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브라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라네는 세르비아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11세기 비잔틴 제국의 기록에 처음 언급되었다. 로마 제국 시기에는 모에시아 수페리오르와 다르다니아의 일부였으며, 9세기부터 11세기까지는 불가리아의 영토였다. 1878년 세르비아에 편입되었고, 20세기 초에는 세르비아 왕국의 국경 도시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불가리아에 점령되기도 했으며, 이후 유고슬라비아의 일부가 되었다. 브라네는 프치냐 구의 경제, 정치, 문화 중심지이며, 온난 습윤 기후를 보인다. 2022년 기준 인구는 74,381명이며, 세르비아인이 다수를 차지한다. 브라네는 산업, 무역, 관광의 중심지이며, 보리사브 스탄코비치의 고향으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의 도시 - 베오그라드
    베오그라드는 다뉴브강과 사바강 합류 지점에 위치한 세르비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로마 시대 싱기두눔으로 번성한 역사적 도시이며, 여러 제국을 거쳐 세르비아의 중심지로 발전해왔다.
  • 세르비아의 도시 - 니시
    니시는 세르비아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에는 나이수스로 불렸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 중요한 도시로 발전하여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태어났고, 현재는 세르비아의 주요 산업, 문화, 교통의 중심지이다.
브라네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브라네 시 깃발
깃발
브라네 시 문장
문장
위치세르비아 내 브라네 시의 위치
국가세르비아
지역남부 및 동부 세르비아
프치냐 구
자치시브라네 자치시
시장슬로보단 밀렌코비치
소속 정당SNS
면적 (각주)세르비아 자치체 2006
도시 지역36.96 km²
행정 구역860 km²
고도487 m
시간대CET (UTC+1)
하계 시간CEST (UTC+2)
우편 번호17500
지역 번호+381(0)17
차량 번호판VR
웹사이트브라네 시 공식 웹사이트
인구
2022년 인구 조사74,381명
도시 인구55,214명
행정 구역 인구74,381명
순위세르비아 내 16위
행정 구역
정착지 수105개
지리
기타
ISO 코드SRB
유네스코 창조 도시 네트워크
지정유네스코 창조 도시 (디자인)

2. 지명

브라네라는 지명은 11세기 비잔틴 제국의 기록에서 처음 언급되었다. 이 도시의 이름은 슬라브어에서 "검은색" 또는 "어두운색"을 의미하는 'vran'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대 슬라브어 이름인 'Vran'에서 파생되었을 가능성도 있다.[5]

3. 역사

기원전 2세기 또는 기원전 1세기로마인들이 이 지역을 정복했다. 브라네는 로마 통치 기간 동안 모에시아 수페리오르와 다르다니아의 일부였다. 브라네 지역의 로마 요새는 539–544년 훈족의 공격으로 버려졌는데, 여기에는 브란스카 바냐의 칼레, 코르베바크의 그라디슈테, 프르보네크의 그라디슈테가 포함된다.[6]

중세 시대인 9세기부터 11세기까지 오늘날의 브라네 영토는 불가리아의 일부였다.[7][8][9][10] 브라네에 대한 최초의 문헌 언급은 비잔틴 연대기인 안나 콤네나의 ''알렉시아스''(1083–1153)에서 나왔으며, 여기에는 세르비아 통치자 부칸이 1093년에 정복의 일환으로 브라네에 도달하여 정복했지만, 강력한 비잔틴 제국에 의해 곧 철수해야 했던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 도시 이름은 고대 세르비아어 단어 "vran"("검은")에서 유래되었다. 1193년, 브라네는 세르비아 대공 스테판 네마냐에 의해 비잔틴 제국으로부터 일시적으로 점령되었다. 1207년 대공 스테판 네마니치에 의해 정복되면서 브라네는 확실히 세르비아 국가에 편입되었다.

1455년, 브라네는 중세 세르비아 국가의 멸망과 함께 오스만 제국에 의해 정복되었다. 이 도시는 도시와 중세 ''주파''의 이름을 따서 브라네라는 ''카자''(군)의 중심지로 조직되었다.

1878년 브라네 전투에서 요반 벨리마르코비치가 지휘하는 세르비아 군대에 의해 브라네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해방되었다. 브라네는 당시 8,000명이 조금 넘는 인구로 세르비아 공국에 편입되었다. 발칸 전쟁이 끝날 때까지 이 도시는 마케도니아에 대한 세르비아 국가의 정치적, 문화적 영향력의 전달 기지로서 특별한 지위와 역할을 했다.

20세기 초 브라네는 약 12,000명의 주민을 가진 세르비아 왕국의 국경 도시였다. 이 도시는 오스만 영토로 건너가 코소보와 마케도니아에서 싸운 세르비아 게릴라(체트니크)의 출발점으로 사용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세르비아 군대의 주요 본부가 이 도시에 있었다. 페타르 1세 카라조르제비치, 니콜라 파시치 총리, 참모 총장 라도미르 푸트니크 장군이 브라네에 머물렀다. 브라네는 1915년 10월 16일에서 17일에 불가리아 왕국에 의해 점령된 후, 전쟁 범죄와 불가리아화가 도시와 더 넓은 지역에서 저질러졌다.

제2차 세계 대전 기념비.


전쟁 후, 브라네는 세르브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의 일부가 되어 33개 오브라스트 중 하나가 되었고, 1929년에는 바르다르 바노비나의 일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나치 독일 군대는 1941년 4월 9일 도시에 진입하여 1941년 4월 22일 불가리아 행정부로 이관했다. 브라네는 1944년 9월 7일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에 의해 해방되었다.

사회주의 유고슬라비아 동안 브라네는 프치냐 구로 조직되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산업화가 이루어졌다. 1990년대에 브라네의 경제는 유고슬라비아 제재와 1999년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NATO 폭격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3. 1. 고대

기원전 2세기 또는 기원전 1세기로마인들이 이 지역을 정복했다. 로마 통치 기간 동안 브라네는 모에시아 수페리오르와 다르다니아의 일부였다. 539년에서 544년 사이에 훈족의 공격으로 브라네 지역의 로마 요새는 버려졌는데, 여기에는 브란스카 바냐의 칼레, 코르베바크의 그라디슈테, 프르보네크의 그라디슈테가 포함된다.[6]

3. 2. 중세

9세기부터 11세기까지 오늘날의 브라네 지역은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의 일부였다.[7][8][9][10]

비잔틴 제국의 연대기 작가 안나 콤네나의 ''알렉시아스''(1083–1153)에 브라네에 대한 최초의 문헌 기록이 있다. 이 기록에 따르면, 1093년 세르비아 통치자 부칸이 정복의 일환으로 브라네를 점령했지만, 강력한 비잔틴 제국 때문에 곧 물러나야 했다. 도시 이름은 고대 세르비아어 단어 "vran"("검은")에서 유래했다. 1193년, 스테판 네마냐가 브라네를 일시적으로 점령했다. 1207년, 스테판 네마니치가 브라네를 정복하면서 세르비아 국가에 확실히 편입되었다.[7]

1306년 이전, 테프치야 쿠즈마는 스테판 밀루틴 왕을 섬기며 브라네와 주변 마을을 포함하는 지역인 ''주파''의 지배자가 되었다. 같은 시기, 카즈나크 미로슬라프가 브라네 주변 지역을 다스렸다.[11] 이후, 카즈나크 발도빈 (1325–45년)이 스테판 데찬스키 왕을 섬기며 브라네 주변 영지를 받았다.[12] 그 다음, 발도빈의 아들인 주판 말류사트가 브라네의 ''주파''를 지배했다. 세르비아 제국 선포 시점에 브라네에는 다른 도시와 마찬가지로 ''케팔리야''라는 칭호를 가진 지배자들이 있었다. 세르비아 제국 멸망 동안 브라네는 우글레샤 블라트코비치의 소유가 되었으며, 여기에는 프레셰보쿠마노보도 포함되었다. 우글레샤는 트리폴리 전투 (1403년) 이후 세르비아 데스포트 스테판 라자레비치의 봉신이 되었고, 브라네는 세르비아 데스포테이트의 일부가 되었다.

마르코보 칼레, 중세 요새의 폐허


중세 시대의 ''주파''는 작은 풍경 단위였으며, 새로운 정착지의 건설과 ''주파'' 마을과 양치기 오두막에서 작은 마을과 인근 마을의 독립으로 영토가 확장되었다. 노보 브르도 광산 도시의 발전과 좋은 상업 관계는 수많은 정착지를 만들었다. 1455년, 브라네는 중세 세르비아 국가의 멸망과 함께 오스만 제국에 의해 정복되었다. 이 도시는 도시와 중세 ''주파''의 이름을 따서 브라네라는 ''카자''(군)의 중심지로 조직되었다.[7]

3. 3. 근대

1878년 세르비아-오스만 전쟁에서 요반 벨리마르코비치가 지휘하는 세르비아 군대에 의해 브라네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해방되었다.[13] 전쟁 후 브라네는 세르비아 공국에 편입되었으며,[14] 당시 브라네의 인구는 8,000명이 조금 넘었다.[14] 발칸 전쟁이 끝날 때까지 브라네는 마케도니아에 대한 세르비아의 영향력을 전달하는 기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14]

3. 4. 현대

20세기 초, 브라네는 약 12,000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세르비아 왕국의 국경 도시였다. 이 도시는 오스만 제국 영토로 넘어가 코소보와 마케도니아에서 싸운 세르비아 게릴라(체트니크)의 출발점으로 사용되었다.[14]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세르비아 군대의 주요 본부가 이 도시에 있었으며, 페타르 1세 카라조르제비치, 니콜라 파시치 총리, 참모 총장 라도미르 푸트니크 장군이 브라네에 머물렀다. 1915년 10월 16일에서 17일에 불가리아 왕국에 의해 점령되었고, 전쟁 범죄와 불가리아화가 도시와 더 넓은 지역에서 자행되었다.[14]

전쟁 후, 브라네는 세르브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의 일부가 되어 33개 오브라스트 중 하나가 되었고, 1929년에는 바르다르 바노비나의 일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나치 독일 군대는 1941년 4월 9일 도시에 진입하여 1941년 4월 22일 불가리아 행정부로 이관했다. 브라네는 1944년 9월 7일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에 의해 해방되었다.[14]

사회주의 유고슬라비아 동안 브라네는 프치냐 구로 조직되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산업화가 이루어졌다. 1990년대에 브라네의 경제는 유고슬라비아 제재와 1999년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NATO 폭격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14]

4. 지리

브라네는 남부 모라바강 좌안, 브라네 분지의 북서부에 위치해 있다.

플랴치코비차산(1231m), 크르스틸로비체산(1154m), 프르자르산(731m) 기슭에 위치해 있다. 브라네 강과 도시는 북쪽으로 레스코바츠(70 km), 니시(110km), 베오그라드(347km)로 이어지는 주요 도로와 철도 노선에 의해 분리되며, 남쪽으로는 쿠마노보(56km), 스코페(91km), 테살로니키(354km)로 이어진다. 불가리아와의 국경에서 70km, 북마케도니아와의 국경에서 40km 떨어져 있다.

브라네는 남부 세르비아 프치냐 구의 경제, 정치, 문화 중심지이다.[27]

5. 기후

브라네의 기후는 온난 습윤 기후(Cfa)로 분류된다. 1981년부터 2010년까지의 자료에 따르면 연평균 기온은 11.3°C, 연평균 강수량은 578.3mm이다.[29] 가장 더운 달은 7월과 8월이며, 가장 추운 달은 1월이다.

다음은 1981-2010년, 1991-2020년, 2010-2022년의 기간별 월별 평균 기온, 강수량, 일조시간 등을 나타낸 표이다.

브라네 기후 데이터
1981–2010[29]1991–2020[15][16]2010-2022[17]1981–2010[29]1991–2020[15][16]2010-2022[17]
평균 최고 기온 (°C)1월4.24.54.67월28.729.330.2
2월6.87.79.18월29.130.031.1
3월12.212.712.99월24.224.625.7
4월17.317.718.410월18.418.819.1
5월22.522.722.711월10.812.013.5
6월26.126.827.112월5.15.56.5
평균 기온 (°C)1월0.30.30.87월21.422.222.6
2월2.12.54.28월21.622.323.0
3월6.76.87.39월17.317.218.5
4월11.211.612.010월12.312.112.7
5월16.016.116.311월6.26.78.4
6월19.420.120.312월1.51.52.9
평균 최저 기온 (°C)1월-3.6-3.4-2.97월14.114.615.2
2월-2.6-2.0-0.68월14.114.615.0
3월1.11.31.79월10.310.711.3
4월5.05.25.610월6.26.46.3
5월9.49.59.711월1.52.23.4
6월12.613.113.612월-2.1-1.8-0.8
강수량 (mm)1월35.439.952.07월44.746.244.1
2월38.341.046.88월43.241.822.2
3월38.243.550.69월46.750.243.1
4월52.052.9119.110월52.460.257.8
5월56.363.163.411월57.454.361.7
6월63.259.352.212월50.553.655.2
평균 상대 습도 (%)1월8181.87월6160.0
2월7574.88월6059.1
3월6766.69월6766.3
4월6464.010월7373.4
5월6566.211월7979.0
6월6564.512월8383.4
일조 시간1월73.874.967.77월316.1320.7319.5
2월100.7103.7101.18월294.8302.6312.6
3월151.3154.0151.99월209.8209.4216.5
4월176.2181.2194.310월153.4158.6172.3
5월230.5225.9214.211월87.591.699.7
6월274.3278.3256.812월55.559.167.6
연간1981–2010[29]1991–2020[15][16]2010-2022[17]
평균 최고 기온 (°C)17.117.7
평균 기온 (°C)11.311.6
평균 최저 기온 (°C)5.55.9
강수량 (mm)578.3606.0
평균 상대 습도 (%)7069.9
일조 시간2123.92160.0


6. 인구

브라네의 인구는 유고슬라비아 시대의 정착민과 주변 지역의 도시화로 인해 증가했다. 유고슬라비아 전쟁 (1991–95)과 코소보 전쟁 (1998–99) 당시 세르비아 난민, 특히 1999년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NATO 폭격 이후 코소보에서 이주해 온 이민자들이 인구를 더욱 증가시켰다.[18]

2022년 인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브라네 시에는 74,381명의 주민이 있다.[18]

2011년 인구 조사 기준 브라네 시 행정 구역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19]

민족 집단인구%
세르비아인76,56991.67%
로마인4,6545.57%
불가리아인5890.71%
마케도니아인2550.31%
몬테네그로인480.06%
고라니인430.05%
크로아티아인330.04%
유고슬라비아인220.03%
무슬림170.02%
알바니아인130.02%
러시아인100.01%
기타1,2711.52%
합계83,524


7. 행정 구역

브라네 시는 브라네와 브라네스카 바냐 두 개의 시 자치구로 구성되어 있다.[20] 각 자치구에 속하는 정착지는 다음과 같다.

브라네 자치구브라네스카 바냐 자치구


8. 문화

브라네는 오스만 제국 시대에 중요한 무역 거점이었다. 백교는 도시의 상징이며, "모스트 류바비"(연인들의 다리)라고도 불린다.

브라네의 백교
이 다리는 무슬림 소녀 아이샤와 기독교인 스토얀의 금지된 사랑 이야기와 관련이 있다. 전설에 따르면, 그들의 아버지는 그들을 죽였고, 그가 그들을 죽인 자리에 다리를 건설하고 오스만 아랍어로 그 이야기를 새겼다고 한다. 도시 북쪽에는 11세기의 마르코보 칼레 요새 유적이 남아 있다. 브라네에는 전통적인 발칸 및 오스만 건축 양식이 보존되어 있다.

보라 스탄코비치의 유명한 연극 ''코슈타나''는 브라네를 배경으로 한다.

브라네는 옛 음악으로 유명하다. 특히 보라 스탄코비치의 음악극 ''코슈타나''에서 유래된 음악이 잘 알려져 있다. 이 독창적인 음악 스타일은 최근 금관 악기가 더해져 새롭고 독특한, 더욱 동양적인 형태로 발전했다. 특히 브라네의 로마인들이 이 음악을 연주한다.

9. 스포츠

과거에 축구팀인 디나모 브라네가 있었으나 해체되었다.

10. 경제

브라네는 세르비아 남부의 산업, 무역, 관광 중심지이다. 회랑 X에 인접해 북마케도니아불가리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테살로니키 국제 항구까지 285km, 스코페니시 국제공항까지 90km 거리에 있다.[21]

20세기 후반까지 브라네는 수공업자의 도시였으나, 1960년대 산업화가 시작되면서 많은 수공업이 사라졌다. 브라네 담배 산업, 심포(Simpo), 코슈타나 (신발 공장), 윰코(Yumco, 면 공장), 알파 플람 (기술 제품) 등이 이 시기에 문을 열었다.

브라네 시에는 목재 산업, 의류, 신발 및 가구, 식음료, 농업, 섬유 산업, 화학 산업, 건설 산업, 기계 및 장비, 비즈니스 서비스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다.[21] 브리티쉬 아메리칸 토바코, 심포(Simpo), 산치(Sanch), 믈라데노비치 D.O.O(Mladenovic D.O.O), 켄다 파르벤(Kenda Farben), 대니 스타일(Danny style), OMV, 헬레닉 페트롤리엄(Hellenic Petroleum) 등 여러 회사가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2,500개 이상의 중소기업이 있다.[21]

2017년 9월, 브라네는 세르비아의 자유 경제 구역 중 하나로 지정되었다.[22]

2020년 기준 총 24,509명이 고용되었고, 5,921명(19.46%)이 실업 상태였다.[23]

2022년 기준 법인의 핵심 활동별 등록된 총 고용자 수는 다음과 같다.[24]

활동총계
농업, 임업 및 어업161
광업 및 채석업242
제조업7,252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257
수도 공급; 하수도, 폐기물 관리 및 정화 활동439
건설668
도매 및 소매 무역, 자동차 및 오토바이 수리2,953
운송 및 보관1,036
숙박 및 음식 서비스735
정보 및 통신214
금융 및 보험 활동304
부동산 활동20
전문, 과학 및 기술 활동730
행정 및 지원 서비스 활동492
공공 행정 및 국방; 의무 사회 보장1,410
교육1,691
인간 보건 및 사회 복지 활동1,779
예술, 엔터테인먼트 및 레크리에이션411
기타 서비스 활동339
개별 농업 종사자56
총계21,188


11. 저명한 인물


  • 보리사브 스탄코비치(1876–1927): 세르비아 작가
  • 유스틴 포포비치(1894–1979): 신학자이자 철학자[1]

보리사브 스탄코비치의 고향 브라네에 있는 그의 동상


유스틴 포포비치의 흉상

12. 국제 관계

브라네는 폴란드노비송치, 그리스카발라 등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참조

[1] 템플릿 Serbian municipalities 2006
[2] 웹사이트 201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Serbia: Comparative Overview of the Number of Population in 1948, 1953, 1961, 1971, 1981, 1991, 2002 and 2011, Data by settlements http://pod2.stat.gov[...] Statistical Office of Republic Of Serbia, Belgrade 2014-06-27
[3] 웹사이트 UNESCO designates 66 new Creative Cities {{!}} Creative Cities Network https://en.unesco.or[...] 2019-11-02
[4] 웹사이트 Vranje među kreativnim gradovima Uneska http://www.novosti.r[...] 2019-11-02
[5] 서적 Srodnički odnosi u Vranju https://www.scribd.c[...] Ethnographical Institute
[6] 웹사이트 The Slavs in the 6th century North Illyricum http://www.rastko.rs[...] 2013-09-29
[7] 웹사이트 Euratlas Periodis Web – Map of Europe in Year 900 https://www.euratlas[...]
[8] 서적 The Early Medieval Balkans: A Critical Survey from the Sixth to the Late Twelfth Centu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7-12-29
[9] 서적 The Late Medieval Balkans
[10] 서적 The Late Medieval Balkans
[11] 서적 Лексикон градова и тргова средњовековних српских земаља: према писаним изворима https://books.google[...] Завод за уџбенике
[12] 간행물 Starinar 1936
[13] 논문 The Emigration of Muslims from the New Serbian Regions 1877/1878 https://journals.ope[...]
[14] 서적 Kosovo: A short history https://books.google[...] Macmillan
[15] 웹사이트 Monthly and annual means,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meteorological elements for the period 1991–2020 https://www.hidmet.g[...] Republic Hydrometeorological Service of Serbia 2022-04-20
[16] 웹사이트 Monthly and annual means,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meteorological elements for the period 1981–2010 http://www.hidmet.go[...] Republic Hydrometeorological Service of Serbia 2017-02-25
[17] 웹사이트 Climate: Vranje, Serbia https://www.weathero[...] Weatheronline.co.uk 2023-04-20
[18] 웹사이트 201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Serbia http://pod2.stat.gov[...]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7-01-11
[19] 웹사이트 201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Serbia http://pod2.stat.gov[...] 2018-02-01
[20] 웹사이트 201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Serbia: Comparative Overview of the Number of Population in 1948, 1953, 1961, 1971, 1981, 1991, 2002 and 2011, Data by settlements http://pod2.stat.gov[...] Statistical Office of Republic Of Serbia, Belgrade 2014-06-27
[21] 문서 Агенција за страна улагања и промоцију извоза Републике Србије (СИЕПА) – Град Врање http://www.siepa.gov[...]
[22] 뉴스 Slobodne zone mamac za investitore http://www.politika.[...] 2019-03-17
[23] 웹사이트 MUNICIPALITIES AND REGIONS OF THE REPUBLIC OF SERBIA, 2021. https://publikacije.[...]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22-01-02
[24] 웹사이트 MUNICIPALITIES AND REGIONS OF THE REPUBLIC OF SERBIA, 2023. https://publikacije.[...]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24-09-20
[25] 웹사이트 Miasta partnerskie i zaprzyjaźnione Nowego Sącza http://www.nowysacz.[...] 2013-08-01
[26] 웹사이트 Međunarodna saradnja http://www.vranje.or[...] 2021-07-04
[27] 문서 http://www.rastko.rs[...]
[28] 웹인용 201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Serbia http://pod2.stat.gov[...]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7-01-11
[29] 웹인용 Monthly and annual means,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meteorological elements for the period 1981–2010 http://www.hidmet.go[...] Republic Hydrometeorological Service of Serbia 2017-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