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마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마가는 촉한의 우방이었던 오계 부족의 족장으로, 222년 유비를 따라 동오 토벌에 참여했다가 이릉 전투에서 전사했다. 정사 《삼국지》에는 육손전에 언급되어 있으며, 《삼국지연의》에서는 만왕으로 등장하여 감녕을 죽이는 활약을 펼치지만, 육손의 화공으로 촉군이 패배한 후 주태에게 죽임을 당한다. 일부 작품에서는 '사마가'로 표기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촉한의 군인 - 황숭
    황숭은 촉한의 관료로 황권의 아들이며, 위나라 침공 당시 면죽관에서 제갈첨과 함께 싸우다 전사했고, 제갈첨에게 진군을 간언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아 눈물을 흘렸다는 일화로 알려져 있다.
  • 촉한의 군인 - 조광 (촉한)
    조광은 촉한 시대, 아버지의 묘를 지키다 강유의 북벌에 종군하여 답중 전투에서 위나라에 맞서 싸우다 전사한 인물로, 촉한에 대한 충성심과 용맹함을 보여주었다고 평가받는다.
  • 창더시 출신 - 친하이양
    친하이양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수영 선수로, 2023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 평영 50m, 100m, 2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남자 선수 최초로 3관왕을 달성했으며,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는 혼성 및 남자 혼계영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 창더시 출신 - 젠보짠
    젠보짠은 위구르족 장군의 후손으로, 중국 경제사를 연구하고 3·18 참사에 참여했으며,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베이징 대학 역사학 교수를 역임하다가 문화 대혁명 시기에 비판을 받고 자살한 중국의 역사가이자 정치인이다.
  • 222년 사망 - 엘라가발루스
    엘라가발루스는 시리아 출신으로 태양신 헬리오가발루스의 사제였으며, 로마 황제가 된 후 엘라가발 신앙을 전파하고 파격적인 행보를 보이다 살해당한 인물로, 그의 통치에 대한 평가는 논쟁적이지만 긍정적인 재평가도 존재한다.
  • 222년 사망 - 마량
    마량은 촉한의 관료이자 유비의 측근으로, 형주에서 등용되어 종사, 시중을 지냈으며 이릉 전투에서 전사했고, 뛰어난 재능을 칭송하는 '백미'라는 별명으로 유명하다.
사마가
인물 정보
사마가 청나라 삽화
사마가 (청나라) 삽화
이름사마가
한자沙摩柯
병음Shāmókē
알 수 없음
생년알 수 없음
몰년장무 2년 (222년)
출생지형주 무릉군
사망지형주 의도군 이릉
칭호 및 직책호왕
주군유비
생애
주요 활동촉한에 협력
사망 원인부동에게 피살
기타 정보
소속오계만왕

2. 정사에서의 생애

사마가는 오계(五溪蠻, 문자 그대로 오계의 야만인)에 살던 토착 부족의 족장이었다. 오계는 무릉군(武陵郡, 현재의 창더시, 후난성 일대)에 위치해 있었다. 221년, 촉한의 황제 유비는 동맹에서 적으로 돌아선 손권의 동오와 이릉 전투를 시작했다. 그는 관료 마량을 사자로 보내 사마가와 오계 부족의 족장들을 만나게 했고, 그들에게 부와 지위를 제공하여 손권과의 전쟁에서 그들의 지원을 얻어냈다.[1][2] 사마가는 222년, 손권의 군대가 유비의 군대에 반격을 가해 치명적인 패배를 안겼을 때 전투에서 사망했다.[3]

정사 《삼국지》에서는 육손전에만 기술이 보인다. 촉한에 협력한 중국 주변 민족의 왕[5]이다. 장무 2년(222년), 유비를 따라 오나라 토벌에 참가했다. 그러나 육손의 화공으로 촉군은 대패했고, 사마가도 참수되었다 (이릉 전투).

3. 《삼국지연의》에서의 묘사

사마가는 만왕(蠻王)으로 등장하며, 역사와 마찬가지로 오나라 토벌에 참가했다. 얼굴은 피가 몰린 듯 새빨간 색이었고, 벽안(碧眼)의 눈동자를 번뜩였다. 철질여골타(鐵蒺藜骨朵)[9]를 한손에 쥐고, 좌우 옆구리에 활을 낀 모습으로 출진했다. 효정 전투에서 감녕의 머리에 화살을 쏘아 죽였다.[7]

일부 작품에서는 "사마가(沙摩可)"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3. 1. 이릉 전투에서의 활약과 최후

221년, 촉한의 황제 유비손권의 동오와 이릉 전투를 시작하면서, 마량을 보내 사마가 등 오계 부족의 지원을 받았다.[1][2] 삼국지연의에서 사마가는 붉은 얼굴과 푸른 눈, 철질려골타를 사용하는 용맹한 무장으로 묘사된다.[9] 이릉 전투에서 사마가는 병든 몸으로 참전한 동오의 장수 감녕에게 화살을 쏘아 큰 부상을 입혔다.[4] 그러나 222년, 육손이 이끄는 동오군의 화공으로 촉한군이 대패하자, 사마가는 도주 중 주태에게 죽임을 당했다.[3][4]

4. 기타

현대에는 서적 이외의 창작물 등에서 '''사마가'''라고 표기하고 있는 저작물도 존재한다.

참조

[1] 서적 Sanguozhi vol. 39
[2] 서적 Sanguozhi vol. 32
[3] 서적 Sanguozhi vol. 58
[4] 서적 Sanguo Yanyi ch. 83-84
[5] 문서
[6] 문서 モーニングスター (무기)
[7] 문서 마량
[8] 문서
[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