레몬 주스기를 비판하며, 손으로 주스를 짜는 것이 훨씬 쉽고 기계가 불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닉슨에게 이 장치가 미국 주방에 필요한 표준품인지 묻자, 닉슨은 일부 제품은 미국 시장에 아직 출시되지 않았고 시제품이라고 인정했다.[41] 흐루쇼프는 찰리 채플린의 《모던 타임스》를 언급하며 "음식을 입에 넣고 밀어주는 기계는 없습니까?"라고 닉슨에게 물었다.[42] 닉슨은 적어도 경쟁이 군사 부문이 아닌 기술 부문에서 일어난다고 말했다. 두 사람 모두 미국과 소련이 합의점을 찾아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40]
두 번째 방문은 미국 전시장 내 텔레비전 스튜디오에서 이루어졌다. 회동이 끝날 무렵 흐루쇼프는 토론에서 자신이 말한 모든 내용을 영어로 번역해 미국에 방송해야 한다고 말했고, 닉슨은 "물론 그럴 것이고, 역시 내가 하는 모든 말은 러시아어로 번역해 소련 전역에 방송될 것입니다. 이게 공평하겠죠."라고 말했다. 흐루쇼프는 이 제안에 흔쾌히 악수로 받아들였다.[40]
닉슨은 미국인이 새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 미국을 건설했다고 주장했으며, 흐루쇼프는 미래 세대를 위해 소련을 건설했다고 주장하며 공산주의를 옹호했다. 흐루쇼프는 "미국이 할 수 있는 일이라는 게 이정도입니까, 미국이 몇 년 되었죠? 300년? 독립한 지 150년이면 이 정도 수준이군요. 우리는 아직 42년밖에 되지 않았지만 앞으로 7년이 더 지나면 미국 수준에 도달할 것이며 그 후로는 미국을 제칠 겁니다."라고 말했다.[43] 윌리엄 새파이어는 이 당시 레오니트 브레즈네프도 같이 있었고 사진 찍는 일을 방해했다고 말했다.[44]
세 번째 방문은 식기세척기, 냉장고, 부엌 레인지가 구비된 모델하우스의 주방 내부에서 이루어졌다. 모델하우스는 일반적인 미국 노동자가 감당할 수 있는 14,000달러(2023년 기준 146,000달러)의 주택을 모델링해 설계되었다.[37] 닉슨과 흐루쇼프는 미국식 부엌 모델을 둘러보며 계획에 없던 논쟁을 시작했다. 닉슨은 부엌 논쟁에서 미국이 주부들을 존중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논쟁을 시작했다. 그는 기기를 직접 설치하여 여성들이 편안한 집에서 생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미국의 우월성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강조했다.[45]
닉슨은 식기세척기를 가리키며 미리 설치된 기기를 통해 여성의 삶을 더 쉽게 만들고자 노력한다고 강조했다. 흐루쇼프는 "여성에 대한 당신의 자본주의적 태도는 공산주의에서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46]라고 답했고, 닉슨은 "나는 여성에 대한 이러한 태도가 보편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원하는 것은 주부들의 삶을 더 쉽게 만드는 것입니다."[46]라고 응수했다.
3. 1. 자본주의 vs 공산주의
1959년 소련과 미국은 문화 교류의 일환으로 양국에서 전시회를 개최하기로 합의했다.[37] 닉슨 부통령은 모스크바에서 열린 미국 전시회에서 니키타 흐루쇼프 서기장과 함께 전시회를 둘러보며, 450곳 이상의 미국 기업이 제공한 다양한 시제품과 소비재를 선보였다.[37]전시회에서 닉슨과 흐루쇼프는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체제에 대한 논쟁을 벌였다. 닉슨은 미국의 기술 발전과 풍요로운 생활상을 강조하며, 특히 여성의 가사 노동 부담을 줄여주는 가전제품을 통해 자본주의의 우월성을 주장했다. 그는 미국의 주택 가격이 일반 노동자도 구매가 가능할 정도로 합리적이라고 말했다.[37]
반면 흐루쇼프는 소련의 미래 발전과 공산주의 체제의 장점을 역설하며, 닉슨의 주장에 반박했다.[43] 그는 미국의 일부 기기들이 불필요하게 복잡하다고 비판하며, 소련이 곧 미국을 따라잡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흐루쇼프는 휴대용 레몬 주스기를 예로 들며 미국의 기술이 실용적이지 않다고 비판했다.[41] 그는 닉슨에게 찰리 채플린의 《모던 타임스》를 언급하며 "음식을 입에 넣고 밀어주는 기계는 없습니까?"라고 묻기도 했다.[42]
닉슨은 미국이 새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 건설되었다고 주장한 반면, 흐루쇼프는 미래 세대를 위해 소련을 건설했다고 주장했다.[43] 흐루쇼프는 미국이 독립한 지 150년이 되었지만, 소련은 건국된 지 42년밖에 되지 않았으며, 7년 후에는 미국 수준에 도달하고 그 후로는 미국을 앞지를 것이라고 말했다.[43]
또한 흐루쇼프는 "여성에 대한 당신의 자본주의적 태도는 공산주의에서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라며,[10] 가사 노동에 대한 닉슨의 주장에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닉슨은 "우리가 원하는 것은 주부들의 삶을 더 쉽게 만드는 것"이라고 응수했다.[10]
두 사람은 기술 경쟁이 군사 부문이 아닌 다른 분야에서 일어나야 한다는 데에는 동의했다.[40] 회담이 끝날 무렵, 흐루쇼프는 토론 내용을 영어로 번역해 미국에 방송해야 한다고 말했고, 닉슨은 이에 동의하며 자신의 발언도 러시아어로 번역해 소련 전역에 방송될 것이라고 답했다. 흐루쇼프는 이 제안에 악수로 화답했다.[40]
3. 2. 여성의 역할
닉슨은 가사 노동을 덜어주는 가전제품이 미국 여성들의 삶을 편하게 해준다고 강조했다.[45][9] 닉슨은 식기세척기를 가리키며 미리 설치된 기기를 통해 여성의 삶을 더 편안하게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46][10] 흐루쇼프는 "여성에 대한 당신의 자본주의적 태도는 공산주의 하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고[46][10] 닉슨은 "여성에 대한 태도는 보편적이라 생각합니다. 우리가 원하는 것은 주부의 삶을 좀 더 편안하게 만드는 것입니다."라고 반격했다.[46][10]4. 언론 보도와 반응
미국의 3대 텔레비전 방송국은 1959년 7월 25일 부엌 논쟁을 방송했다. 소련은 닉슨과 흐루쇼프가 미국과 소련에서 토론을 동시에 방송하기로 합의했기 때문에 이에 항의했고, 방송 준비가 될 때까지 테이프 방송을 보류하겠다고 말했다.[47] 하지만 미국의 방송국은 지연되면 뉴스의 시의성을 잃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47] 결국 7월 27일 늦은 밤에 모스크바 텔레비전에서 닉슨의 발언이 부분적으로만 번역된 채로 방송되었다.[48]
미국인의 반응은 엇갈렸다. 《뉴욕 타임스》는 "동서구 간의 격차를 강조했지만 실질적인 문제와는 거의 관련없는 설전"이라고 말하며 정치적인 모험이라 말했다.[49] 또한 뉴욕 타임스는 토론 후 여론이 분열되었다고 선언했다.[50] 반면 《타임》 지에서는 닉슨이 "평화적 성취를 자랑스러워하고 인생을 확신하며 위협에 처한 권력을 확신하는 국가적 인물을 독특한 방식으로 의인화했다"며 닉슨을 높이 평가했다.[51]
이러한 비공식적인 성격의 회담을 통해 닉슨은 인기를 얻었으며, 이전까지 미국 대중에게 미지근한 반응을 보이던 것이 나아졌다.[52][53] 윌리엄 새파이어는 닉슨은 흐루쇼프에게도 강한 인상을 남겼다며 "영리한 흐루쇼프는 닉슨과의 개인적인 설전을 통해 자본주의의 옹호자가 단순히 강경할 뿐 아니라 의지도 강함을 보여주었다"고 말했다.[38] 이 순방은 공인인 정치가로서 닉슨의 위상을 크게 높였고 1960년 미국 공화당 대통령 경선 지명 가능성을 크게 높였다.[54] 1961년 흐루쇼프는 닉슨의 선거 상대인 존 F. 케네디과의 회동에서 자신은 케네디에게 투표했다고 농담했다.[55]
부엌 논쟁에서 흐루쇼프는 닉슨의 손자들이 공산주의 아래 살 것이라 주장했고 반대로 닉슨은 흐루쇼프의 손자들이 자유 속에서 살 것이라고 주장했다. 1992년 인터뷰에서 닉슨은 토론 당시 흐루쇼프의 주장이 틀렸음은 확실했지만 자신의 주장이 옳을지 확신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닉슨은 당시 소련의 붕괴를 언급하며 흐루쇼프의 손자(흐루쇼프의 아들 세르게이 흐루쇼프는 귀화한 미국 시민권자이다)가 이제 자유 속에서 살고 있다며 그 당시 자신의 말이 옳았음이 증명되었다고 말했다.[56]
4. 1. 미국의 반응
미국의 3대 텔레비전 방송국은 1959년 7월 25일 부엌 논쟁을 방송했다.[47] 닉슨과 흐루쇼프가 미국과 소련에서 토론을 동시에 방송하기로 합의했기 때문에 소련은 이에 항의했고, 방송 준비가 될 때까지 테이프 방송을 보류하겠다고 말했다.[47] 하지만 미국의 방송국은 지연되면 뉴스의 시의성을 잃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47] 결국 7월 27일 늦은 밤에 모스크바 텔레비전에서 닉슨의 발언이 부분적으로만 번역된 채로 방송되었다.[48]미국인의 반응은 엇갈렸다. 《뉴욕 타임스》는 "동서구 간의 격차를 강조했지만 실질적인 문제와는 거의 관련없는 설전"이라고 말하며 정치적인 모험이라 말했다.[49] 또한 뉴욕 타임스는 토론 후 여론이 분열되었다고 선언했다.[50] 반면 《타임》 지에서는 닉슨이 "평화적 성취를 자랑스러워하고 인생을 확신하며 위협에 처한 권력을 확신하는 국가적 인물을 독특한 방식으로 의인화했다"며 닉슨을 높이 평가했다.[51]
이러한 비공식적인 성격의 회담을 통해 닉슨은 인기를 얻었으며, 이전까지 미국 대중에게 미지근한 반응을 보이던 것이 나아졌다.[52][53] 윌리엄 새파이어는 닉슨은 흐루쇼프에게도 강한 인상을 남겼다며 "영리한 흐루쇼프는 닉슨과의 개인적인 설전을 통해 자본주의의 옹호자가 단순히 강경할 뿐 아니라 의지도 강함을 보여주었다"고 말했다.[38]
4. 2. 닉슨의 정치적 영향
부엌 논쟁은 닉슨의 대중적 인지도를 높이고 그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52][53] 미국의 3대 텔레비전 네트워크는 1959년 7월 25일 이 논쟁을 방송했고,[47] 소련은 동시 방송 합의에도 불구하고 방송 준비가 될 때까지 테이프 공개를 보류하겠다고 했으나, 미국의 방송사들은 뉴스의 시의성을 이유로 이를 강행했다.[47] 결국 7월 27일 늦은 밤 모스크바 텔레비전에서 닉슨의 발언이 부분적으로만 번역된 채 방송되었다.[48]미국 내 반응은 엇갈렸다. 뉴욕 타임스는 "동서구 간의 격차를 강조했지만 실질적인 문제와는 거의 관련없는 설전"이라고 평가하며 정치적인 모험이라 칭했다.[49] 또한 여론이 분열되었다고 보도했다.[50] 반면 타임 지는 닉슨이 "평화적 성취를 자랑스러워하고 인생을 확신하며 위협에 처한 권력을 확신하는 국가적 인물을 독특한 방식으로 의인화했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51]
윌리엄 새파이어는 "영리한 흐루쇼프는 닉슨과의 개인적인 설전을 통해 자본주의의 옹호자가 단순히 강경할 뿐 아니라 의지도 강함을 보여주었다"고 평가했다.[38] 이 논쟁은 닉슨이 196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공화당 후보로 지명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54]
부엌 논쟁에서 흐루쇼프는 닉슨의 손자들이 공산주의 아래 살 것이라고 주장했고, 닉슨은 흐루쇼프의 손자들이 자유 속에서 살 것이라고 주장했다. 1992년 인터뷰에서 닉슨은 자신의 주장이 옳았음을 확신하지 못했지만, 소련의 붕괴 이후 흐루쇼프의 손자(흐루쇼프의 아들 세르게이 흐루쇼프는 귀화한 미국 시민권자이다)가 자유 속에서 살고 있다는 사실이 자신의 주장을 증명했다고 말했다.[56]
5. 논쟁 이후
5. 1. 흐루쇼프의 예측과 현실
5. 2. 부엌 논쟁에 대한 평가
참조
[1]
간행물
The 1959 Kitchen Debate
2009-07
[2]
뉴스
The Cold War's Hot Kitche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9-07-24
[3]
뉴스
Remembrances of the Great 'Kitchen Debate'
New York Times
1984-07-25
[4]
뉴스
Nixon in USSR Opening US Fair, Clashes with Mr. K
https://www.youtube.[...]
YouTube
1959-07
[5]
간행물
Judging the Kitchen Debate
https://www.jstor.or[...]
1986
[6]
서적
Food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8
[7]
웹사이트
Kitchen debate transcript
https://web.archive.[...]
2019-05-13
[8]
웹사이트
William Safire Oral History Interview
http://www.c-spanvid[...]
[9]
웹사이트
The Kitchen Debate
https://wams.nyhisto[...]
2024-01-05
[10]
웹사이트
The Kitchen Debate – transcript
https://www.cia.gov/[...]
2024-01-05
[11]
뉴스
Debate Goes on TV over Soviet Protest
The New York Times
1959-07-26
[12]
뉴스
Soviet TV Shows Tape of Debate
The New York Times
1959-07-28
[13]
뉴스
News of the Week in Review
The New York Times
1959-07-26
[14]
뉴스
Moscow Debate Stirs U.S Public
The New York Times
1959-07-27
[15]
뉴스
Better to See Once
Time
1959-08-03
[16]
간행물
The Vice President, Secretary of State, and Foreign Policy
https://www.jstor.or[...]
2000
[17]
간행물
Toward a Psychohistorical Inquiry: The 'Real' Richard Nixon
https://www.jstor.or[...]
1970
[18]
뉴스
Now the Summit
The New York Times
1959-08-03
[19]
뉴스
This Kremlin leader bragged about tipping a U.S. presidential election
https://www.washingt[...]
2022-07-12
[20]
Youtube
Richard Nixon on "Inside Washington"
https://www.youtube.[...]
Inside Washington, Seoul Broadcasting System, Richard V. Allen
2020-05-25
[21]
간행물
The 1959 Kitchen Debate
2009-07
[22]
뉴스
The Cold War's Hot Kitche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9-07-24
[23]
뉴스
Remembrances of the Great 'Kitchen Debate'
New York Times
1984-07-25
[24]
뉴스
Nixon in USSR Opening US Fair, Clashes with Mr. K
https://www.youtube.[...]
YouTube
1959-07
[25]
서적
Food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8-10-09
[26]
웹사이트
Kitchen debate transcript
http://www.foia.cia.[...]
2019-05-13
[27]
웹사이트
William Safire Oral History Interview
https://www.c-span.o[...]
2020-09-25
[28]
뉴스
Debate Goes on TV over Soviet Protest
The New York Times
1959-07-26
[29]
뉴스
Soviet TV Shows Tape of Debate
The New York Times
1959-07-28
[30]
뉴스
News of the Week in Review
The New York Times
1959-07-26
[31]
뉴스
Moscow Debate Stirs U.S Public
The New York Times
1959-07-27
[32]
뉴스
Better to See Once
Time
1959-08-03
[33]
간행물
The Vice President, Secretary of State, and Foreign Policy
2000
[34]
간행물
Toward a Psychohistorical Inquiry: The Real Richard Nixon
1970
[35]
뉴스
Now the Summit
The New York Times
1959-08-03
[36]
영상
Richard Nixon on "Inside Washington"
https://www.youtube.[...]
Inside Washington, [[Seoul Broadcasting System]], [[Richard V. Allen]]
2015-04-06
[37]
저널
The 1959 Kitchen Debate
2009-07
[38]
뉴스
The Cold War's Hot Kitche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9-07-24
[39]
뉴스
Remembrances of the Great 'Kitchen Debate'
1984-07-25
[40]
뉴스
Nixon in USSR Opening US Fair, Clashes with Mr. K
https://www.youtube.[...]
YouTube
1959-07
[41]
간행물
Judging the Kitchen Debate
1986
[42]
서적
Food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8
[43]
웹인용
Kitchen debate transcript
http://www.foia.cia.[...]
1959-07-24
[44]
웹인용
William Safire Oral History Interview
http://www.c-spanvid[...]
[45]
웹인용
The Kitchen Debate
https://wams.nyhisto[...]
2024-01-05
[46]
웹인용
The Kitchen Debate – transcript
https://www.cia.gov/[...]
2024-01-05
[47]
뉴스
Debate Goes on TV over Soviet Protest
The New York Times
1959-07-26
[48]
뉴스
Soviet TV Shows Tape of Debate
The New York Times
1959-07-28
[49]
뉴스
News of the Week in Review
The New York Times
1959-07-26
[50]
뉴스
Moscow Debate Stirs U.S Public
The New York Times
1959-07-27
[51]
뉴스
Better to See Once
Time
1959-08-03
[52]
저널
The Vice President, Secretary of State, and Foreign Policy
2000
[53]
저널
Toward a Psychohistorical Inquiry: The 'Real' Richard Nixon
1970
[54]
뉴스
Now the Summit
The New York Times
1959-08-03
[55]
뉴스
This Kremlin leader bragged about tipping a U.S. presidential election
https://www.washingt[...]
2022-07-12
[56]
영상
Richard Nixon on "Inside Washington"
https://www.youtube.[...]
Inside Washington, [[Seoul Broadcasting System]], [[Richard V. Allen]]
2015-04-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