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가리아 배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가리아 배구 국가대표팀은 1949년 국제 배구 연맹에 가입하여 국제 대회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1970년 세계 선수권 대회 준우승,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은메달을 획득하며 강호로 자리매김했으며, 1986년 세계 선수권 대회 동메달 이후 침체기를 겪었으나 2006년과 2007년 세계 선수권 대회와 월드컵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부활했다. 올림픽에서는 1980년 은메달, 2012년 4위를 기록했으며, 세계 선수권, 월드컵, 유럽 선수권, 월드 리그 등 다양한 국제 대회에 참가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현재는 잔로렌조 블렌기니가 감독을 맡고 있으며, efbet이 메인 스폰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가리아의 국가대표팀 - 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1924년 창단되어 1994년 FIFA 월드컵 4위의 최고 성적을 거두었으며 올림픽 메달과 발칸컵 우승을 기록했으나 최근 국제 대회 부진과 인종차별 논란을 겪고 있는 불가리아 대표팀이다. - 불가리아의 국가대표팀 - 불가리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불가리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1949년 국제 아이스하키 연맹에 가입하여 창설되었고, 1976년 동계 올림픽 12위를 기록했으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1998년 D조, 2014년과 2019년 디비전 III 금메달을 획득했다. - 국제 배구 - 스페인 배구 국가대표팀
스페인 배구 국가대표팀은 스페인을 대표하여 국제 배구 대회에 참가하는 남자 배구 팀으로, 월드 리그와 유러피언 리그에서 경쟁력을 다져왔다. - 국제 배구 - 러시아 배구 국가대표팀
러시아 배구 국가대표팀은 소련 시절 국제 배구계의 강자로 군림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 배구 연맹으로부터 대회 참가 금지 조치를 받았다. -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 - 대한민국 배구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배구 국가대표팀은 1959년 국제 배구 연맹에 가입하여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등 다양한 국제 대회에 참가하며,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 3개를 획득하고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4번 우승했다. -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 - 일본 배구 국가대표팀
일본 배구 국가대표팀은 1927년 창설된 일본 배구 협회에서 관리하며, 아시아 선수권 대회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올림픽 금메달 1회, 은메달 1회, 동메달 1회를 획득했으며, 2024년 파리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
불가리아 배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없음 |
협회 | 불가리아 배구 연맹 |
연맹 | CEV |
감독 | 잔로렌초 블렌지니 |
FIVB 순위 | 20위 (2024년 2월) |
웹사이트 | www.volleyball.bg (불가리아어) |
올림픽 | |
출전 횟수 | 8회 |
첫 출전 | 1964년 |
최고 성적 | 은메달 (1980년) |
세계 선수권 | |
출전 횟수 | 20회 |
첫 출전 | 1949년 |
최고 성적 | 은메달 (1970년) |
월드컵 | |
출전 횟수 | 4회 |
첫 출전 | 1965년 |
최고 성적 | 동메달 (2007년) |
유럽 선수권 대회 | |
출전 횟수 | 28회 |
첫 출전 | 1950년 |
최고 성적 | 준우승 (1951년) |
메달 기록 | |
올림픽 | 은메달: 1980 모스크바 |
세계 선수권 대회 | 은메달: 1970 불가리아 동메달: 1949 체코슬로바키아 동메달: 1952 소련 동메달: 1986 프랑스 동메달: 2006 일본 |
월드컵 | 동메달: 2007 일본 |
유럽 선수권 대회 | 은메달: 1951 파리 동메달: 1955 부쿠레슈티 동메달: 1981 바르나 동메달: 1983 동베를린 동메달: 2009 터키 |
유러피언 게임 | 은메달: 2015 바쿠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 pattern_b1: _whitecollar pattern_sh1: leftarm1: FF0000 body1: 008000 rightarm1: FF0000 shorts1: 008000 |
어웨이 유니폼 | pattern_b2: _temuco0910h pattern_sh2: _bul10a leftarm2: 32CD32 body2: FF0000 rightarm2: 32CD32 shorts2: FF0000 |
세 번째 유니폼 | pattern_b3: _augsburg1112h pattern_sh3: _bul10a leftarm3: FFFFFF body3: FF0000 rightarm3: FFFFFF shorts3: FFFFFF |
2. 역사
불가리아는 1949년에 국제 배구 연맹에 가입했다.[4] 제1회 대회인 1949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동메달을 획득했고, 1950년대에 걸쳐 세계 선수권 대회와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4번이나 시상대에 오른 동유럽의 강호였다. 1970년대부터 1980년대에 걸쳐 강호 국가로서 활약했다. 1970년 세계 선수권 대회와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서 각각 은메달을 획득했다.[5][6] 또한 1972년 뮌헨 올림픽 준결승에서 결승 진출을 걸고 일본과 벌인 사투는 배구 역사에 남는 명승부가 되었다.[7][8]
1986년 세계 선수권 대회 동메달 획득을 마지막으로 한동안 시상대에서 멀어졌지만, 2000년대 중반이 되면서 2006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20년 만에 동메달을 획득했고[5], 30년 만에 출전한 2007년 월드컵에서도 동메달을 획득했다.[5] FIVB 랭킹을 4위까지 올렸고,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 출전했지만, 준준결승에서 러시아에 패배하여[9], 모스크바 이후의 올림픽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2012년 런던 올림픽은 3위 결정전에서 이탈리아에 패했다.[10]
불가리아는 1994년 FIVB 월드 리그에 처음 참가했다. 이 토너먼트 데뷔 시즌 동안, 류보 가네프, 디모 토네프, 마르틴 스토예프 등 선수들의 활약에 힘입어 팀은 준결승까지 진출했다. 다음 네 번의 대회에서 불가리아는 참가했지만 이전 성적을 뛰어넘지 못하고 1995년 FIVB 월드 리그 5위, 1996년 FIVB 월드 리그 8위, 1997년 FIVB 월드 리그 6위, 1998년 FIVB 월드 리그 7위를 기록했다. 밀로라드 키야크의 지도 아래, 테오도르 살파로프, 다니알 미하일로프 등 새로운 선수들이 에브게니 이바노프, 플라멘 콘스탄티노프, 니콜라이 이바노프, 블라디미르 니콜로프, 흐리스토 츠베타노프와 조화를 이루어 2003년 5위를 차지했다. 다음 해, 다시 키야크의 지도 아래, 팀은 인상적인 경기를 펼치며 준결승 진출이라는 최고 성적을 다시 한 번 달성했다. 이 팀에는 전년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한 21세 이하 팀의 마테이 카지이스키와 밀루셰프 등 더 많은 선수들이 포함되었다. 2005년 FIVB 월드 리그에서는 새로운 코치 마르틴 스토예프와 함께 팀이 5위를 차지했고, 2006년 FIVB 월드 리그에서 다시 한번 최고 성적인 준결승 진출을 달성했으며, 2007년 FIVB 월드 리그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2011년 FIVB 월드 리그에서 불가리아는 4년 만에 처음으로 결선 라운드에 진출하여 5위를 기록했다. 2012년 결선 라운드는 새로 개장한 아르미츠 아레나 소피아에서 개최되었고, 개최국은 다시 한번 준결승에 진출했다.
팀의 주요 성과로는 1980년 발칸 선수권 대회 우승, FIVB 세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1970), 3위(1949, 1952, 1986, 2006)가 있다.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준우승 1회(1951), 3위 4회(1955, 1981, 1983, 2009)를 기록했다. 불가리아는 또한 1980년 하계 올림픽 모스크바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이 팀은 FIVB 월드컵에서 3위(2007)를 한 번, FIVB 월드 리그에서 4강 진출 5회(1994, 2004, 2006, 2012, 2013)를 기록했다. 팀의 가장 최근 주요 성과로는 2006년 FIVB 세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 3위, 2007년 FIVB 월드컵 3위, 2009년 유럽 선수권 대회 3위, 그리고 2015년 제1회 2015년 유럽 게임 준우승이 있다.
2. 1. 초기 (1949-1970)
불가리아는 1949년 국제 배구 연맹(FIVB)에 가입하여 국제 대회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체코슬로바키아 프라하에서 열린 1949년 FIVB 세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1950년대에는 1952년 FIVB 세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 3위를 기록하는 등 세계 선수권 대회와 유럽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 꾸준한 성적을 기록했다. 1951년 유럽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1955년 유럽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2. 2. 전성기 (1970-1986)
불가리아는 1970년 FIVB 세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1980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1980년 하계 올림픽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1986년 FIVB 세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2. 3. 침체와 부활 (1987-2007)
1986년 FIVB 세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후, 불가리아 배구 국가대표팀은 오랫동안 국제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하지 못하는 침체기를 겪었다. 하지만 2006년 FIVB 세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 20년 만에 동메달을 획득하며 부활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이듬해인 2007년 FIVB 월드컵에서도 동메달을 획득하며 상승세를 이어갔다.불가리아는 1994년 FIVB 월드 리그에 처음 참가하여 류보 가네프, 디모 토네프, 마르틴 스토예프 등의 활약으로 준결승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이후 몇 년간 1995년 FIVB 월드 리그 5위, 1996년 FIVB 월드 리그 8위, 1997년 FIVB 월드 리그 6위, 1998년 FIVB 월드 리그 7위를 기록하며 꾸준히 FIVB 월드 리그에 참가했다. 밀로라드 키야크 감독의 지도 아래 테오도르 살파로프, 다니알 미하일로프와 같은 새로운 선수들이 에브게니 이바노프, 플라멘 콘스탄티노프, 니콜라이 이바노프, 블라디미르 니콜로프, 흐리스토 츠베타노프와 같은 기존 선수들과 조화를 이루면서 2003년 5위를 기록하였다. 2004년에는 다시 한번 준결승에 진출하는 저력을 보여주었다. 2005년 FIVB 월드 리그에서는 마르틴 스토예프 감독과 함께 5위를 차지했고, 2006년 FIVB 월드 리그와 2007년 FIVB 월드 리그에서는 각각 준결승 진출과 5위를 기록했다. 2011년 FIVB 월드 리그에서는 5위를 차지하며 결선 라운드에 진출했다. 2012년 결선 라운드는 소피아의 아르미츠 아레나에서 개최되었으며, 불가리아는 준결승에 진출했다.
2. 4. 최근 (2008-현재)
불가리아는 2008년 하계 올림픽에서 5위를 기록했다.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이후 올림픽과 주요 국제 대회에서 이전과 같은 성적을 내지 못하고 있다. 불가리아는 1994년 FIVB 월드 리그에 처음 참가하여 데뷔 시즌에 류보 가네프 등의 활약으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이후 1995년 FIVB 월드 리그 5위, 1996년 FIVB 월드 리그 8위, 1997년 FIVB 월드 리그 6위, 1998년 FIVB 월드 리그 7위를 기록했다. 2003년에는 테오도르 살파로프 등 새로운 선수들이 합류하여 5위를 차지했고, 2004년에는 다시 준결승에 진출했다. 마르틴 스토예프가 코치를 맡은 2005년 FIVB 월드 리그에서는 5위, 2006년 FIVB 월드 리그에서는 준결승, 2007년 FIVB 월드 리그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2011년 FIVB 월드 리그에서는 5위를 기록했고, 2012년 결선 라운드는 아르미츠 아레나에서 개최되어 준결승에 진출했다.3. 대회 기록
3. 1. 올림픽
불가리아는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 5위를 기록한 것을 시작으로 올림픽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는 6위를 기록했다.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서는 결승전에서 소련에 패하면서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는 보이콧으로 인해 참가하지 못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는 6위를 기록했다.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는 7위를 기록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당시 대표팀 감독은 나이데노프였으며, 선수로는 G. 브라토예프, 스크리모프, 디미트로프, V. 브라토예프, V. 니콜로프, 요시포프, 살파로프, 토도로프, 알렉시예프, 펜체프, N. 니콜로프, 소콜로프가 있었다.
이후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과 2020년 도쿄 올림픽에는 예선에서 탈락하여 본선에 진출하지 못했다.
3. 2. 세계 선수권
불가리아 배구 국가대표팀은 FIVB 세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에 여러 차례 참가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1949년 체코슬로바키아 대회와 1952년 소련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였고, 1970년 자국에서 열린 대회에서는 '''은메달'''을 차지했다. 1986년 프랑스 대회와 2006년 일본 대회에서도 '''동메달'''을 획득하며 세계적인 강팀으로 자리매김했다.불가리아는 2025년 필리핀에서 열리는 세계 선수권 대회에 진출한 상태이다.
대회 | 결과 |
---|---|
1949 체코슬로바키아 | |
1952 소련 | 동메달 |
1962 소련 | 4위 |
1970 불가리아 | 은메달 |
1986 프랑스 | 동메달 |
2006 일본 | 동메달 |
2010 이탈리아 | 7위 |
2014 폴란드 | 13위 |
2018 이탈리아/불가리아 | 11위 |
2022 폴란드/슬로베니아 | 20위 |
2025 필리핀 | 진출 |
3. 3. 월드컵
불가리아는 1969년 동독에서 열린 1969년 월드컵에서 4위를 기록했다. 1965년 대회에서는 9위, 1977년 대회에서는 6위를 기록했다. 2007년 일본 대회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3. 4. 유럽 선수권
불가리아는 1948년 대회를 제외하고 현재까지 꾸준히 유럽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1951년 프랑스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첫 메달을 획득했고, 1955년 루마니아 대회, 1981년 자국에서 열린 대회, 1983년 동독 대회, 2009년 터키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였다.불가리아는 여러 차례 4위를 기록하기도 했는데, 1950년, 1958년, 1963년, 1995년, 2013년, 2015년 대회가 이에 해당한다.
연도 | 개최국 | 성적 |
---|---|---|
1948년 | 이탈리아 | 불참 |
1950년 | 불가리아 | 4위 |
1951년 | 프랑스 | 은메달 |
1955년 | 루마니아 | 동메달 |
1958년 | 체코슬로바키아 | 4위 |
1963년 | 루마니아 | 4위 |
1967년 | 터키 | 9위 |
1971년 | 이탈리아 | 7위 |
1975년 | 유고슬라비아 | 5위 |
1977년 | 핀란드 | 5위 |
1979년 | 프랑스 | 10위 |
1981년 | 불가리아 | 동메달 |
1983년 | 동독 | 동메달 |
1985년 | 네덜란드 | 5위 |
1987년 | 벨기에 | 11위 |
1989년 | 스웨덴 | 6위 |
1991년 | 독일 | 5위 |
1993년 | 핀란드 | 5위 |
1995년 | 그리스 | 4위 |
1997년 | 네덜란드 | 9위 |
1999년 | 오스트리아 | 7위 |
2001년 | 체코 | 6위 |
2003년 | 독일 | 9위 |
2005년 | 이탈리아/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예선 탈락 |
2007년 | 러시아 | 8위 |
2009년 | 터키 | 동메달 |
2011년 | 오스트리아/체코 | 6위 |
2013년 | 덴마크/폴란드 | 4위 |
2015년 | 불가리아/이탈리아 | 4위 |
2017년 | 폴란드 | 6위 |
2019년 | 프랑스/슬로베니아/벨기에/네덜란드 | 11위 |
2021년 | 폴란드/체코/에스토니아/핀란드 | 11위 |
2023년 | 이탈리아/불가리아/북마케도니아/이스라엘 | 15위 |
3. 5. 월드 리그 / 네이션스 리그
불가리아 배구 국가대표팀은 1994년 대회에서 4위를 기록한 이후, 꾸준히 월드 리그 및 네이션스 리그에 참가해왔다. 1995년 5위, 1996년 8위, 1997년 6위, 1998년 7위, 2003년 5위, 2004년 4위, 2005년 5위, 2006년 4위, 2007년 5위, 2008년 7위, 2009년 10위, 2010년 7위, 2011년 5위, 2012년 4위, 2013년 4위, 2014년 8위, 2015년 10위, 2016년 11위, 2017년 9위를 기록했다. 2018년부터는 FIVB 남자 배구 네이션스 리그에 참가하여 2018년 11위, 2019년 12위, 2021년 15위, 2022년 14위, 2023년 15위, 2024년 14위를 기록하였다.3. 6. 기타 대회
불가리아는 2015년 바쿠에서 열린 유러피언 게임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1961년 소피아에서 열린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는 은메달, 1977년 소피아에서 열린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했다.4. 선수단
wikitext
2024년 국제 배구 연맹 남자 배구 네이션스 리그에 참가하는 불가리아 대표팀 명단은 다음과 같다. 감독은 잔로렌초 블렌기니이다.
번호 | 선수 이름 | 포지션 |
---|---|---|
1 | 시메온 니콜로프 | 세터 (S) |
6 | 게오르기 페트로프 | 아웃사이드 히터 (OH) |
8 | 아스파루 아스파루호프 | 아웃사이드 히터 (OH) |
9 | 블라디미르 가르코프 | 아웃사이드 히터 (OH) |
10 | 데니스 카랴긴 | 아웃사이드 히터 (OH) |
11 | 알렉스 그로즈다노프 | 미들 블로커 (MB) |
12 | 게오르기 타타로프 | 아웃사이드 히터 (OH) |
13 | 디미타르 디미트로프 | 아포짓 스파이커 (O) |
14 | 마르틴 보질로프 | 리베로 (L) |
16 | 스베토슬라프 스탄코프 | 세터 (S) |
19 | 니콜라이 카르테프 | 미들 블로커 (MB) |
22 | 다미안 콜레프 | 리베로 (L) |
24 | 일리아 페트코프 | 미들 블로커 (MB) |
27 | 보리스 나체프 | 미들 블로커 (MB) |
디미타르 즐라타노프, 에브게니 이바노프, 플라멘 콘스탄티노프, 블라디미르 니콜로프, 마테이 카지이스키, 테오도르 살파로프, 안드레이 제코프, 보얀 요르다노프, 토도르 알렉시예프, 미로슬라프 글라디나로프, 크라시미르 가이다르스키, 흐리스토 츠베타노프, 니콜라이 니콜로프, 다나일 미하일로프, 빅토르 요시포프, 테오도르 토도로프, 츠베탄 소콜로프, 게오르기 브라토예프, 토도르 스크리모프, 니콜라이 펜체프, 로잘린 펜체프, 게오르기 세가노프, 마틴 아타나소프, 알렉산다르 니콜로프, 시메온 니콜로프 등이 불가리아 배구 국가대표팀을 거쳐간 주요 선수들이다.
4. 1. 현재 선수단
2024년 국제 배구 연맹 남자 배구 네이션스 리그에 참가하는 불가리아 대표팀 명단은 다음과 같다. 감독은 잔로렌초 블렌기니이다.번호 | 선수 이름 | 포지션 |
---|---|---|
1 | 시메온 니콜로프 | 세터 (S) |
6 | 게오르기 페트로프 | 아웃사이드 히터 (OH) |
8 | 아스파루 아스파루호프 | 아웃사이드 히터 (OH) |
9 | 블라디미르 가르코프 | 아웃사이드 히터 (OH) |
10 | 데니스 카랴긴 | 아웃사이드 히터 (OH) |
11 | 알렉스 그로즈다노프 | 미들 블로커 (MB) |
12 | 게오르기 타타로프 | 아웃사이드 히터 (OH) |
13 | 디미타르 디미트로프 | 아포짓 스파이커 (O) |
14 | 마르틴 보질로프 | 리베로 (L) |
16 | 스베토슬라프 스탄코프 | 세터 (S) |
19 | 니콜라이 카르테프 | 미들 블로커 (MB) |
22 | 다미안 콜레프 | 리베로 (L) |
24 | 일리아 페트코프 | 미들 블로커 (MB) |
27 | 보리스 나체프 | 미들 블로커 (MB) |
4. 2. 역대 주요 선수
디미타르 즐라타노프, 에브게니 이바노프, 플라멘 콘스탄티노프, 블라디미르 니콜로프, 마테이 카지이스키, 테오도르 살파로프, 안드레이 제코프, 보얀 요르다노프, 토도르 알렉시예프, 미로슬라프 글라디나로프, 크라시미르 가이다르스키, 흐리스토 츠베타노프, 니콜라이 니콜로프, 다나일 미하일로프, 빅토르 요시포프, 테오도르 토도로프, 츠베탄 소콜로프, 게오르기 브라토예프, 토도르 스크리모프, 니콜라이 펜체프, 로잘린 펜체프, 게오르기 세가노프, 마틴 아타나소프, 알렉산다르 니콜로프, 시메온 니콜로프 등이 불가리아 배구 국가대표팀을 거쳐간 주요 선수들이다.5. 감독
wikitable
성명 | 재임 기간 |
---|---|
발렌틴 안코프/Валентин Анковbg | 1949-1950 |
디미타르 엘렌코프/Димитър Еленковbg | 1951-1952, 1957-1958 |
게오르기 크라스테프/Георги Кръстевbg | 1952-1955 |
디미타르 기고프/Димитър Гиговbg | 1964-1971 |
토도르 시모프 | 1964-1971 |
토도르 피페르코프/Тодор Пиперковbg | 1979-1980 |
츠베탄 파블로프/Цветан Павловbg | 1980-1982 |
바실 시모프 | 1984-1986 |
보그단 큐추코프/Богдан Кючуковbg | 1984-1986 |
게오르기 바실레프 | 1991-1992, 1998-1999 |
게오르기 스토에프 | 1992-1994 |
브룬코 일리에프 | 1994, 1999-2000, 2004-2005 |
스테판 소콜로프/Стефан Соколовbg | 1994-1996 |
흐리스토 일리에프/Христо Илиевbg | 2000-2002 |
아센 갈라비노프 | 2002-2003 |
밀로라드 키야치/Милорад Kиjaцsr | 2003-2004 |
마르틴 스토에프 | 2005-2008 |
실바노 프란디 | 2009-2010, 2019-2022 |
라도스틴 스토이체프 | 2010-2012 |
나이덴 나이데노프 | 2012 |
카밀로 플라치 | 2012-2014 |
플라멘 콘스탄티노프 | 2014-2019, 2023 |
니콜라이 젤랴스코프 | 2022- |
5. 1. 역대 감독
성명 | 재임 기간 |
---|---|
발렌틴 안코프/Валентин Анковbg | 1949-1950 |
디미타르 엘렌코프/Димитър Еленковbg | 1951-1952, 1957-1958 |
게오르기 크라스테프/Георги Кръстевbg | 1952-1955 |
디미타르 기고프/Димитър Гиговbg | 1964-1971 |
토도르 시모프 | 1964-1971, 1971-1972 |
토도르 피페르코프/Тодор Пиперковbg | 1979-1980 |
츠베탄 파블로프/Цветан Павловbg | 1980-1982 |
바실 시모프 | 1982-1983, 1984-1986 |
보그단 큐추코프/Богдан Кючуковbg | 1984-1986, 1994-1996 |
게오르기 바실레프 | 1991-1992, 1998-1999 |
스토얀 스토예프 | 1992-1994 |
브룬코 일리에프 | 1994, 1999-2000, 2004-2005 |
스테판 소콜로프/Стефан Соколовbg | 1994-1996, 1996-1997 |
흐리스토 일리에프/Христо Илиевbg | 2000-2002 |
아센 갈라비노프 | 2002-2003 |
밀로라드 키야치/Милорад Kиjaцsr | 2003-2004 |
마르틴 스토에프 | 2005-2008 |
실바노 프란디 | 2009-2010, 2019-2022 |
라도스틴 스토이체프 | 2010-2012 |
나이덴 나이데노프 | 2012 |
카밀로 플라치 | 2012-2014 |
플라멘 콘스탄티노프 | 2014-2019, 2023 |
니콜라이 젤랴스코프 | 2022-2023 |
잔로렌조 블렌기니 | 2024- |
6. 한국과의 관계
7. 후원사
7. 1. 키트 제공업체
7. 2. 스폰서
불가리아 배구 국가대표팀의 메인 스폰서는 불가리아의 베팅 회사인 efbet이며, 아식스, 미카사 및 리들이 부가적인 스폰서이다.[2]참조
[1]
웹사이트
Bulgaria VNL 2024
https://en.volleybal[...]
volleyballworld.com
2024-06-09
[2]
웹사이트
Българска Федерация Волейбол
https://bvf.bg/
2023-09-08
[3]
웹사이트
FIVB Senior World Ranking - Men
https://en.volleybal[...]
FIVB
2024-02-14
[4]
웹사이트
Confédération Européenne de Volleyball (CEV)
http://www.fivb.org/[...]
FIVB
2014-11-30
[5]
웹사이트
История
http://www.volleybal[...]
BFV
2014-12-01
[6]
웹사이트
Olympic Countdown 1980: Soviets reign supreme back in the USSR
https://www.fivb.org[...]
FIVB
2014-12-01
[7]
웹사이트
ヒーローたちの名勝負 ミュンヘンの奇跡 男子バレー・金メダル
http://www.nhk-g.co.[...]
NHK G-Media
2014-11-30
[8]
웹사이트
Olympic Countdown: Munich sweet and sour for Japan
https://www.fivb.org[...]
FIVB
2014-12-01
[9]
웹사이트
Russia seize semi-final berth
https://www.fivb.org[...]
FIVB
2014-11-30
[10]
웹사이트
Italy claim classification match with Bulgaria to seize their fifth Olympic medal
https://www.fivb.org[...]
FIVB
2014-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