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터 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빅터 차는 한국계 미국인으로,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미국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 담당 국장을 역임했다. 그는 대북 문제 전문가로 활동하며, 저서 《적대적 제휴 - 한국, 미국, 일본의 삼각 안보체제》로 오히라 저작상을 수상했다. 2017년 주한 미국 대사로 내정되었으나, 북한 관련 정책에 대한 이견으로 인해 철회되었다. 그는 현재 조지타운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아시아 안보 관련 연구와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옥스퍼드 대학교 하트퍼드 칼리지 동문 - 조너선 스위프트
조너선 스위프트는 아일랜드 출신의 작가이자 사제로, 풍자와 사회 비판으로 유명하며 '걸리버 여행기', '드레이피어 서한', '겸손한 제안' 등의 작품을 통해 인간 본성과 사회 부조리를 풍자적으로 비판했고 더블린 세인트 패트릭 대성당의 학장으로도 활동했다. - 옥스퍼드 대학교 하트퍼드 칼리지 동문 - 대니얼 데닛
대니얼 데닛은 자유 의지, 마음, 진화, 종교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고 의식에 대한 다중 초고 이론과 의도적 태도 이론을 제시한 미국의 철학자이자 인지 과학자이다. - 미국 대통령 보좌관 - 버나드 바루크
버나드 바루크는 미국의 금융가이자 정치 고문으로, 두 차례의 세계 대전에서 미국의 경제 동원에 기여하고 여러 대통령의 고문으로 활동하며 전쟁산업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는 등 전시 경제 관리에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원자력 국제 통제 계획을 제안하고 대공황 극복 과정에서 정부 정책을 지지하는 등 다방면에서 활동했다. - 미국 대통령 보좌관 - 찰스 콜슨
찰스 콜슨은 닉슨 행정부 특별 고문으로 워터게이트 사건에 연루되어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수감 생활 후 복음주의 기독교로 개종하여 수감자 재활에 헌신하며 기독교적 관점에서 사회 문제를 논한 미국의 변호사이자 저술가, 기독교 지도자이다. - 조지타운 대학교 교수 - 헨리 키신저
헨리 키신저는 미국 외교 정책을 주도한 유대인 출신 외교관으로, 현실주의 외교와 데탕트 정책을 통해 미소 관계 완화 및 중 relations 국교 정상화에 기여했으며, 베트남 전쟁 종식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고 100세에 사망했다. - 조지타운 대학교 교수 - 안와르 이브라힘
안와르 이브라힘은 말레이시아의 정치인으로, 말레이시아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ABIM 창립 및 UMNO 요직을 거쳐 부총리를 역임했으며, 이후 국민정의당을 창당하여 야당 대표를 지내고 2022년 총선 후 제10대 총리가 되었다.
빅터 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빅터 차 |
출생일 | 1961년 10월 27일 |
출생지 | 미국 뉴욕주 뉴욕 시티 |
로마자 표기 | Cha Yu-deok |
한글 표기 | 차유덕 |
학력 | |
대학교 | 컬럼비아 대학교 (학사, 석사, 박사) 옥스퍼드 대학교 허트퍼드 칼리지 (석사) |
직업 | |
직업 | 정치학자, 전 미국 안보 담당 고위 관료 |
고용주 | 조지타운 대학교 전략국제문제연구소 |
정치 | |
정당 | 미국 공화당 |
경력 | |
직책 | 미국 국가안보회의 아시아 담당 국장 |
임기 | 2004년 12월 1일 ~ 2007년 5월 31일 |
가족 관계 | |
배우자 | 김현정 |
자녀 | 슬하 2남 |
부모 | 차문영 (부), 임순영 (모) |
기타 | |
웹사이트 | 전략국제문제연구소 웹사이트 |
2. 생애
빅터 차는 1961년 미국 뉴욕에서 한국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차문영과 어머니 임순영은 미국 유학 중 만나 결혼했다. 빅터 차는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학사 및 박사 학위를,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38] 모국어는 영어이다.[34]
2004년 12월부터 2007년 5월까지 미국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 담당국장을 역임하며[39] 대북 문제에 대해 부시 대통령에게 조언했다.[40] 그는 한국과 일본이 미국과의 관계를 통해 양국 관계를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미국은 중국과 안정된 관계를 유지하면서 동아시아에서 군사력을 감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아시아 안보에 관한 저서 《적대적 제휴 - 한국, 미국, 일본의 삼각 안보체제》는 일본의 오히라 저작상을 수상했다. 다트머스 대학교 데이비드 강 교수와 함께 《북한의 핵 : 개입 전략에 대한 논쟁(Nuclear North Korea: A Debate on Engagement Strategies)》을 공동 집필했는데, 빅터 차는 강경파, 데이비드 강은 온건파로서 견해를 교환하는 형식이다.
2017년 8월 주한 미국대사로 내정되어 12월 한국 정부의 아그레망(임명동의) 절차를 완료했으나,[41] 북한 핵 미사일 시설 타격 전략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에 반대하여 2018년 1월 트럼프 행정부에 의해 내정이 철회되었다.[41]
2. 1. 가족 관계
출생 | 1961년, 미국 뉴욕 |
---|---|
아버지 | 차문영 (1932년 전라남도 강진군 군동면 출생[42], 동양 램프 등 문화상품 사업가, 이홍구 전 총리,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와 경기고등학교 동기 동창) |
어머니 | 임순영 (줄리어드 음대 하프 전공) |
배우자 | 김식의 딸 (김식: 전라남도 강진군 출신, 육군사관학교 졸업, 농림수산부 장관, 제11대·12대 국회의원 역임) |
자녀 | 슬하 2남[33] |
거주지 | 메릴랜드주[33] |
빅터 차는 1961년 미국 뉴욕에서 한국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동양 램프 등 문화상품 사업을 하였다.[38] 빅터 차는 한국계 미국인으로, 영어가 모국어이다.[34]
3. 학력 및 경력
학력 컬럼비아 대학교 경제학 학사[8] 옥스퍼드 대학교 허트퍼드 칼리지 철학, 정치학, 경제학 석사[8] 컬럼비아 대학교 국제관계 석사[8] 컬럼비아 대학교 정치학 박사 ("적대에도 불구하고 동맹: 준동맹으로서의 일본과 한국" 논문)[8] 경력 하버드 대학교 존 M. 올린(John M. Olin) 국가안보 펠로우, 풀브라이트 장학생(2회), 후버 연구소 펠로우, 스탠퍼드 대학교 국제안보협력센터(CISAC) 펠로우[9] 조지타운 대학교 에드먼드 월시 외교대학원 D.S. 송-한국재단(Korea Foundation) 아시아학 및 정부학 석좌교수, 아시아 미국 동맹 프로젝트 책임자 (~2004년)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아시아 담당국장 (2004년 12월 ~ 2007년 5월)[39] 6자 회담 미국 차석 대표단[10] 조지타운 대학교 D.S. 송-한국재단 아시아학 석좌교수, 외교대학원 및 정부학과 공동 임용, 아시아학 프로그램 책임자 (2007년 ~ 현재) CSIS 아시아 문제 선임 고문[13] 주한 미국 대사 내정 (2017년 8월), 대한민국 정부 아그레망 완료 (2017년 12월), 내정 철회 (2018년 1월)[41] 국방정책위원회 자문위원회(Defense Policy Board Advisory Committee) 위원[18]
그는 한국과 일본이 미국과의 관계 속에서 양국 관계를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미국은 중국과 안정된 관계를 유지하며 동아시아 군사력을 감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저서 《적대적 제휴》는 일본 오히라 저작상을 수상했다. 데이비드 강 교수와 공저한 《북한의 핵》에서는 강경파적 견해를 보였다.
3. 1. 학력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사, 옥스퍼드 대학교 허트퍼드 칼리지에서 철학, 정치학, 경제학 석사,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국제관계 석사 학위를 받았다.[8] 1994년 "적대에도 불구하고 동맹: 준동맹으로서의 일본과 한국"이라는 논문으로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8][34]
3. 2. 경력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38] 하버드 대학교 존 M. 올린(John M. Olin) 국가안보 펠로우, 풀브라이트 장학생(2회), 후버 연구소 펠로우, 스탠퍼드 대학교 국제안보협력센터(CISAC) 펠로우를 역임했다.[9]
2004년 12월부터 2007년 5월까지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아시아 담당국장을 역임했다.[39] 그는 대북 문제에 대해 부시 대통령에게 최측근에서 조언하는 사람 중 하나였다.[40] NSC에서 대한민국, 북한,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태평양 도서 국가들을 담당했으며, 6자 회담 미국 차석 대표단으로도 활동했다.[10] 백악관 재직 기간 동안 뛰어난 공로 표창을 두 차례 받았다.[11]
2004년까지 조지타운 대학교 에드먼드 월시 외교대학원에서 D.S. 송-한국재단(Korea Foundation) 아시아학 및 정부학 석좌교수직을 맡아 아시아 미국 동맹 프로젝트를 이끌었다. 2007년 말 조지타운 대학교로 돌아와 D.S. 송-한국재단 아시아학[12] 석좌교수직을 맡고 있으며, 외교대학원 교수진과 정부학과에 공동 임용되어 아시아학 프로그램 책임자를 맡고 있다. CSIS 아시아 문제 선임 고문이기도 하다.[13]
2017년 8월 미국 행정부는 빅터 차를 주한 미국대사로 내정했고, 12월 한국 정부의 아그레망(임명동의) 절차를 완료하였다. 그러나 그가 북한의 핵 미사일 관련 시설 타격 전략,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에 반대하는 이견을 표명하자 2018년 1월 트럼프 행정부는 내정을 철회하였다.[41]
한국과 일본이 공통 동맹국인 미국과의 관계라는 맥락에서 양국 관계를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미국은 중국과 안정된 관계를 취하면서 동아시아에서 군사력을 감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아시아 안보에 대한 많은 기사와 책을 썼는데, 저서 《적대적 제휴 - 한국, 미국, 일본의 삼각 안보체제》는 일본 오히라 저작상을 받았다. 다트머스 대학교 데이비드 강 교수와 함께 《북한의 핵 : 개입 전략에 대한 논쟁(Nuclear North Korea: A Debate on Engagement Strategies)》을 공저했는데, 빅터 차는 강경파, 데이비드 강은 온건파로서 견해를 교환하는 형식이다.
2020년 130명이 넘는 전직 공화당 국가안보 관계자들과 함께 트럼프가 또 다른 임기를 수행할 자격이 없다는 성명서에 서명했다. "조 바이든 부통령이 차기 미국 대통령으로 선출되는 것이 우리 국가의 최상의 이익에 부합한다고 확신하며, 그에게 투표할 것이다."라고 밝혔다.[17]
국방정책위원회 자문위원회(Defense Policy Board Advisory Committee) 위원이다.[18]
4. 미국 국가안보회의(NSC) 활동 및 주한미국대사 내정 철회
2004년 12월부터 2007년 5월까지 조지 W. 부시 행정부에서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아시아 담당국장을 역임하며, 북한 문제에 대해 대통령에게 조언했다.[39][40] NSC에서 대한민국, 북한,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태평양 도서 국가들을 담당했고, 6자 회담 미국 차석 대표단으로도 활동했다.[10] 백악관 재직 중 두 차례 뛰어난 공로 표창을 받았다.[11] 아시아 연구기금(D. S. Song-Korea Foundation Chair in Asian Studies) 책임자도 맡았다.
한국과 일본이 미국과의 관계라는 맥락에서 양국 관계를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미국은 중국과 안정된 관계를 유지하면서 동아시아에서 군사력을 감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저서 《적대적 제휴 - 한국, 미국, 일본의 삼각 안보체제》는 일본 오히라 저작상을 수상했다. 다트머스 대학교 데이비드 강 교수와 공저한 《북한의 핵 : 개입 전략에 대한 논쟁(Nuclear North Korea: A Debate on Engagement Strategies)》은 강경파(빅터 차)와 온건파(데이비드 강)의 견해 교환 형식이다.
이후 도널드 트럼프와 김정은 간의 정상회담이 2017-2018 북한 위기를 평화적으로 해결했다고 평가하며, 2018년 북미정상회담을 "전쟁 위기에서 벗어나게 하는 외교적 과정의 시작"이라고 칭했다.[16]
2020년에는 130명이 넘는 전직 공화당 국가안보 관계자들과 함께 트럼프가 재임할 자격이 없다는 성명서에 서명하고, 조 바이든 지지 의사를 밝혔다.[17] 국방정책위원회 자문위원회(Defense Policy Board Advisory Committee) 위원이기도 하다.[18]
4. 1. 주한미국대사 내정 철회
2017년 8월 미국 행정부는 빅터 차를 주한 미국대사로 내정했고, 12월 한국 정부의 아그레망(임명동의) 절차를 완료하였다.[41] 그러나 그가 북한의 핵 미사일 관련 시설을 타격하는 전략에 반대하고, 한국·미국 자유무역협정(FTA) 개정에 반대하는 이견을 표명하자 2018년 1월 트럼프 행정부는 내정을 철회하였다.[41]트럼프 행정부가 그를 주한 미국 대사로 지명하는 것을 철회할 것으로 알려졌다.[14] 차 빅터는 2017년 12월 트럼프 행정부의 북한에 대한 제한적 타격 고려 및 미국-한국 자유무역협정 탈퇴에 대해 비공개적으로 반대 의견을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14][15]
5. 파워플레이 이론
차(Cha)는 그의 논문 "파워플레이: 아시아에서 미국의 동맹 시스템의 기원(Powerplay Origins of the U.S. Alliance System in Asia)"에서 "파워플레이(Powerplay)"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이는 미국이 NATO와 같은 유럽 국가들과의 다자간 동맹 대신 한국, 중화민국, 일본과 같은 동아시아 국가들과 일련의 양자간 동맹을 추구하기로 결정한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었다.[20]
국가가 동맹 구조를 형성할 때의 선호도를 설명하기 위해, 차는 동맹국 간의 권력 불균형과 목표 국가에 대한 통제 유형에 따라 다양한 사분면을 나타내는 아래의 표를 제시하였다.[20]
목표 국가: 소국 | 목표 국가: 강대국 | |
---|---|---|
소국(들)이 목표 국가에 대한 통제를 추구하는 경우 | 1사분면 다자주의 | 2사분면 다자주의 |
강대국이 목표 국가에 대한 통제를 추구하는 경우 | 3사분면 양자주의 | 4사분면 다자주의 |
"소규모 동맹국의 행동에 대한 최대 통제력을 행사하도록 설계된 비대칭적 동맹의 구축"으로 정의되는 파워플레이는, 주로 소련의 위협을 억제하기 위한 중심-스포크(hub and spokes) 시스템과 같은 미국의 타이완, 한국, 일본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20] 하지만 주요 근거는 "소련과의 장기적인 세계적 투쟁을 준비하는 미국이 원치 않는 이유로 전쟁을 시작할 수 있는 극렬한 반공 독재자들"을 억제하는 것이었다.[20]
일반적으로 "다자주의는 다른 국가에 대한 통제력을 행사하기 위한 선호되는 전략"이지만,[20] 이 지역에서는 양자주의가 선호되었다. 이는 소규모 국가의 공격적인 행동을 억제함으로써 강대국에 대한 경제적, 물질적 의존성을 제한하는 비대칭적 이점으로 인해 의도적으로 선택된 것이다. 냉전 이후에는 "아시아의 한 소국이 공산주의에 넘어가면 다른 국가들도 연쇄적으로 공산주의에 넘어갈 수 있다"는 도미노 이론이 유행했는데,[20] 이는 미국이 원치 않는 전쟁에 휘말릴 수 있기 때문에 다자주의를 추구하는 데 드는 비용이 높다고 인식하게 만들었다.
"비순종 동맹국"의 존재는 이러한 전략에 따른 비용 중 하나였는데, 이들은 일방적으로 공격적인 행동을 할 가능성이 있어 미국을 더 많은 군사적 갈등에 휘말리게 할 수 있었다. 미국 지도자들이 우려했던 "비순종 동맹국"에는 중국 본토를 탈환하려고 계획했던 타이완의 장개석, 한국 통일을 원했던 한국의 이승만, 그리고 아시아에서 지역적 권력을 회복하고 있는 일본이 포함되었다.[20] 해리 S. 트루먼과 아이젠하워 행정부 시절 타이완, 한국, 일본에 대한 여러 경험적 사례 연구를 철저히 조사한 차는, 전후 미국의 계획자들이 이러한 유형의 안보 구조를 선택한 이유는 동아시아 친서방 독재자들의 공격을 막는 가장 안전한 구조를 제공하고, 협상력을 높이며 미국 경제에 대한 국가들의 의존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라고 결론지었다.
6. 저술 활동 및 평가
빅터 차는 아시아 안보에 관한 다수의 논문, 저서 및 기타 작품을 저술한 작가이다. 국제 안보, 외교, 서바이벌, 정치 과학 분기별지 등 다양한 학술지에 글을 기고했다.[26]
2009년 《최종 점수 너머: 아시아 스포츠의 정치》를 출판했고, 2012년에는 김정일 사망 여파로 북한에 대한 시의적절한 책인 《불가능한 국가: 북한, 과거와 미래》를 출판했다.[23] 2016년에는 동아시아 안보에 관한 책 《파워플레이: 아시아에서의 미국 동맹 시스템의 기원》을 출판했다.[24] 최근 저서로는 현대 한국 역사를 제시하고 분석하는 《한국: 남북의 새로운 역사》가 있으며, 라몬 파체코 파르도와 공동 저술했다.[25]
최근 출판물에는 《포린 어페어스》 2024년 6월 26일 자 "미국의 아시아 파트너들은 트럼프에 대해 충분히 걱정하지 않는다"와 2023년 2월 9일 자 "미국은 일본과 한국을 안심시킬 필요가 있다" 등이 있다.[30][31]
6. 1. 주요 저서
- 《제네바 프레임워크 협정과 한국의 미래》 (컬럼비아 대학교 동아시아 연구소, 1995)
- 《대립 속의 정렬: 미국-한국-일본 안보 삼각》 (스탠퍼드대학교 출판부, 2000)
- 《핵무장 북한: 참여 전략에 대한 논쟁》 (컬럼비아대학교 출판부, 2005) (David C. Kang|데이비드 C. 강영어과 공저)
- 《최종 점수 너머: 아시아 스포츠 정치》 (컬럼비아대학교 출판부, 2008)
- 《불가능한 국가: 북한, 과거와 미래》 (에코/하퍼콜린스(Ecco/HarperCollins), 2012)
- 《파워플레이: 아시아에서 미국의 동맹 시스템 기원》 (프린스턴대학교 출판부, 2016)
- 《한국: 남북의 새로운 역사》 (예일대학교 출판부, 2023) (Ramon Pacheco Pardo|라몬 파체코 파르도영어와 공저)
6. 2. 학문적, 정책적 평가
그는 한국과 일본이 각국이 공통의 동맹국인 미국과의 관계라는 맥락에서 양국 간의 관계를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미국은 중국과 안정된 관계를 취하면서 동아시아에서 군사력을 감축해야 한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다.[38] 아시아의 안보에 대하여 많은 기사와 책을 썼는데 그의 책 《적대적 제휴 - 한국, 미국, 일본의 삼각 안보체제》는 일본의 오히라 저작상을 받았다.[38] 다트머스 대학교의 데이비드 강 교수와 함께 《북한의 핵 : 개입 전략에 대한 논쟁(Nuclear North Korea: A Debate on Engagement Strategies)》을 공저하였는데, 빅터 차는 강경파로 데이비드 강은 온건파로서 견해를 교환하는 형식이다.[38]2017년 12월 한국 정부의 아그레망(임명동의) 절차를 완료하였으나,[41] 그가 북한의 핵 미사일 관련 시설을 타격하는 전략에 반대하고, 미국-한국 자유무역협정(FTA) 개정에 반대하는 이견을 표명하자 2018년 1월 트럼프 행정부는 내정을 철회하였다.[41] 2018년 북미정상회담을 "우리를 전쟁 위기에서 벗어나게 하는 외교적 과정의 시작"이라고 평가했다.[16]
2020년, 차 빅터는 130명이 넘는 전직 공화당 국가안보 관계자들과 함께 트럼프가 또 다른 임기를 수행할 자격이 없다는 성명서에 서명했다.[17]
차는 그의 논문 "파워플레이: 아시아에서 미국의 동맹 시스템의 기원(Powerplay Origins of the U.S. Alliance System in Asia)"에서 "파워플레이(Powerplay)"라는 용어를 사용했는데, 이는 미국이 NATO와 같은 유럽 국가들과의 다자간 동맹 대신 한국, 중화민국, 일본과 같은 동아시아 국가들과 일련의 양자간 동맹을 추구하기로 결정한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목표 국가: 소국 | 목표 국가: 강대국 | |
소국(들)이 목표 국가에 대한 통제를 추구하는 경우 | 1사분면 다자주의 | 2사분면 다자주의 |
강대국이 목표 국가에 대한 통제를 추구하는 경우 | 3사분면 양자주의 | 4사분면 다자주의 |
출처: 빅터 차의 "파워플레이: 양자 대 다자간 통제"[19] |
일반적으로 "다자주의는 다른 국가에 대한 통제력을 행사하기 위한 선호되는 전략"이지만,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양자주의가 선호되었는데, 이는 소규모 국가의 공격적인 행동을 억제함으로써 강대국에 대한 경제적, 물질적 의존성을 제한하는 비대칭적 이점으로 인해 의도적으로 선택되었다.
"비순종 동맹국"의 존재는 이러한 전략에 따른 비용 중 하나였는데, 이들은 일방적으로 공격적인 행동을 할 가능성이 있어 미국을 더 많은 군사적 갈등에 휘말리게 할 수 있었다. 미국 지도자들이 우려했던 "비순종 동맹국"에는 중국 본토를 탈환하려고 계획했던 타이완의 장개석, 한국 통일을 원했던 한국의 이승만, 그리고 아시아에서 지역적 권력을 회복하고 있는 일본이 포함되었다.
차는 아시아 안보에 관한 다수의 논문, 저서 및 기타 작품을 저술한 작가이다. 2000년 오히라 문학상을 수상한 "적대에도 불구한 동맹: 미-한-일 안보 삼각 관계"(1999)를 저술했다.[21] 2005년에는 다트머스 대학교의 데이비드 강 교수와 턱 경영대학원과 함께 "핵무장 북한: 참여 전략에 대한 논쟁"을 공동 저술했다.[22]
참조
[1]
웹사이트
Victor Cha
https://www.csis.org[...]
2024-10-16
[2]
웹아카이브
Victor Cha
https://georgewbush-[...]
2017-09-26
[3]
뉴스
Officials Head to Korea for GI Remains
http://www.maysville[...]
The Ledger Independent
2018-07-00 #날짜 정보 부정확으로 월까지만 표기
[4]
웹아카이브
Victor D. Cha
http://explore.georg[...]
2009-02-05
[5]
웹사이트
뉴욕한인 이야기/ 유학생 최초 자영업에 성공한 차문영
http://www.koreatime[...]
The Korea Times
2011-07-14
[6]
웹사이트
백악관 NSC 아시아담당 국장 내정 빅터 차 "韓國기대 만족시키진 못할 것"
http://www.chosun.co[...]
The Chosun Ilbo
2004-11-19
[7]
웹사이트
Victor Cha's 'Motherland'
http://www.donga.com[...]
2018-02-01
[8]
웹아카이브
Victor Cha Returns to Georgetown from NSC
http://explore.georg[...]
2007-12-12
[9]
웹사이트
Victor Cha, Former Director for Japan and Korea, National Security Council
https://georgewbush-[...]
2024-07-26
[10]
웹사이트
Victor Cha --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https://www.csis.org[...]
2019-02-01
[11]
웹사이트
Victor Cha --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https://www.csis.org[...]
2019-11-08
[12]
웹아카이브
Inauguration of the D.S. Song-Korea Foundation Chair at Georgetown
http://www.kf.or.kr/[...]
2011-07-19
[13]
웹아카이브
IMF bombshell: Age of America nears end
http://www.marketwat[...]
MarketWatch
2011-04-25
[14]
뉴스
Disagreement on North Korea policy derails White House choice for ambassador to South Korea
https://www.washingt[...]
2018-01-30
[15]
뉴스
White House abandons planned pick for South Korea ambassador
https://www.ft.com/c[...]
2018-01-30
[16]
뉴스
Opinion {{!}} Trump and Kim Have Just Walked Us Back From the Brink of War
https://www.nytimes.[...]
2018-06-12
[17]
웹사이트
Former Republican National Security Officials for Biden
https://www.defendin[...]
2020-08-20
[18]
웹사이트
Defense Policy Board
https://policy.defen[...]
2024-09-24
[19]
논문
Powerplay: Origins of the US alliance system in Asia.
2010-00-00 # 연도 정보만 존재
[20]
논문
Powerplay Origins of the U.S. Alliance System in Asia
2009-00-00 # 연도 정보만 존재
[21]
서적
Alignment Despite Antagonism by Dr. Victor D. Cha – Amazon.com
[22]
서적
Nuclear North Korea - a Debate on Engagement Strategies
https://cup.columbia[...]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8-09-00
[23]
웹아카이브
The Impossible State: North Korea, Past and Future – Amazon.com
https://www.amazon.c[...]
2017-11-26
[24]
서적
Powerplay: The Origins of the American Alliance System in Asia
https://press.prince[...]
2016-08-16
[25]
서적
Korea: A New History of South & North
https://yalebooks.ya[...]
2023-06-27
[26]
뉴스
Giving North Korea a Bloody Nose Carries a Huge Risk to Americans
http://www.washingto[...]
[27]
웹아카이브
Powerplay Origins of the U.S. Alliance System in Asia (abstract, first page, access)
http://muse.jhu.edu/[...]
2014-09-03
[28]
웹사이트
Breaking Bad: South Korea's Nuclear Option
https://www.csis.org[...]
2024-04-29
[29]
학술지
Eyes Wide Open: Strategic Elite Views of South Korea's Nuclear Options
https://www.tandfonl[...]
2024-04-02
[30]
뉴스
America's Asian Partners Are Not Worried Enough About Trump
https://www.foreigna[...]
2024-06-26
[31]
뉴스
America Needs to Reassure Japan and South Korea
https://www.foreigna[...]
2023-02-09
[32]
뉴스
How to Stop Chinese Coercion
https://www.foreigna[...]
2022-12-14
[33]
서적
Nuclear North Korea: A Debate on Engagement Strategies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5-04-00
[34]
뉴스
ビクター・チャ氏の「母国」
http://japanese.dong[...]
2018-02-01
[35]
뉴스
「駐韓米大使人事を撤回」報道
https://mainichi.jp/[...]
2018-01-31
[36]
뉴스
한국은 정말 미국에게 중요한가라는 논의도 시작되었다
https://www.sankei.c[...]
2018-03-03
[37]
뉴스 인용
[강진의 성씨] 연안차씨(延安車氏)
http://gjon.com/news[...]
강진신문
2005-07-23
[38]
웹인용
Victor Cha Returns to Georgetown from NSC - Georgetown University
http://explore.georg[...]
2008-01-20
[39]
웹사이트
Victor Cha
http://www.whitehous[...]
2008-03-07
[40]
뉴스
Officials Head to Korea for GI Remains
http://www.maysville[...]
The Ledger Independent
[41]
뉴스 인용
주한미대사 내정자 빅터차 중도 낙마…"북핵·한미FTA 이견"
http://www.yonhapnew[...]
2018-01-31
[42]
뉴스 인용
주한 미국대사 내정자 빅터 차의 가족 이야기
http://www.nsori.com[...]
강진일보
2017-1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