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악산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악산로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부암동에서 시작하여 성북구, 종암동까지 이어지는 도로이다. 1968년 북악스카이웨이 구간 개통과 함께 유료로 운영되었으며, 1975년 5월 통행료 징수가 중단되고 1976년 7월부터 무료 통행이 시작되었다. 2010년 개운산 산복도로 개통에 따라 종점을 종암동까지 연장하고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북악팔각정, 학교, 종교 시설 등 주요 시설이 이 도로 주변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성북구의 교통 - 창경궁로
    창경궁로는 서울 중구에서 성북구까지 이어지는 주요 간선도로로, 여러 구간 조정을 거쳐 현재의 모습이 되었으며 서울의 주요 도로들과 교차한다.
  • 서울 성북구의 교통 - 동부간선도로
    동부간선도로는 경기도 의정부시에서 서울특별시를 남북으로 잇는 자동차 전용도로로, 분당수서로와 연결되어 수도권 간선 도로망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며, 이륜차 통행이 금지되고 일부 구간에서 화물차량 진입이 제한되며 지하화 사업이 추진 중이다.
  • 서울 종로구의 교통 - 청계천로
    청계천로는 서울특별시의 도로로, 청계천 복개, 청계고가도로 건설 및 철거, 청계천 복원 사업을 거쳐 현재의 노선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청계광장에서 시작하여 신답철교까지 이어진다.
  • 서울 종로구의 교통 - 대학로 (서울)
    대학로는 종로구 종로5가에서 혜화동 로터리에 이르는 길과 그 주변 지역을 일컫는 지명으로, 과거 성균관과 서울대학교가 위치했던 대학가에서 마로니에 공원 주변 소극장들을 중심으로 공연 문화가 발달한 "한국판 브로드웨이"로 변모하였다.
  • 서울특별시의 도로 - 녹사평대로
    녹사평대로는 반포대교 북단에서 시작하여 남산3호터널을 지나 소공로와 연결되며, 이태원 관광특구 등 상권과 남산으로의 접근성을 가지는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도로이다.
  • 서울특별시의 도로 - 테헤란로
    테헤란로는 이란 테헤란에서 명칭이 유래되었으며, 1977년 테헤란 시장의 서울 방문을 기념하여 명칭이 변경되었고, 한국의 주요 비즈니스 및 금융 중심지로 발전했다.
북악산로 - [지명]에 관한 문서
도로 정보
도로 종류서울특별시도
특별시도 제5303호선
서울특별시도 제5303호선
노선명북악산로
노선 번호명서울특별시도 제5303호선의 일부
총연장9,700 m
개통년1968년 2월 20일
기점서울특별시 종로구 부암동
주요 경유지서울특별시 종로구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점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동
주요 교차 도로서울특별시도 제30호선
서울특별시도 제52호선
서울특별시도 제2801호선
서울특별시도 제5303호선

2. 연혁


  • 1968년 2월 20일: 북악스카이웨이 구간 착공[1]
  • 1968년 8월 15일: 통행료 징수 개시[1]
  • 1968년 9월 28일: 북악스카이웨이 개통[2]
  • 1975년 5월 11일: 서대문구 부암동~성북구 정릉동 구간 북악스카이웨이 통행료 징수 중지[3]
  • 1976년 7월 16일: 북악스카이웨이 구간 통행료 폐지[4]
  • 일자 불명: 개운산 산복도로 개통에 따라 종점을 종암동까지 연장
  • 2010년 4월 22일: '''북악산로'''로 개칭[5]

2. 1. 북악스카이웨이 개통과 유료 운영 (1968년~1976년)

1968년 2월 20일 북악스카이웨이 구간이 착공되었다.[1] 같은 해 8월 15일부터 통행료 징수가 시작되었고,[1] 9월 28일에 북악스카이웨이가 개통되었다.[2]

1968년 8월 15일부터 1975년 5월 11일까지 서대문구 부암동성북구 정릉동에 요금소를 설치하고 통행료를 징수했다. 본래 통행료는 1980년 2월 25일까지 징수할 예정이었으나, 1975년 5월 11일에 징수가 중단되었고,[3] 1976년 7월 16일부터 무료 통행이 이루어졌다.[4]

1968년부터 1975년까지 징수한 통행 요금은 다음과 같다.

구분통행료비고
승용차50KRW
버스100KRW1975년 통행료 징수 당시 50KRW으로 인하


2. 2. 무료화와 도로명 변경 (1976년~현재)

1975년 5월 11일, 서대문구 부암동에서 성북구 정릉동까지의 북악스카이웨이 구간 통행료 징수가 중지되었고,[3] 1976년 7월 16일에는 통행료가 완전히 폐지되었다.[4] 이후 개운산 산복도로가 개통되면서 종점이 종암동까지 연장되었다. 2010년 4월 22일, 도로명 주소 사업에 따라 북악산로로 이름이 변경되었다.[5]

3. 주요 경유지 및 노선

북악산로는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부암동, 평창동과 성북구의 성북동, 정릉동, 돈암동, 안암동5가, 종암동을 지나는 도로이다.

북악산로 주요 경유지
지역구간비고
서울특별시종로구부암동 - 평창동서울특별시도 제5303호선 구간
서울특별시성북구성북동 - 정릉동 - 돈암동 - 안암동5가 - 종암동서울특별시도 제5303호선 구간


3. 1. 서울특별시 종로구 구간

서울특별시도 제5303호선 인왕산로와 직결된다.

교차로·교량접속 노선소재지비고
북악스카이웨이3교 (창의문로)서울특별시도 제5303호선 인왕산로종로구 부암동육교
백석동길교차로 이름 없음
백석동2길
북악스카이웨이2교 (북악산로)종로구 부암동육교
종로구 평창동해당 구간 교차로 없음


3. 2. 서울특별시 성북구 구간

서울특별시도 제5303호선 구간이다.

교차로·교량접속 노선소재지비고
북악스카이웨이4교 (대사관로) 성북동육교
 대사관로교차로 이름 없음
  정릉제3동해당 구간 교차로 없음
 북악산로1길성북동교차로 이름 없음
 성북로4길돈암제2동
  정릉제2동해당 구간 교차로 없음
돈암제2동
 북악산로1길정릉제2동교차로 이름 없음
  돈암제2동해당 구간 교차로 없음
 북악산로3길정릉제2동교차로 이름 없음
북악스카이웨이1교 (아리랑로5길) 육교
아리랑고개서울특별시도 제2801호선 아리랑로 
 북악산로15길정릉제1동교차로 이름 없음
돈암육교 (동소문로) 돈암제1동육교
미아리구름다리 (동소문로) 
 정릉로44길교차로 이름 없음
 동소문로32길
 고려대로17길안암동
개운산입구서울특별시도 제30호선 종암로종암동 


4. 부속도로

도로명기점종점총연장 (m)차량 통행 가능일방통행소재지
북악산로1길성북구 정릉제2동 산87-233성북구 정릉제2동 산87-16725성북구정릉제2동
북악산로1가길성북구 정릉제2동 508-46성북구 정릉제2동 508-59226
북악산로1나길성북구 정릉제2동 508-76성북구 정릉제2동 508-89245
북악산로1다길성북구 정릉제2동 508-110성북구 정릉제2동 508-90244
북악산로1라길성북구 정릉제2동 508-140성북구 정릉제2동 산87-16266
북악산로3길성북구 정릉제2동 556-29성북구 정릉제2동 607-2255
북악산로5길성북구 정릉제2동 559-60성북구 정릉제2동 506-68236
북악산로15길성북구 정릉제1동 1035-1성북구 정릉제1동 16-12322정릉제1동
북악산로17길성북구 돈암제1동 42-36성북구 돈암제1동 45-38100돈암제1동
북악산로22길성북구 동선동 74-268성북구 동선동 83-22159동선동
북악산로27길성북구 종암동 31-4성북구 종암동 32-1289종암동
북악산로29길성북구 종암동 31-4성북구 종암동 39-6390
북악산로31길성북구 종암동 산2-75성북구 종암동 23-25215


5. 주요 건물 및 시설

북악산로에는 북악팔각정, 성북구의회, 성북참노인전문병원 등 다양한 시설이 있다.

북악산로 주요 시설
종류시설명주소
정자북악팔각정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악산로 267
대한불교조계종 사찰연수암서울특별시 성북구 북악산로 719-9
대한불교조계종 사찰방생선원서울특별시 성북구 북악산로 927-29
구의회성북구의회서울특별시 성북구 북악산로 949-60
병원성북참노인전문병원서울특별시 성북구 북악산로1길 71
한법종 사찰구경암서울특별시 성북구 북악산로5길 22
대한예수교장로회 교회돈암제일교회서울특별시 성북구 북악산로15길 42



교육 시설과 종교 시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5. 1. 교육 시설

북악산로에는 다음과 같은 교육 시설이 있다.

5. 2. 종교 시설

시설명주소
북악팔각정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악산로 267[1]
대한불교조계종 연수암서울특별시 성북구 북악산로 719-9[2]
대한불교조계종 방생선원서울특별시 성북구 북악산로 927-29[3]
한법종 구경암서울특별시 성북구 북악산로5길 22[4]
대한예수교장로회 돈암제일교회서울특별시 성북구 북악산로15길 42[5]


5. 3. 기타 시설

북악산로 기타 시설
종류시설명주소
정자북악팔각정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악산로 267
대한불교조계종 사찰연수암서울특별시 성북구 북악산로 719-9
방생선원서울특별시 성북구 북악산로 927-29
학교매원초등학교서울특별시 성북구 북악산로 870
고명중학교서울특별시 성북구 북악산로 870
고명경영고등학교서울특별시 성북구 북악산로 870
성신초등학교서울특별시 성북구 북악산로 918
성신여자중학교서울특별시 성북구 북악산로 918
개운중학교서울특별시 성북구 북악산로 935
구의회성북구의회서울특별시 성북구 북악산로 949-60
병원성북참노인전문병원서울특별시 성북구 북악산로1길 71
한법종 사찰구경암서울특별시 성북구 북악산로5길 22
대한예수교장로회 교회돈암제일교회서울특별시 성북구 북악산로15길 42


참조

[1] 간행물 서울특별시조례 제552호 http://event.seoul.g[...] 1968-08-01
[2] 뉴스 <북악능선道路(도로)> 스카이웨이 開通(개통)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8-09-28
[3] 간행물 서울특별시공고 제137호 http://event.seoul.g[...] 1975-06-12
[4] 간행물 서울특별시공고 제155호 http://event.seoul.g[...] 1976-07-15
[5]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2010-149호 http://event.seoul.g[...] 2010-04-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