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스켄싱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우스켄싱턴은 런던의 지역으로, 사우스켄싱턴 역 주변의 상업 지구와 정원 광장, 런던 자연사 박물관, 과학 박물관, 빅토리아 앤드 앨버트 박물관 등 문화 시설을 포함한다. 1851년 만국 박람회 이후 예술 및 과학 기관의 기반이 마련되면서 발전했으며, 1960년대에는 "파리의 21구"로 불리기도 했다. 이 지역은 1980년 이란 대사관 인질 사건, 대중문화, 저명한 거주자, 상업 시설 등 다양한 특징을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런던의 지구 - 사우스뱅크
사우스뱅크는 템스 강 남쪽 런던 카운티 홀에서 옥소 타워까지의 강변 지역으로, 중세 시대 오락 지역, 18세기 유원지, 이후 부두와 제조업 중심지로 기능하다 1951년 재개발을 통해 사우스뱅크 센터를 중심으로 예술 및 엔터테인먼트 중심지로 탈바꿈하여 현재는 활기찬 주거 및 문화 중심지이다. - 런던의 지구 - 웨스트민스터
웨스트민스터는 템스 강 북안 런던 서쪽에 위치하며, 웨스트민스터 사원 건립으로 역사가 시작되어 영국 국왕 즉위식이 거행되고 영국 의회, 법원, 정부 기관이 위치하여 영국 정치와 문화를 상징하며 웨스트민스터식 의원내각제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사우스켄싱턴 | |
---|---|
위치 정보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사우스 켄싱턴 |
국가 | 잉글랜드 |
지역 | 런던 |
자치구 | 켄징턴 앤 첼시 |
자치구1 | 웨스트민스터 시 |
우편 번호 구역 | SW |
우편 번호 | SW7 |
전화 지역 번호 | 020 |
OS 격자 참조 | TQ265785 |
정치 | |
의회 선거구 | 켄징턴 앤 베이스워터 |
의회 선거구1 | 시티 오브 런던 앤 웨스트민스터 |
2. 지리
런던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사우스켄싱턴의 경계는 임의적이며 시간에 따라 변경되어 왔다. 이는 브롬톤을 가로질러 개발된 지하철역과 기타 랜드마크에서 비롯된 사용에서 기인한다. 현대적인 정의는 사우스켄싱턴 역 주변의 상업 지역과 인접한 정원 광장 및 거리(예: 온슬로 스퀘어 및 설로 스퀘어, 빅토리아 앤드 앨버트 박물관 맞은편)이다. 북쪽으로는 켄싱턴 고어가 있고, 남쪽으로는 구불구불한 풀럼 로드와 슬론 스퀘어로 이어지는 거리, 서쪽으로는 글로스터 로드의 주거 및 호텔 지역이 있다.
이 지역의 현대적인 개발은 전시 로드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앨버토폴리스''의 건설과 함께 시작되었다. 이곳에는 자연사 박물관, 지질 박물관, 과학 박물관, 빅토리아 앤드 앨버트 박물관, 런던 오라토리 및 1915년부터 리세 프랑세가 있다. 그 외 지역 기관으로는 폴란드 연구소 및 시코르스키 박물관, 폴란드 히스 클럽, 런던 괴테 인스티튜트, 로열 앨버트 홀,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왕립 지리학회, 왕립 예술 학교, 왕립 음악원, 1903년에서 1991년 사이 왕립 오르간 연주자 대학, 웨스트 런던 에어 터미널, 이스마일리 센터, 런던, 1960년대에 늦게 등장한 베이든-포웰 하우스가 있으며, 이 중 일부는 행정적으로 웨스트민스터 시티에 속하지만 "사우스켄싱턴의 범위 내"로 간주된다. SW7 우편번호는 주로 사우스켄싱턴을 포괄하지만 나이츠브리지까지 이어진다. 사우스켄싱턴에 있던 유일한 로열 메일 우체국은 2019년에 문을 닫았다.
2. 1. 주요 도로 및 교통
사우스켄싱턴역은 여러 간선 도로의 교차점에 위치해 있다. 올드 브롬톤 로드, 해링턴 로드, 펠햄 스트리트와 간선 도로인 크롬웰 로드에서 가깝다. 또한 전시 로드, 퀸즈 게이트 및 프린스 콘소트 로드가 가로지른다. 2012년 도로 정비 개선 전까지 이 지역은 교통 체증에 시달렸으며 일련의 교통섬과 같았다.[3]
3. 역사
1851년 하이드 파크에서 열린 대박람회 이후, 현재의 익시비션 로드 서쪽에 위치한 부지가 박람회 위원회에 의해 예술 및 과학 기관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구매되었다. 그 결과 로열 앨버트 홀, 3개의 박물관, 로열 광산 학교, 로열 음악원, 로열 오르간 연주자 대학교 등이 설립되었다.[4] 인근 풀럼 로드를 따라 브롬턴 병원 및 신 암 병원과 같은 병원들이 들어섰다.[4]
1860년대, 인접한 토지 소유주들은 교통 허브와 런던 서부의 도시화 붐으로 토지를 개발하기 시작했고, 브롬턴과 그 역은 켄싱턴에 흡수되었다. 메트로폴리탄 철도와 디스트릭트 철도가 브롬턴에 도착하면서 1868년에 "사우스켄싱턴"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철도 회사는 박물관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역 구내에서 익시비션 로드 중간 지점까지 보행자 터널을 건설하여, 사람들이 크롬웰 로드를 건너지 않고도 이동할 수 있게 했다.
1906년 그레이트 노던, 피카딜리 앤 브롬턴 철도 회사가 브롬턴 로드 지하철역을 개통하여 웨스트민스터, 웨스트엔드, 런던 시티와 연결되었지만, 이용률 저조로 1934년에 폐쇄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제26 (런던) 방공 여단에서 사용했다.[5]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사우스켄싱턴은 벨기에 및 프랑스 난민을 유치하는 국제적인 지역이 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폴란드인, 스페인, 이탈리아, 미국 국외 거주자, 그리고 중동 출신 주민들도 거주하게 되었다. 리세 프랑세 샤를 드골, 프랑스 문화원, 알리앙스 프랑세즈, 프랑스 대사관 근처의 프랑스 런던 총영사관 등이 있어 프랑스 문화가 강하게 나타난다.[6] 프랑스 서점과 카페들로 인해 "파리의 21구"라고 불리기도 한다.[7]
3. 1. 앨버토폴리스(Albertpolis)
하이드 파크에서 열린 대박람회 이후, 현재의 Exhibition Road 서쪽에 위치한 규모의 부지가 박람회 위원회에 의해 예술 및 과학 기관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구매되었다.[4] 그 결과 로열 앨버트 홀, 3개의 박물관, 이후 세계적으로 유명한 기술 대학이 된 로열 광산 학교, 왕립음악대학이 설립되었다. 시골 지역의 시장 정원은 인근 풀럼 로드를 따라 브롬턴 병원 및 로열 마스덴 병원과 같은 일련의 병원들로 바뀌기 시작했다.[4]3. 2. 도시화와 브롬턴 흡수
1851년 하이드 파크에서 열린 대박람회 이후, 현재의 익시비션 로드 서쪽에 위치한 87acre 규모의 부지가 박람회 위원회에 의해 예술 및 과학 기관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구매되었다. 그 결과 로열 앨버트 홀, 3개의 박물관, 이후 세계적으로 유명한 기술 대학이 된 로열 광산 학교, 로열 음악원, 로열 오르간 연주자 대학교가 설립되었다.[4] 시골 지역의 시장 정원은 인근 풀럼 로드를 따라 브롬턴 병원 및 신 암 병원과 같은 일련의 병원들로 바뀌기 시작했다.[4]인접한 토지 소유주들은 1860년대에 교통 허브와 런던 서부의 일반적인 도시화 붐의 결과로 토지를 개발하기 시작했으며, 결국 브롬턴과 그 역이 켄싱턴에 흡수되었다. 이는 메트로폴리탄 철도와 디스트릭트 철도가 브롬턴에 도착하면서 확정되었지만, 대중 관계를 위해 1868년에 "사우스켄싱턴"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박물관에 대한 대중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철도 회사는 역 구내에서 익시비션 로드 중간 지점에 있는 출구까지 보행자 터널을 직접 건설하여, 현재는 문을 닫은 로열 메일 분류 사무소 옆으로, 사람들이 크롬웰 로드를 건너는 번거로움을 피하도록 했다.
1906년 새로운 그레이트 노던, 피카딜리 앤 브롬턴 철도 회사가 인근에 브롬턴 로드 지하철역을 개통하여, 웨스트민스터, 웨스트엔드, 런던 시티의 정치, 상업, 금융 중심지와 직접 연결되었지만, 이용률 저조로 1934년에 폐쇄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제26 (런던) 방공 여단에서 사용했다.[5]
3. 3. 20세기 이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사우스켄싱턴은 벨기에 및 프랑스 난민을 유치하는 국제적인 지역이 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및 이후에는 폴란드인, 그리고 최근에는 스페인, 이탈리아, 미국 국외 거주자들을 유치했다. 일부 주민들은 중동 출신이기도 하다. 리세 프랑세 샤를 드골, 프랑스 문화원(뤼미에르가 있는 극장을 보유), 인근 알리앙스 프랑세즈, 프랑스 대사관에서 멀지 않은 프랑스 런던 총영사관[6] 등이 있어 프랑스 문화가 강하게 나타난다. 프랑스 서점과 이 지역의 많은 국제적인 카페들로 인해, "파리의 21구"라고 불리기도 한다.[7]1906년 그레이트 노던, 피카딜리 앤 브롬턴 철도 회사가 인근에 브롬턴 로드 지하철역을 개통하여 웨스트민스터, 웨스트엔드, 런던 시티의 정치, 상업, 금융 중심지와 직접 연결되었지만, 이용률 저조로 1934년에 폐쇄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제26 (런던) 방공 여단에서 사용했다.[5]
3. 3. 1. 이란 대사관 인질 사건
1980년 4월과 5월, 이란 아랍인 6명이 사우스켄싱턴에 있는 이란 대사관에 침입하여 직원, 방문객, 외교 경찰관을 인질로 잡았다.[7] 이후 6일간 포위 작전이 벌어졌고, 이 과정에서 인질 중 한 명이 사망했다. 영국 SAS는 결국 17분 만에 건물에 진입하여 인질들을 구출하고, 살아남은 유일한 무장 세력을 체포했다. 그는 이후 이 범죄에 가담한 혐의로 27년형을 선고받았다.4. 문화 시설
사우스켄싱턴은 1851년 하이드 파크에서 열린 대박람회 이후, 전시 로드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앨버토폴리스''의 창조와 함께 현대적인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이 지역에는 자연사 박물관, 지질 박물관, 과학 박물관, 빅토리아 앤드 앨버트 박물관, 런던 오라토리 등이 위치해 있으며, 1915년부터는 리세 프랑세도 이곳에 자리 잡았다.[3]
이 외에도 폴란드 연구소 및 시코르스키 박물관, 폴란드 히스 클럽, 런던 괴테 인스티튜트, 로열 앨버트 홀,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왕립 지리학회, 왕립 예술 학교, 왕립 음악원, 그리고 1903년부터 1991년까지 왕립 오르간 연주자 대학 등이 사우스켄싱턴에 위치해 있다.[3]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사우스켄싱턴은 벨기에 및 프랑스 난민을 유치하며 국제적인 지역으로 발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폴란드인을 비롯하여 스페인, 이탈리아, 미국 국외 거주자들도 이곳에 정착했다. 특히 프랑스 문화의 영향이 강하여, 리세 프랑세 샤를 드골, 프랑스 문화원, 뤼미에르 형제의 극장, 알리앙스 프랑세즈 등이 위치해 있다.[6]
4. 1. 박물관 및 미술관
이 지역의 현대적인 개발은 전시 로드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임시적인 ''앨버토폴리스''의 창조로 시작되었으며, 현재 자연사 박물관, 지질 박물관, 과학 박물관, 빅토리아 앤드 앨버트 박물관, 런던 오라토리 및 1915년부터 리세 프랑세가 포함된다.[3]그 외 지역 기관으로는 폴란드 연구소 및 시코르스키 박물관, 폴란드 히스 클럽, 런던 괴테 인스티튜트, 로열 앨버트 홀,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왕립 지리학회, 왕립 예술 학교, 왕립 음악원, 1903년에서 1991년 사이의 왕립 오르간 연주자 대학, 웨스트 런던 에어 터미널, 이스마일리 센터, 런던, 1960년대에 늦게 등장한 베이든-포웰 하우스가 있으며, 이 중 일부는 행정적으로 웨스트민스터 시티에 속하지만 "사우스켄싱턴의 범위 내"로 간주된다.[3]
4. 2. 교육 기관
사우스켄싱턴은 1851년 하이드 파크에서 열린 대박람회 이후, 전시 로드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앨버토폴리스''의 창조와 함께 현대적인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이 지역에는 자연사 박물관, 지질 박물관, 과학 박물관, 빅토리아 앤드 앨버트 박물관, 런던 오라토리 등이 위치해 있다. 1915년부터는 리세 프랑세도 이곳에 자리 잡았다.[3]이 외에도 폴란드 연구소 및 시코르스키 박물관, 폴란드 히스 클럽, 런던 괴테 인스티튜트, 로열 앨버트 홀,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왕립 지리학회, 왕립 예술 학교, 왕립 음악원, 그리고 1903년부터 1991년까지 왕립 오르간 연주자 대학 등이 사우스켄싱턴에 위치한 주요 교육 및 문화 기관이다.[3]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사우스켄싱턴은 벨기에 및 프랑스 난민을 유치하며 국제적인 지역으로 발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폴란드인을 비롯하여 스페인, 이탈리아, 미국 국외 거주자들도 이곳에 정착했다. 특히 프랑스 문화의 영향이 강하여, 리세 프랑세 샤를 드골, 프랑스 문화원, 뤼미에르 형제의 극장, 알리앙스 프랑세즈 등이 위치해 있다.[6]
5. 종교 시설
브롬튼의 들판에 처음 세워진 교회는 1829년에 건축적으로는 못생겼지만 사회적으로 유명했던 홀리 트리니티 브롬튼이었다. 이 교회는 서쪽의 켄싱턴 운하에서 북쪽의 켄싱턴 톨게이트까지 넓은 지역을 관할했다. 초대 교구 사제인 퍼시벌 프라이는 마침 인근 켄싱턴 교구의 목사인 알프레드 포트 부제의 조카였다.[1] 그 뒤를 이은 교회들은 다음과 같다.
- 세인트 메리 더 볼턴스 (1849–1850)
- 올 세인츠 교회, 에니스모어 가든스 (1849) by 루이스 벌러미; 1978년에 러시아 정교회 수태고지 대성당이 됨
- 브롬튼 오라토리 (1853), 건축적으로 웅장한 로마 가톨릭 교회
- 세인트 폴스, 온슬로우 광장 (1860년 봉헌)
- 세인트 피터스, 크랜리 가든스 (1866–1867), 1973년부터 런던의 아르메니아 대성당
- 세인트 스티븐스, 글로스터 로드 (1866–1867)
- 세인트 어거스틴스, 퀸스 게이트 (1877), "고 교회 프로젝트"
- 홀리 트리니티 프린스 콘소트 로드 (1899)
- 도이체 에반겔리쉐 크리스투스키르헤 (1904–1905)[1]
6. 기타
사우스켄싱턴은 문화와 상업 시설이 발달한 지역이다. 대중문화 방면에서는 1960년대 런던의 유행 중심지로 알려져 도노반의 노래 "써니 사우스 켄싱턴"에 언급되기도 했으며, 로만 폴란스키의 영화 ''반항''(1965)의 촬영지이기도 하다. 상업 시설로는 모건 자동차 대리점, 크리스티 경매소 런던 판매장, 워터스톤스 서점, 카페 네로 등이 있었으나, 크리스티 경매소는 2017년에, 워터스톤스 서점은 리틀 웨이트로즈로 바뀌면서 현재는 운영하지 않는다.[9][10][11] 카페 네로는 체인점으로 발전하여 계속 운영 중이다.[12]
6. 1. 대중문화
도노반의 노래 "써니 사우스 켄싱턴"은 1960년대 런던에서 사우스켄싱턴이 유행의 중심지였다는 평판을 다루고 있다.로만 폴란스키의 영화 ''반항''(1965)은 사우스켄싱턴에서 일부 촬영되었다.
영국의 가족 소유 수제 스포츠카 회사인 모건 자동차는 사우스켄싱턴의 애스우드 뮤스에 주요 대리점을 운영하고 있다.
크리스티 경매소는 1975년부터 사우스켄싱턴의 올드 브롬튼 로드에 두 번째 런던 판매장을 열어 주로 중급 시장을 취급했다. 2017년 3월 발표된 구조 조정 계획의 일환으로 2017년 7월 사우스켄싱턴 판매장을 영구적으로 폐쇄했는데, 이는 2015년과 2016년 사이의 상당한 판매 감소와 회사의 온라인 입지 확장에 부분적으로 기인했다.[9][10]
팀 워터스톤은 1982년 올드 브롬튼 로드에 자신의 이름을 딴 첫 번째 워터스톤스 서점을 열었다. 그 자리는 리틀 웨이트로즈로 바뀌었다.[11]
카페 네로 또한 1990년 이안 셈프가 올드 브롬튼 로드에 열었던 단일 커피숍으로 시작했다. 이후 인수되어 체인점으로 발전했다.[12]
6. 2. 상업 시설
모건 자동차는 사우스켄싱턴의 애스우드 뮤스에 주요 대리점을 운영하고 있다.크리스티 경매소는 1975년부터 사우스켄싱턴의 올드 브롬튼 로드에 두 번째 런던 판매장을 열어 주로 중급 시장을 취급했다. 2017년 3월 발표된 구조 조정 계획의 일환으로 2017년 7월 사우스켄싱턴 판매장을 영구적으로 폐쇄했는데, 이는 2015년과 2016년 사이의 상당한 판매 감소와 회사의 온라인 입지 확장에 부분적으로 기인했다.[9][10]
팀 워터스톤은 1982년 올드 브롬튼 로드에 자신의 이름을 딴 첫 번째 워터스톤스 서점을 열었다. 그 자리는 리틀 웨이트로즈로 바뀌었다.[11]
카페 네로 또한 1990년 이안 셈프가 올드 브롬튼 로드에 열었던 단일 커피숍으로 시작했다. 이후 인수되어 체인점으로 발전했다.[12]
7. 저명한 거주자
- 프랜시스 베이컨(1909–1992), 아일랜드 출신 영국 예술가, 17 퀸즈베리 뮤스와 7 리스 뮤스에서 거주했다.
- 찰스 부스(1840–1916), 사회 연구 선구자, 6 그렌빌 플레이스에서 거주했다.
- 헨리 콜(1808–1882), 캠페인 주창자, 교육자이자 사우스켄싱턴 박물관(후에 빅토리아 & 앨버트 박물관)의 초대 관장, 크리스마스 카드 발명가, 33 서로우 스퀘어에서 거주했다.
- 앤젤라 델레빈(1912–2004), 사교계 명사, 사우스켄싱턴에서 태어났다.
- 로버트 피츠로이(1805–1865), HMS 비글의 지휘관, 자연학자 찰스 다윈과 함께 항해했으며, 38 온슬로우 스퀘어에서 거주했다.
- 니콜라스 프리먼, OBE, (1939–1989) 켄싱턴 첼시 왕립 자치구의 논란이 많은 지도자, 해링턴 가든스에서 거주했다.
- 데니스 가보르(1900–1979), 전기 기술자이자 물리학자, 홀로그래피 발명으로 가장 유명하며, 1971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79 퀸즈 게이트에서 거주했다.
- 하얌 그린바움(지휘자)과 시도니 고센스(하피스트)는 1929년 초부터 5 웨더비 가든스에서 거주했다.
- 베니 힐(1924–1992), 코미디언, 1 & 2 퀸즈 게이트에서 거주했다.
- 존 라베리(1856-1951), 아일랜드 화가, 5 크롬웰 플레이스에서 거주했다.
- 에르나 로우(1909–2002), 빈 출신 사업가로 패키지 여행의 선구자였으며, 리스 뮤스에서 거주했다.
- 클레멘티나 모드, 하워든 자작 부인, 빅토리아 시대 사진작가, 1859년부터 1865년 사망할 때까지 5 프린세스 가든스에서 거주했다.
- 윌리엄 메이크피스 새커리(1811–1863), 소설가, 1853년부터 1860년까지 36 온슬로우 스퀘어에서 거주했다.
- 허버트 비어봄 트리(1853–1917), 배우 겸 매니저, 31 로사리 가든스에서 거주했다.
- 조지 왈리스, FSA, (1811–1891), 예술가, 박물관 큐레이터 및 미술 교육자, 사우스켄싱턴 박물관의 초대 미술품 컬렉션 관리자. 그의 자녀로는 휘트워스 왈리스와 로사 왈리스가 있다.
8. 인근 지역
런던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사우스켄싱턴의 경계는 임의적이며 시간에 따라 변경되어 왔다. 이는 브롬턴을 가로질러 개발된 지하철역과 기타 랜드마크에서 비롯된 사용에서 기인한다. 현대적인 정의는 사우스켄싱턴 역 주변의 상업 지역과 인접한 정원 광장 및 거리를 포함한다.[3]
사우스켄싱턴의 인근 지역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서적
Earl's Court and Brompton Past
Historical Publications
2000
[2]
웹사이트
The western suburbs: Knightsbridge
https://www.british-[...]
2024-03-15
[3]
웹사이트
The Exhibition Road Project
https://www.rbkc.gov[...]
2018-09-18
[4]
웹사이트
West Brompton and the South Kensington Museum
https://www.british-[...]
2024-03-15
[5]
서적
London Underground at War
Amberley Books
[6]
서적
Le Lycée français Charles de Gaulle de Londres, 1915–2015
Association des anciens de Lycée français de Londres
[7]
웹사이트
Brexit vote puts brake on flow of French bankers to London
https://www.ft.com/c[...]
2024-03-15
[8]
서적
The Kindness of Strangers
Headline Publishing Group
[9]
웹사이트
Christie's to close South Kensington sale room
https://www.ft.com/c[...]
2017-03-09
[10]
웹사이트
Christie's South Kensington to close sooner than expected
https://www.antiques[...]
[11]
뉴스
Do bookshops have a future?
https://www.independ[...]
2011-03-14
[12]
웹사이트
Caffè Nero takeover deal completes returning the b...
https://www.thecater[...]
2007-01-19
[13]
웹사이트
A London Walk in Chelsea
http://www.walksoflo[...]
[14]
문서
The Goossens: A Musical Century
[15]
웹사이트
Blue Plaques - LAVERY, Sir John (1856-1941)
https://www.english-[...]
2020-09-08
[16]
웹사이트
William Makepeace Thackeray: 1853 — Onslow Square, London
http://www.library.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