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천 하나은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천 하나은행은 대한민국 여자 프로 농구단으로, 1997년 태평양화학 여자 농구단을 신세계백화점에서 인수하여 '신세계 쿨캣'으로 창단되었다. 2006년 연고지를 부천으로 이전했으며, 2012년 신세계의 농구단 해체 발표 이후 하나금융그룹에 인수되어 '하나외환'으로 팀명을 변경했다. 이후 KEB하나은행, 하나은행, 하나원큐를 거쳐 현재는 하나은행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WKBL 챔피언 결정전 4회 우승 및 박신자컵 서머리그 3회 우승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천시의 스포츠 - 부천종합운동장
    부천종합운동장은 2001년에 완공된 다목적 경기장으로, 부천 FC 1995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며,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수도권 전철 서해선 부천종합운동장역을 통해 접근 가능하다.
  • 부천시의 스포츠 - 판타지아 부천 FS
    판타지아 부천 FS는 2007년 창단하여 FK컵 우승 3회, FK리그 준우승 등의 성적을 거둔 대한민국의 풋살 클럽으로, 복사풋살혁신연합 서포터즈와 이정우 감독이 함께하고 있다.
  • 한국 여자 농구 연맹 팀 -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는 1977년에 창단되어 WKBL에 소속된 여자 프로 농구단으로, WKBL 챔피언 결정전 6회, 정규 리그 6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박정은과 이미선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하고 하상윤 감독이 이끌며 홈 경기장은 용인실내체육관이다.
  • 한국 여자 농구 연맹 팀 - 청주 KB 스타즈
    1963년 국민은행 여자농구단으로 창단된 청주 KB 스타즈는 한국여자프로농구의 강팀으로, 2011년 청주로 연고지를 이전했으며, 2018-2019 시즌에는 통합 우승을 달성했다.
  • 하나금융그룹 - 하나은행
    하나은행은 1971년 한국투자금융으로 설립, 1991년 사명 변경 후 여러 금융기관과의 합병을 거쳐 성장한 대한민국의 시중은행으로, 국내외 영업망을 통해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국제 외환 업무에 강점을 가지고 25개국에 걸쳐 글로벌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다.
  • 하나금융그룹 - 하나증권
    하나증권은 대한민국의 증권 회사로서, 2023년과 2024년에 걸쳐 다양한 기업의 IPO와 스팩합병을 주관하는 등 활발한 상장 주관 활동을 하고 있다.
부천 하나은행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팀 이름부천 하나은행
리그한국여자프로농구 (WKBL)
창단 년도2012년
역사부천 하나외환
2012-2015
부천 KEB하나은행
2015-2020
부천 하나은행
2020
부천 하나원큐
2020-2024
부천 하나은행
2024-현재
경기장부천실내체육관
(수용인원: 5,400석)
연고지경기도 부천시
구단주지성규
단장조성남
감독김도완
주장김정은
모기업하나금융그룹
웹사이트http://www.hanafnbasketball.com/
유니폼 정보

2. 역사

1997년 신세계백화점이 태평양화학 여자 농구팀을 인수해 '신세계 쿨캣'을 창단했다. 이후 하나금융그룹이 신세계 쿨캣을 인수하면서 팀명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2012년 8월 1일 WKBL은 임시총회를 열고 새 인수 기업이 나올 때까지 신세계 농구단의 운영비를 지원하기로 했다.[3] 하나금융그룹은 신세계 농구단을 인수하고 연고지를 부천시로 유지했다.[4]

신세계 마지막 감독이었던 정인교 후임으로 조동기 감독이 선임됐지만, 2014년 성적 부진으로 경질됐고, 박종천 감독이 후임으로 임명되었다. 2015-2016 시즌 첼시 리 서류 위조 사건으로 징계를 받았고, 박종천 감독은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

2. 1. 신세계 쿨캣 (1997~2012)

1997년 신세계백화점에서 여자 실업 농구 팀 태평양화학 여자 농구 팀을 인수하였다. 신세계의 광주광역시 지역 법인인 광주신세계를 모기업으로 하여 ‘신세계 쿨캣’이라는 팀명으로 광주를 연고지로 삼아 창단했다. 이후 2006년 연고지를 경기도 부천으로 이전했다.[1] 2012년 4월 13일 신세계는 보도자료를 통해 농구단을 해체한다고 발표하였다.[2]

2. 2. 하나외환/KEB하나은행/하나원큐 (2012~현재)

1997년, 신세계백화점에서 여자 실업 농구 팀 태평양화학 여자 농구 팀을 인수하였다. 신세계의 광주광역시 지역 법인인 광주신세계를 모기업으로 하여 '신세계 쿨캣'이라는 팀명으로 광주를 연고지로 삼아 창단했다. 이후 2006년 연고지를 경기도 부천으로 이전했다.[1] 2012년 4월 13일, 신세계는 보도자료를 통해 농구단을 해체한다고 발표하였다.[2] 2012년 8월 1일, WKBL은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임시총회를 열고 새로운 인수 기업이 나올 때까지 신세계 농구단의 운영비를 지원하기로 했다. WKBL 관계자는 "한 시즌에 25억에서 30억이 드는 운영비를 지원해 이번 시즌 리그에 출전할 수 있도록 의견을 모았다"며 "새로운 팀 이름은 '네이밍 마케팅'을 통해 정하기로 했다"고 말했다.[3] 때마침 하나금융그룹에서 신세계 농구단을 전격 인수하기로 결정하였고, 연고지도 부천시를 유지하기로 했다.[4] 하나은행이 외환은행을 인수하였는데, 외환은행은 1997년 IMF 구제금융 사건 이전까지 실업 여자 농구 팀을 운영하다가 해체하였고, 이후 신세계 팀 인수를 통해 하나외환 여자농구단으로 개편되어 여자 농구계로 돌아오게 되었다. 신세계의 마지막 감독이었던 정인교의 후임으로 조동기 감독이 선임되었지만, 2014년에 성적 부진으로 경질됐고 후임에는 박종천 감독이 내정되었다.

2015년 9월 1일, 은행 명칭 변경으로 팀명도 KEB하나은행으로 바뀌었다. 2015-2016 시즌 정규리그 2위, 챔프전 준우승을 차지하였으나 첼시 리 서류 위조 사건으로 전 경기 몰수패, 최하위(준우승 상금 회수), 드래프트 최하위 순번의 징계를 받았으며, 박종천 감독은 책임을 지고 사퇴하여 몇 달 후 해설 위원으로 복귀했지만, 한국여자농구연맹은 어떤 책임도 지지 않아 물의를 빚고 있다. 2020년 2월 3일, 은행 명칭 변경으로 팀명도 하나은행으로 바뀌었다.

팀명 변경 역사는 다음과 같다.

날짜팀명
2012년 8월 27일하나금융그룹이 신세계 쿨캣을 전격 인수
2012년 9월 12일신세계 쿨캣에서 하나외환으로 팀명 변경
2015년 9월 1일하나외환에서 KEB하나은행으로 팀명 변경
2020년 2월 3일KEB하나은행에서 하나은행으로 팀명 변경
2020년 6월 15일하나은행에서 하나원큐로 팀명 변경
2024년 8월 13일하나원큐에서 하나은행으로 팀명 변경


3. 역대 감독

순번재임 기간이름
1대2012-2014조동기
2대2014-2016박종천
감독대행2016-2017이환우
4대2017-2019이환우
5대2019-2022이훈재
6대2022~김도완


4. 시즌별 기록

김정은 (베스트 5, 득점상)20145위132215강이슬 (3득점상, 3점 야투상)
김정은 (득점상)
신지현 (신인선수상)20156위————20166위132220강이슬 (베스트 5)20175위122317강이슬 (베스트 5, 득점상, 3득점상, 3점 야투상)20185위122316강이슬 (3득점상, 3점 야투상)20193위111610강이슬 (베스트 5, 득점상, 3득점상, 3점 야투상)20205위111911강유림 (신인선수상)
신지현 (베스트 5)20216위52520신지현 (베스트 5, 모범선수상)20226위62419박소희 (신인선수상)


5. 수상

6. 기타

구분이름
아나운서박종민
응원단장강훈
치어리더안지현, 신유리, 김솔지, 김한나, 박혜린, 김한뉘, 나혜인, 윤별하, 윤요안나, 임서연, 정은혜, 조원지, 김하나


참조

[1] 뉴스 부천 시민들, 신세계 농구단 부천 이전 환영 http://media.daum.ne[...] 연합뉴스 2006-06-07
[2] 뉴스 신세계 갑자기 해체 왜? http://sports.media.[...] 스포츠경향 2012-04-14
[3] 뉴스 해체된 여자농구 신세계, 2012-2013시즌 참가 http://sports.hankoo[...] 스포츠한국 2012-08-01
[4] 뉴스 신세계 농구단, 극적으로 하나금융에 인수 http://news.jumpball[...] 점프볼 2012-08-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