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브로르선 혜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로르선 혜성은 1846년 테오도르 브로르센에 의해 발견된 단주기 혜성이다. 5.5년의 궤도 주기를 가졌으며, 1842년 목성에 접근하며 현재 궤도에 진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1857년 재발견되었고, 1879년까지 여러 차례 관측되었으나, 1884년 이후 관측에 실패하여 1963년 소실된 것으로 결론났다. 즈데네크 세카니나는 혜성 핵의 세차 운동으로 인한 붕괴 가능성을 제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근지구 혜성 - 엥케 혜성
    엥케 혜성은 약 3.3년의 짧은 공전 주기를 가진 주기 혜성으로, 1786년 처음 관측되었으며 요한 프란츠 엥케가 과거 기록 분석으로 귀환을 예측했고, 황소자리 유성군의 모체로 여겨지며 궤도 불안정으로 섭동 영향을 많이 받아 과거 에테르 존재 검증에 사용되기도 한 과학사적으로 중요한 혜성이다.
  • 근지구 혜성 - 템펠-터틀 혜성
    템펠-터틀 혜성은 1865년 템펠과 1866년 터틀이 발견한 주기 33년의 혜성으로, 사자자리 유성군의 모혜성이며 지구와의 궤도 교차 거리가 매우 가깝다.
  • 잃어버린 혜성 - 비엘라 혜성
    비엘라 혜성은 6.6년 주기의 단주기 혜성으로, 두 개의 핵으로 분리 후 붕괴되었으며, 잔해는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로 관측되고 과거 광에테르 이론 연구에 기여했다.
  • 잃어버린 혜성 - 포그슨 혜성
    포그슨 혜성은 1872년 노먼 로버트 포그슨이 발견한 혜성으로, 비엘라 유성우와 연관되어 천문학계의 주목을 받았으나 궤도 분석 결과 비엘라 혜성의 파편과는 다른 천체로 밝혀졌으며, 궤도 계산의 어려움과 혜성의 궤도 및 특성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 1846년 발견한 천체 - 해왕성
    해왕성은 태양계의 여덟 번째 행성이며, 1846년에 발견되었고, 질량이 지구의 약 17배인 거대 얼음 행성으로, 푸른색을 띠며 강력한 폭풍과 14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다.
  • 1846년 발견한 천체 - 트리톤 (위성)
    트리톤은 해왕성의 가장 큰 위성이며, 역행 궤도로 공전하고 질소 대기와 얼음 화산을 가지며 카이퍼 벨트에서 포획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브로르선 혜성
기본 정보
1868년 5월 14일 카를 크리스티안 브룬스가 그린 브로르선 혜성의 코마
발견자테오도르 브로르선
발견일1846년 2월 26일
다른 이름1846 III
D/1846 D2
1857 II
D/1857 F1
1868 I
1873 VI
1879 I
분류소실된 혜성
궤도 정보
원점1879년 4월 1.0일 (TDB 2407440.5)
궤도 긴반지름3.10113 au
근일점 거리0.58985 au
원일점 거리5.61241 au
궤도 이심률0.809796
공전 주기5.46 년
근일점 인수14.9468 °
궤도 경사29.3821 °
승교점 경도102.9676 °
평균 근점 이각0.1743
최소 교차 거리0.36656 au
마지막 근일점 통과1879년 3월 31일
티스랑 파라미터2.467
다음 근일점 통과1879년 이후 소실됨
영어 이름

2. 관측 역사

5D/브로르센 혜성은 1846년 2월 26일 덴마크의 천문학자 테오도르 브로르센이 발견했다.[1] 이 혜성은 근일점 통과 후 1842년 목성에 가까이 접근하면서 현재의 궤도에 진입했으며, 5.5년의 주기를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1]

5D/브로르센 혜성의 5.5년 주기는 관측에 유리한 시기와 불리한 시기가 번갈아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했다.[1] 1851년에는 지구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관측되지 못했고, 1854년 목성에 접근하면서 궤도가 더 불확실해졌다. 이후 1857년 카를 크리스티안 브룬스에 의해 재발견되어 6월까지 추적되었다.[1]

1862년에는 관측되지 않았으나, 1868년에 다시 관측되었다. 이후 목성에 접근하며 주기가 짧아져 1873년, 1879년에도 관측되었다.[1] 특히 1879년에는 4개월간 관측되었다.[1] 그러나 1884년, 1890년, 1901년에는 관측되지 않았다.

1963년 브라이언 G. 마스덴은 혜성이 소실되었다고 추정했지만, 1973년 관측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1] 즈데네크 세카니나는 혜성 핵의 세차 운동과 붕괴 가능성을 제기했다.[3]

2. 1. 1846년 발견

이 혜성은 1846년 2월 26일 덴마크천문학자 테오도르 브로르센이 발견했다. 근일점은 발견 하루 전인 2월 25일이었으며, 3월 27일 지구에 0.52 AU 거리로 가장 가깝게 접근했다.[1] 지구에 가까이 접근한 결과 혜성의 코마 지름이 증가했다. 요한 프리드리히 율리우스 슈미트는 3월 9일에는 3~4 분각, 같은 달 22일에는 8~10분각으로 추정했다.[1] 4월 22일에는 천구의 북극에서 약 20도 떨어져 있었다. 이 첫 번째 출현의 끝 무렵에 궤도 주기는 5.5년으로 계산되었다.[1] 1842년 목성에 가까이 접근하면서 발견 궤도에 진입한 것으로 밝혀졌다.[1]

2. 2. 1857년 재발견

1851년에는 혜성이 지구에서 1.5 AU 거리에 있었기 때문에 관측에 실패했다.[1] 1854년에는 목성에 접근하여 궤도의 불확실성이 더욱 커졌다.[1] 1857년 3월 18일, 카를 크리스티안 브룬스가 혜성을 재발견했다.[1] 궤도 계산 결과 5D/브로르센 혜성으로 확인되었지만, 예측보다 3개월 늦었다.[1] 혜성은 1857년 6월까지 추적되었고, 이후 궤도가 확립되었다.[1] 관측자들은 혜성이 밝고 거의 별과 같은 핵을 가졌다고 보고했다.[2]

2. 3. 1868년 이후의 관측과 소실

1862년에는 관측에 실패했지만, 1868년에 다시 관측되었다. 이후 목성에 접근하면서 주기가 짧아져 1873년에도 관측이 가능했다.[1] 1879년에는 4개월 동안 관측되었는데, 이는 혜성 관측 역사상 가장 긴 기간이었다.[1]

1884년에는 관측 조건이 좋지 않아 관측되지 않았고, 관측 조건이 좋았던 1890년과 1901년에도 관측되지 않았다.[1]

1963년 브라이언 G. 마스덴은 혜성이 소실되었다고 추정했지만, 1973년에 관측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1] 즈데네크 세카니나는 혜성 핵의 세차 운동으로 인해 궤도가 변하고 붕괴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3]

3. 혜성의 붕괴 가능성

즈데네크 세카니나(Zdenek Sekanina)는 19세기 중반에 혜성이 핵의 자전축에 세차 운동을 겪어 궤도에 비중력적인 변화를 초래했을 가능성을 제기하는 한편, 혜성이 붕괴되었을 수도 있다는 증거가 있다고 언급했다.[3] 이러한 증거는 다음과 같다.[3]


  • 1868년과 1879년 출현 시 근일점 이후 코마의 큰 팽창
  • 1857년과 1868년 출현 시 내부 코마에 응축물이 존재
  • 요한 프리드리히 율리우스 슈미트(Johann Friedrich Julius Schmidt)가 1879년 5월 20일에 혜성이 매우 희미했고 핵이 없었다고 기록

참조

[1] 웹사이트 5D/Brorsen http://cometography.[...] 2001–2005
[2] 논문 Second comet of 1857 1857-04
[3] 논문 Disappearance and disintegration of comets 1984-04
[4] 웹인용 5D/Brorsen http://cometography.[...] 2001–2005
[5] 저널 Second comet of 1857 1857-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