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공식 IPA 기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공식 IPA 기호는 국제 음성 기호(IPA)를 주제로 하는 다양한 관련 항목들을 포괄한다. IPA의 역사, 확장, 음성 품질 기호, 필기체, 글자의 변형, 구식 및 비표준 기호, 명명 규칙, 중국어 확장, ASCII 인코딩 등을 다룬다. 또한 SAMPA, X-SAMPA, Kirshenbaum과 같은 인코딩 방식과 TIPA 소프트웨어, 유니코드의 음성 기호, IPA 숫자, IPA 점자 등도 포함한다. 자음과 모음의 분류와 특징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성 기호 - 한어병음
    한어병음은 중국어 발음의 로마자 표기법으로, 1950년대에 개발되어 1958년 공식 채택되었으며 표준 중국어 교육 및 문맹 퇴치에 널리 사용되고, 성모와 운모의 조합 및 성조 부호로 구성되어 국제 표준으로 인정받고 있다.
  • 음성 기호 - X-SAMPA
    X-SAMPA는 국제 음성 기호(IPA)를 기반으로 하며, 백슬래시를 이스케이프 문자로, 밑줄을 발음 구별 기호로 사용하여 다양한 음성 요소를 표기하는 음성 표기 시스템이다.
비공식 IPA 기호
개요
명칭폐지 및 비표준 국제 음성 기호
설명국제음성협회(IPA)에서 더 이상 사용하지 않거나 공식적으로 인정한 적이 없는 기호.
일부는 여전히 음성학자들이 사용하고, 다른 일부는 역사적인 용도로만 존재함.
기호
자음 (폐쇄음)ƥ: 무성 양순 내파음
ƭ: 무성 치경 내파음
ƈ: 무성 경구개 내파음
ƙ: 무성 연구개 내파음
ʠ: 무성 구개수 내파음
자음 (마찰음)ƍ: 유성 양순치 마찰음
σ: 무성 순치음화 치 마찰음
ƺ: 유성 순치음화 치 마찰음
ƪ: 무성 순치음화 후치경 마찰음
ƻ: 유성 순치음화 후치경 마찰음
자음 (파찰음)ƾ: 무성 치경 파찰음
ʣ: 유성 치경 파찰음 (현재 d͡z로 표기)
자음 (비음)ƞ: 경비음 n (현재 n nasalized로 표기)
설측음ƛ: 무성 치경 설측 마찰음 (현재 t͡ɬ로 표기)
ⱳ: 권설 설측 접근음
접근음ʀ: 유성 구개수 접근음
ʢ: 인두 접근음
모음ɪ̈: 중설 근전설 비원순 모음
ʊ̈: 중설 근후설 원순 모음
ÿ: 중설 전설 비원순 모음
기타 기호
방출음
설명IPA에 의해 지원되지 않으나, 가끔 방출음을 표기하기 위해 사용됨
예시k': 연구개 방출음
t': 치경 방출음
활음
설명때때로 활음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됨.
IPA에서는 [j]를 경구개 접근음, [ɰ]를 연구개 접근음으로 정의함.
예시ɥ̵: 무성 순음화된 경구개 접근음
w̶: 무성 순음화된 연구개 접근음

2. IPA 주제

국제 음성 기호(IPA)는 음성학적 표기를 위한 표준화된 시스템으로, 언어학, 음성학, 언어 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IPA와 관련된 주요 주제, 자음모음 분류 체계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2. 1. IPA

국제 음성 기호 (도표)와 관련된 주요 주제는 다음과 같다.

'''IPA 주제'''

  • 국제 음성 학회
  • 기호의 역사
  • 언어 장애를 위한 확장 (extIPA)
  • 음성 품질 기호 (VoQS)
  • ''국제 음성 학회 저널'' (''JIPA'')


'''특별 주제'''

  • 필기체
  • 대소문자 변형
  • 구식 및 비표준 기호
  • 명명 규칙
  • 중국어 확장
  • 세계 정자법
  • 영어 방언 IPA 차트


'''인코딩'''

  • ASCII 인코딩
  • * SAMPA
  • * X-SAMPA
  • * Kirshenbaum
  • TIPA
  • 유니코드의 음성 기호
  • IPA 숫자
  • IPA 점자


'''자음'''

국제 음성 기호표에서 자음은 조음 방법과 조음 위치에 따라 분류되며, 크게 다음과 같은 범주로 나뉜다. 각 범주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기호는 국제 음성 기호표#자음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폐쇄 자음''' (Pulmonic consonants): 허파에서 나오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내는 소리이다.
  • '''비폐쇄 자음''' (Non-pulmonic consonants): 허파 기류에 의존하지 않는 자음으로, 흡착음, 내파음, 방출음 등이 포함된다.
  • '''공동 조음 자음''' (Co-articulated consonants): 두 곳에서 동시에 조음이 이루어지는 자음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들이 있으며,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비음 순구개 접근음 [w̃]
  • 비음 구개 접근음 [j̃]
  • 무성 양순 치 마찰음 [h̪͆]
  • 무성 양순 후 떨림 치 경음 [t̪ʙ̥]
  • 무성 비음 성문 접근음 [h̃]


'''모음'''

국제 음성 기호표에서는 혀의 높낮이, 혀의 전후 위치, 입술 모양 등을 기준으로 모음을 분류하고 표시한다. 자세한 기호와 분류는 국제 음성 기호표#모음의 모음 도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3. 자음

국제 음성 기호(IPA)는 다양한 자음 소리를 표기하기 위한 체계를 갖추고 있다. 크게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 터뜨리는 폐쇄 자음, 공기의 흐름을 완전히 막지 않는 비폐쇄 자음(마찰음, 비음, 접근음 등), 그리고 두 곳에서 동시에 조음되는 공동 조음 자음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표준 IPA 표에 포함되지 않거나 비공식적으로 사용되는 자음 기호들도 존재한다. 다음은 그 예시이다.


  • 비음 순구개 접근음 [w̃]
  • 비음 구개 접근음 [j̃]
  • 무성 양순 치 마찰음 [h̪͆]
  • 무성 양순 후 떨림 치 경음 [t̪ʙ̥]
  • 무성 비음 성문 접근음 [h̃]

4. 모음

모음 도표
높이 \ 전후설성전설중설후설
iyɨʉɯu
근고ɪʏʊ
중고eøɘɵɤo
ə
중저ɛœɜɞʌɔ
근저æɐ
aɶɑɒ


  • 모음 기호가 쌍으로 있는 경우, 왼쪽은 비원순 모음, 오른쪽은 원순 모음이다.

참조

[1] 서적 Sounds of the World's Languages Blackwell 1996
[2] 간행물 Principles of the IPA 1949
[3] 논문 5. Individual symbols and diacritics. 1988
[4] 간행물 Principles of the IPA 1912
[5] 웹사이트 An impossible sound http://www.phon.ucl.[...]
[6] 웹사이트 extIPA Symbols for Disordered Speech (Revised to 2015) https://www.internat[...] 2018-02-15
[7] 학술지 Revisiting Mandarin 'apical vowels': An articulatory and acoustic study 2014-12
[8] 학술지 Standard Chinese (Beijing) 2003-06
[9] 학술지 Some additions to the phonetic alphabet
[10] 간행물 Revised Proposal to Encode Phonetic Symbols with Retroflex Hook in the UCS https://www.unicode.[...]
[11] 학술지 Quantifying written ambiguities in tone languages: A comparative study of Elip, Mbelime, and Eastern Dan https://scholarspace[...] 2020
[12] 서적 Phonetic Symbol Guid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3] 서적 Principles of Phonetic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간행물 An Outline of English Structure Battenburg Press 195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