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이코메트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이코메트리는 물건이나 장소에 깃든 과거의 정보를 감지한다는 초능력의 일종이다. 1842년 조셉 로드스 뷰캐넌이 "영혼의 측정"이라는 의미로 처음 사용했으며, 19세기 후반 심령술 시연에서 인기를 얻었다. 심령고고학에서 활용되기도 했지만,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고 콜드 리딩, 확증 편향 등의 이유로 사이비 과학으로 간주되며 회의적인 시각이 지배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초능력 - 텔레파시
    텔레파시는 한 사람의 생각이 다른 사람에게 전달되는 현상으로, 과학적으로 입증되지는 않았으나 초심리학에서 초감각적 지각의 한 측면으로 연구되고 있다.
  • 초능력 - 초감각적 지각
    초감각적 지각은 일반적인 감각 기관 없이 정보를 얻는 능력으로 텔레파시, 예지, 투시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지나, 과학적인 비판과 방법론적 문제로 현재 유사과학으로 분류된다.
사이코메트리

2. 역사

조셉 로드스 뷰캐넌은 1842년에 "사이코메트리"(영혼의 측정)라는 단어를 만들었다.[5][6] 뷰캐넌은 모든 사물이 발산을 낸다는 생각을 발전시켰다.[7] 그는 사이코메트리가 다양한 과학 분야에 적용될 것이라고 주장하며, 1885년에는 "사이코메트리 매뉴얼: 새로운 문명의 새벽"을 저술했다.[8]

뷰캐넌은 사이코메트리가 우주의 모든 것을 측정하는 척도라고 주장했다. 그는 평생 동안 사이코메트리를 홍보했으며, 그의 추종자들은 사이코메트리가 과학에 혁명을 가져올 것이라고 믿었다.[8]

조셉 로드스 뷰캐넌


뷰캐넌의 사이코메트리에 대한 연구는 지질학자 윌리엄 덴턴에 의해 이어졌다. 1863년 덴턴은 "사물의 영혼"을 출판했다. 그러나 이들의 연구는 조셉 야스트로에 의해 망상과 희망적 사고에 근거한 것이라고 비판받았다.[9]

스티븐 펄 앤드루스는 뷰캐넌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사이코메트리를 홍보했다. 1878년 ''뉴욕 타임스'' 기사에 따르면, 앤드루스는 이러한 연구가 "마음과 몸 사이의 공감이 정확한 과학임을 입증했다"고 주장했다.[10]

19세기 후반, 사이코메트리 시연은 무대 공연과 강령회의 인기 있는 부분이 되었고, 심령술 박람회에서 심령술 리딩으로 제공되기도 했다.[11]

2. 1. 사이코메트리 개념의 등장



조셉 로드스 뷰캐넌은 1842년에 "사이코메트리"(영혼의 측정)라는 단어를 만들었다.[5][6] 뷰캐넌은 모든 사물이 발산을 낸다는 생각을 발전시켰다.[7]

뷰캐넌은 사이코메트리가 다양한 과학 분야에 적용될 것이라며, 1885년 "사이코메트리 매뉴얼: 새로운 문명의 새벽"을 저술했다.[8]

뷰캐넌은 평생 동안 사이코메트리를 홍보했으며 그의 추종자들은 사이코메트리가 과학에 혁명을 가져올 것이라고 믿었다.[8] 뷰캐넌의 사이코메트리에 대한 연구는 지질학자 윌리엄 덴턴에 의해 이어졌다. 1863년 덴턴은 이 주제에 관한 책 "사물의 영혼"을 출판했다. 조셉 야스트로는 망상과 희망적 사고에 근거한 것이라고 비판했다.[9]

스티븐 펄 앤드루스는 유니버솔로지와 함께 사이코메트리를 홍보했다. 1878년 ''뉴욕 타임스'' 기사에 따르면, 앤드루스는 그러한 연구가 "마음과 몸 사이의 공감이 정확한 과학임을 입증했다"고 주장했다.[10]

19세기 후반에는 사이코메트리 시연이 무대 공연과 강령회의 인기 있는 부분이 되었고, 심령술 박람회에서 심령술 리딩으로 제공되기도 했다.[11]

2. 2. 초기 연구와 비판

조셉 로드스 뷰캐넌은 1842년에 "사이코메트리"(영혼의 측정)라는 단어를 만들었다.[5][6] 뷰캐넌은 모든 사물이 발산을 낸다는 생각을 발전시켰다.[7] 그는 사이코메트리가 다양한 과학 분야에 적용될 것이라고 주장하며, 1885년에는 "사이코메트리 매뉴얼: 새로운 문명의 새벽"을 저술했다.[8]

뷰캐넌은 사이코메트리가 우주의 모든 것을 측정하는 척도라고 주장했다. 그는 평생 동안 사이코메트리를 홍보했으며, 그의 추종자들은 사이코메트리가 과학에 혁명을 가져올 것이라고 믿었다.[8]

뷰캐넌의 사이코메트리에 대한 연구는 지질학자 윌리엄 덴턴에 의해 이어졌다. 1863년 덴턴은 "사물의 영혼"을 출판했다. 그러나 이들의 연구는 조셉 야스트로에 의해 망상과 희망적 사고에 근거한 것이라고 비판받았다.[9]

스티븐 펄 앤드루스는 뷰캐넌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사이코메트리를 홍보했다. 1878년 ''뉴욕 타임스'' 기사에 따르면, 앤드루스는 이러한 연구가 "마음과 몸 사이의 공감이 정확한 과학임을 입증했다"고 주장했다.[10]

19세기 후반, 사이코메트리 시연은 무대 공연과 강령회의 인기 있는 부분이 되었고, 심령술 박람회에서 심령술 리딩으로 제공되기도 했다.[11]

2. 3. 심령고고학에서의 활용

심령고고학은 영능력자의 사이코메트리나 투시 등의 능력을 활용하여 과거를 연구하는 고고학의 한 분야이다.[21]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의 스티븐 슈왈츠에 따르면, 75년에 걸쳐 투시 능력자와 고고학자 간의 협력 관계가 이어져 왔다.

고고학자 클래런스 와이언트는 올메카 문명의 주요 유적인 트레스 사포테스를 발견했는데, 이후 인류학회 연차 총회에서 이 발견이 초능력자의 도움 없이는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국립 대학교의 초심리학 연구소장 W.H. 텐하프와 남아프리카 공화국 비트바테르스란트 대학교의 마리우스 발코프는 네덜란드 능력자 제럴드 크로아제가 작은 뼈 조각만으로도 물체의 배경을 정확하게 묘사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뉴욕의 임상 심리학자 로레스 루션은 능력자 아이린 개럿이 작은 조각으로 물체의 역사를 묘사하는 것을 보고 사이코메트리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을 바꾸었다.

폴란드인 스테판 오소비에츠키는 발굴된 고고학 유물의 과거를 꿰뚫어 보는 능력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21] 1935년, 폴란드의 민속학자 스타니스와프 포니아토프스키는 전 세계 유적에서 수집한 부싯돌, 석기 등을 사용하여 오소비에츠키의 능력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 결과, 오소비에츠키는 석기류가 사용된 연대, 발견된 장소, 그것을 만들어낸 문화 등을 정확하게 묘사했다. 오소비에츠키의 묘사가 포니아토프스키의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지만, 이후 포니아토프스키의 정보에 오류가 있었음이 밝혀졌다.[21]

기원전 15000년에서 기원전 10000년 사이에 프랑스에서 번성한 마들렌 문화/Magdalenian프랑스어의 석기를 손에 든 오소비에츠키는 "마들렌인 여성은 매우 정교한 머리 모양을 하고 있다"고 묘사했는데, 이는 당시 통설과는 달랐지만, 후에 마들렌인 여성 조각상이 발견되면서 옳은 견해임이 실증되었다. 이처럼 오소비에츠키의 묘사가 나중에 옳다고 판명된 사례는 100건이 넘는다. 오소비에츠키는 석기 시대 사람들이 기름 램프를 사용했다고 발언했는데, 후에 프랑스의 부르고뉴 지역에서 그가 묘사한 것과 같은 형태와 크기의 램프가 발굴되었다. 또한 그는 석기 시대 사람들의 주거 형태, 매장 습관, 사냥 대상 동물 등의 상세한 그림을 그렸는데, 이 역시 고고학적 발견으로 입증되었다.[21]

캐나다 고고학회 부회장이었던 노먼 에머슨은 사이코메트리를 통한 고고학 연구 가능성을 언급했다. 에머슨은 조지 맥멀렌이라는 트럭 운전사의 능력을 연구하면서 회의적인 시각에서 긍정적인 시각으로 바뀌었다. 맥멀렌은 유적을 보기만 해도 과거를 맞힐 수 있었는데, 아무것도 없는 땅에서 이로쿼이족 공동 생활 장소라고 발언한 것이 6개월 후 발굴을 통해 사실로 밝혀졌다. 에머슨은 1973년 연례 학회에서 고고학 조사에서 초능력자 활용 확대를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1892년 3월,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교수 헤르만 힐프레히트는 바빌로니아 고대 도시 니푸르 출토 각문의 사본을 확인하던 중 "놀라운 꿈"을 꾸었다. 꿈에서 바빌로니아 신관이 나타나 힐프레히트를 니푸르벨 신전 보물 창고로 안내했다. 신관은 힐프레히트가 22페이지와 26페이지에 게재한 단편이 원래 하나의 물건이라고 설명하며, 크리갈즈 왕의 칙령에 따라 닌니브 신의 귀걸이를 만들기 위해 원통을 3개로 잘라 3개의 링으로 분할했다고 말했다. 그 중 2개는 힐프레히트가 가진 링이고, 마지막 한 쌍은 발견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꿈에서 깨어난 힐프레히트는 두 개의 링에 새겨진 문자가 하나로 이어진다는 것을 깨달았다. 문자는 "주인인 벨의 아들 닌니브 신에게, 벨의 대신관인 크리갈즈가 이것을 봉납했다."로 해독되었다. 이후 힐프레히트는 이스탄불 박물관에 있는 두 개의 마노 링을 확인하고 같은 원통에서 나왔음을 확인했다.

3. 과학적 관점과 비판

회의론자들은 사이코메트리의 주장이 콜드 리딩확증 편향에 의한 것이라고 설명한다.[3][12][13][14] 회의론자 로버트 토드 캐롤은 사이코메트리를 사이비 과학으로 묘사한다.[4]

대부분의 경찰서는 심령술사를 활용하지 않으며, 사건에 대해 그들을 신뢰하거나 유용하다고 여기지 않는다.[15][16][17][18] 사이코메트리 지지자들은 심령 탐정들이 특정 사건에 대해 법 집행 기관에 의해 사용되어 왔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심리학자 레너드 주스네는 "경찰 관계자들과의 문의 결과 [...] 심령술사의 관여가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았으며, 그에 대한 간접적인 보고는 종종 심각한 오류를 범하고 있음"을 지적했다.[3]

3. 1. 과학적 근거 부족

회의론자들은 사이코메트리의 주장이 콜드 리딩확증 편향에 의한 것이라고 설명한다.[3][12][13][14] 회의론자 로버트 토드 캐롤은 사이코메트리를 사이비 과학으로 묘사한다.[4]

대부분의 경찰서는 심령술사를 활용하지 않으며, 사건에 대해 그들을 신뢰하거나 유용하다고 여기지 않는다.[15][16][17][18] 사이코메트리 지지자들은 심령 탐정들이 특정 사건에 대해 법 집행 기관에 의해 사용되어 왔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심리학자 레너드 주스네는 "경찰 관계자들과의 문의 결과 [...] 심령술사의 관여가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았으며, 그에 대한 간접적인 보고는 종종 심각한 오류를 범하고 있음"을 지적했다.[3]

3. 2. 회의적 시각

회의론자들은 사이코메트리의 주장된 성공을 콜드 리딩확증 편향으로 설명한다.[3][12][13][14] 회의론자 로버트 토드 캐롤은 사이코메트리를 사이비 과학으로 묘사한다.[4]

대부분의 경찰서는 심령술사를 활용하지 않으며, 사건에 대해 그들을 신뢰하거나 유용하다고 여기지 않는다.[15][16][17][18] 사이코메트리 지지자들은 심령 탐정들이 특정 사건에 대해 법 집행 기관에 의해 사용되어 왔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심리학자 레너드 주스네는 "경찰 관계자들과의 문의 결과 [...] 심령술사의 관여가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았으며, 그에 대한 간접적인 보고는 종종 심각한 오류를 범하고 있음"을 지적했다.[3]

4. 한국 사회와 사이코메트리

4. 1. 대중문화 속 사이코메트리

만화 『사이코메트러 에이지』에서는 어감 때문에 "사이코메트러"라는 조어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SF만화 『총몽』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사이코메트리스트를 사용하는 것이 본래적이지만, 『사이코메트러 에이지』의 영향으로 사이코메트러라는 단어도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사이코메트리를 지닌 인간을 일반적으로는 "사이코메트리스트"라고 부른다.

4. 2. 사회적 인식과 논란

5. 사이코메트리의 다양한 예시


  • 특정 물건을 지녔을 때 성격이 변한다.
  • 특정 장소에서 감정이 변한다.
  • 목소리만 듣고 그 사람에 대해 안다.
  • 미래 예지 (\빅데이터 등 외)


스테판 오소비에츠키는 폴란드인으로, 발굴된 고고학 유물의 과거를 꿰뚫어 보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935년, 폴란드의 민속학자인 스타니스와프 포니아토프스키는 전 세계의 유적에서 수집한 부싯돌이나 석기 등을 사용하여 오소비에츠키의 능력 실험을 했다. 실험 결과, 오소비에츠키는 석기류가 사용된 연대, 발견된 장소, 그것을 만들어낸 문화 등을 잇따라 정확하게 묘사했다. 오소비에츠키의 묘사가 포니아토프스키의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몇 번 있었지만, 후에 포니아토프스키의 정보에 오류가 있었음이 밝혀졌다.[21]

기원전 15000년에서 기원전 10000년 사이에 프랑스에서 번성한 마들렌 문화/Magdalenian영어의 석기를 손에 든 오소비에츠키는 "마들렌인 여성은 매우 정교한 머리 모양을 하고 있다"고 묘사했다. 이는 당시의 통설과는 다른 견해였지만, 후에 마들렌인 여성의 조각상이 발견되면서 옳은 견해였음이 실증되었다. 이와 같이, 처음에는 틀렸다고 판단된 오소비에츠키의 묘사가 나중에 옳다고 판명된 사례는 100건이 넘는다. 오소비에츠키는 석기 시대 사람들은 기름 램프를 사용했다고 발언했는데, 후에 프랑스의 부르고뉴 지역에서 그가 묘사한 것과 같은 형태와 크기의 램프가 발굴되었다. 또한 오소비에츠키는 석기 시대 사람들의 주거 형태, 매장 습관, 사냥 대상 동물 등의 상세한 그림을 그렸는데, 그것들은 후에 고고학적 발견으로 옳음이 입증되었다.[21]

캐나다 고고학회 부회장이었던 노먼 에머슨은 사이코메트리를 통한 고고학 연구의 가능성에 대해 언급했다. 에머슨은 처음에는 회의적이었지만, 조지 맥멀렌이라는 트럭 운전사의 능력을 연구한 결과 긍정적인 시각으로 바뀌었다. 맥멀렌은 물건이나 유적을 보기만 해도 그것들의 과거를 맞힐 수 있었다고 한다. 맥멀렌은 아무것도 없는 땅 위를 걸으며 그곳이 이로쿼이족의 공동 생활이 있었던 장소라고 발언했는데, 6개월 후의 발굴을 통해 그것이 사실임이 밝혀졌다. 에머슨은 1973년 연례 학회에서 "고고학 조사에서 초능력자의 사용을 확대해 나가는 것은 최우선 과제"라고 말했다.

1892년 3월,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교수 헤르만 힐프레히트는 바빌로니아 고대 도시 니푸르에서 출토된 각문의 사본을 확인하고 있었다. 그러던중 "놀라운 꿈"을 꾸었는데, 꿈속에서 바빌로니아의 긴 옷을 입은 신관이 나타나 힐프레히트를 니푸르벨 신전 보물 창고로 안내했다. 신관은 "당신이 22페이지와 26페이지에 각각 게재한 단편은 원래 하나의 물건이다"라고 말하며 그 유래를 설명하기 시작했다. 크리갈즈 왕의 칙령에 따라 닌니브 신의 귀걸이를 만들기 위해 원통을 3개로 잘라 각각 원래 문자의 일부를 포함하는 3개의 링으로 분할했다는 것이다.

꿈에서 깨어난 힐프레히트는 니푸르의 각문을 다시 한번 조사했다. 그러자 두 개의 링에 새겨진 문자가 하나로 이어진다는 것을 깨달았다. 문자는 다음과 같이 해독할 수 있었다. "주인인 벨의 아들 닌니브 신에게, 벨의 대신관인 크리갈즈가 이것을 봉납했다." 그 후, 힐프레히트가 이스탄불 박물관에 있는 두 개의 마노 링이 원통이 같았다는 것을 확인했다. 힐프레히트는 "꿈"을 통해 수백 마일 떨어진 곳에 있어 실물을 본 적도 없는 출토품을 연결할 수 있었다.

5. 1. 물건을 통한 정보 획득

스테판 오소비에츠키는 폴란드인으로, 발굴된 고고학 유물의 과거를 꿰뚫어 보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935년, 폴란드의 민속학자인 스타니스와프 포니아토프스키는 전 세계의 유적에서 수집한 부싯돌이나 석기 등을 사용하여 오소비에츠키의 능력 실험을 했다. 실험 결과, 오소비에츠키는 석기류가 사용된 연대, 발견된 장소, 그것을 만들어낸 문화 등을 잇따라 정확하게 묘사했다. 오소비에츠키의 묘사가 포니아토프스키의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몇 번 있었지만, 후에 포니아토프스키의 정보에 오류가 있었음이 밝혀졌다[21]

기원전 15000년에서 기원전 10000년 사이에 프랑스에서 번성한 마들렌 문화/Magdalenian영어의 석기를 손에 든 오소비에츠키는 "마들렌인 여성은 매우 정교한 머리 모양을 하고 있다"고 묘사했다. 이는 당시의 통설과는 다른 견해였지만, 후에 마들렌인 여성의 조각상이 발견되면서 옳은 견해였음이 실증되었다. 이와 같이, 처음에는 틀렸다고 판단된 오소비에츠키의 묘사가 나중에 옳다고 판명된 사례는 100건이 넘는다. 오소비에츠키는 석기 시대 사람들은 기름 램프를 사용했다고 발언했는데, 후에 프랑스의 부르고뉴 지역에서 그가 묘사한 것과 같은 형태와 크기의 램프가 발굴되었다. 또한 오소비에츠키는 석기 시대 사람들의 주거 형태, 매장 습관, 사냥 대상 동물 등의 상세한 그림을 그렸는데, 그것들은 후에 고고학적 발견으로 옳음이 입증되었다[21]

캐나다 고고학회 부회장이었던 노먼 에머슨은 사이코메트리를 통한 고고학 연구의 가능성에 대해 언급했다. 에머슨은 처음에는 회의적이었지만, 조지 맥멀렌이라는 트럭 운전사의 능력을 연구한 결과 긍정적인 시각으로 바뀌었다. 맥멀렌은 물건이나 유적을 보기만 해도 그것들의 과거를 맞힐 수 있었다고 한다. 맥멀렌은 아무것도 없는 땅 위를 걸으며 그곳이 이로쿼이족의 공동 생활이 있었던 장소라고 발언했는데, 6개월 후의 발굴을 통해 그것이 사실임이 밝혀졌다. 에머슨은 1973년 연례 학회에서 "고고학 조사에서 초능력자의 사용을 확대해 나가는 것은 최우선 과제"라고 말했다.

1892년 3월,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교수 헤르만 힐프레히트는 바빌로니아 고대 도시 니푸르에서 출토된 각문의 사본을 확인하고 있었다. 그러던중 "놀라운 꿈"을 꾸었는데, 꿈속에서 바빌로니아의 긴 옷을 입은 신관이 나타나 힐프레히트를 니푸르벨 신전 보물 창고로 안내했다. 신관은 "당신이 22페이지와 26페이지에 각각 게재한 단편은 원래 하나의 물건이다"라고 말하며 그 유래를 설명하기 시작했다. 크리갈즈 왕의 칙령에 따라 닌니브 신의 귀걸이를 만들기 위해 원통을 3개로 잘라 각각 원래 문자의 일부를 포함하는 3개의 링으로 분할했다는 것이다.

꿈에서 깨어난 힐프레히트는 니푸르의 각문을 다시 한번 조사했다. 그러자 두 개의 링에 새겨진 문자가 하나로 이어진다는 것을 깨달았다. 문자는 다음과 같이 해독할 수 있었다. "주인인 벨의 아들 닌니브 신에게, 벨의 대신관인 크리갈즈가 이것을 봉납했다." 그 후, 힐프레히트가 이스탄불 박물관에 있는 두 개의 마노 링이 원통이 같았다는 것을 확인했다. 힐프레히트는 "꿈"을 통해 수백 마일 떨어진 곳에 있어 실물을 본 적도 없는 출토품을 연결할 수 있었다.

5. 2. 장소에 따른 감정 변화

특정 장소에서 감정이 변하는 경우가 있다.

5. 3. 목소리를 통한 인물 파악

목소리만 듣고 그 사람에 대해 안다.

5. 4. 미래 예지

사이코메트리는 특정 물건을 만져 과거를 읽는 능력 외에도 미래를 예지하는 능력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6. 사이코메트리 연습 방법

사이코메트리도 명상과, 도형을 이용한 연습을 하면 도움이 된다. 직감이 좋은 사람이 잘된다. 물건으로 사이코메트리를 할 때는 가슴이나 이마 근처에 붙이면 잘 되는데, 꼭 물건을 올릴 필요는 없고 한 손으로 물건을 잡고 다른 손을 이마에 대도 되고, 물건에 손만 대도 된다. 그러나 이마나 가슴쪽에서 잘 된다. 눈을 감고 집중하는 게 편하다. 앉아서 물건을 손에 올린다. 편안하게 있는다. 물건을 그다지 의식하지 않는다. 물건을 올리기 전에 없었던 감정이 생긴다면 사이코메트리일 수 있다. 사이코메트리는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다. 일상에서 재미로 하는 것이 좋다.

6. 1. 명상과 집중 훈련

사이코메트리도 명상과, 도형을 이용한 연습을 하면 도움이 된다. 직감이 좋은 사람이 잘된다. 물건으로 사이코메트리를 할 때는 가슴이나 이마 근처에 붙이면 잘 되는데, 꼭 물건을 올릴 필요는 없고 한 손으로 물건을 잡고 다른 손을 이마에 대도 되고, 물건에 손만 대도 된다. 그러나 이마나 가슴쪽에서 잘 된다. 눈을 감고 집중하는 게 편하다. 앉아서 물건을 손에 올린다. 편안하게 있는다. 물건을 그다지 의식하지 않는다. 물건을 올리기 전에 없었던 감정이 생긴다면 사이코메트리일 수 있다. 사이코메트리는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다. 일상에서 재미로 하는 것이 좋다.

6. 2. 물건을 이용한 연습

사이코메트리는 명상과, 도형을 이용한 연습을 하면 도움이 된다. 직감이 좋은 사람이 잘되는 편이다. 물건으로 사이코메트리를 할 때는 가슴이나 이마 근처에 붙이면 잘 되는데, 꼭 물건을 올릴 필요는 없고 한 손으로 물건을 잡고 다른 손을 이마에 대도 되고, 물건에 손만 대도 된다. 그러나 이마나 가슴쪽에서 잘 된다. 눈을 감고 집중하는 게 편하며, 앉아서 물건을 손에 올리고 편안하게 있는다. 물건을 그다지 의식하지 않다가, 물건을 올리기 전에 없었던 감정이 생긴다면 사이코메트리일 수 있다. 사이코메트리는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므로, 일상에서 재미로 하는 것이 좋다.

6. 3. 주의사항

사이코메트리는 명상과, 도형을 이용한 연습을 하면 도움이 되며, 직감이 좋은 사람이 잘한다. 물건으로 사이코메트리를 할 때는 가슴이나 이마 근처에 붙이면 잘 되는데, 꼭 물건을 올릴 필요는 없고 한 손으로 물건을 잡고 다른 손을 이마에 대도 되고, 물건에 손만 대도 된다. 그러나 이마나 가슴쪽에서 잘 된다. 눈을 감고 집중하는 게 편하며, 앉아서 물건을 손에 올리고 편안하게 있는다. 물건을 그다지 의식하지 않고 물건을 올리기 전에 없었던 감정이 생긴다면 사이코메트리일 수 있다. 사이코메트리는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므로 일상에서 재미로 하는 것이 좋다.

참조

[1] 웹사이트 Psychometry http://parapsych.org[...] 2010-08-24
[2] 서적 Telepathy and Clairvoyance https://books.google[...] Steven Austin & Sons, Ltd.
[3] 서적 Anomalistic Psychology: A Study of Magical Thinking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4] 웹사이트 Psychometry http://skepdic.com/p[...]
[5] 서적 Encyclopedia of Occultism and Parapsychology, Part 2 https://books.google[...] Kessinger Publishing, LLC
[6] 웹사이트 Joseph Rodes Buchanan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Cincinnati
[7] 웹사이트 Psychometry at paralumun.com http://www.paralumun[...]
[8] 문서 Buchanan's Journal of Man. http://www.gutenberg[...] 1887-08
[9] 서적 Wish and Wisdom: Episodes in the Vagaries of Belief D. Appleton-Century Company
[10] 뉴스 A discourse on Seven Sciences.; Cerebral Physiology, Cerebral Psychology, Sarcognomy, Psychometry, Pneumatology, Pathology, and Cerebral Pathology. https://timesmachine[...] The New York Times 1878-03-17
[11] 뉴스 Long Island Journal; Where $20 Will Buy A Peek at the Future https://www.nytimes.[...] nytimes.com 2002-12-15
[12] 서적 Reflections on Psychic Sleuths Prometheus Books
[13] 서적 The Skeptic's Dictionary: A Collection of Strange Beliefs, Amusing Deceptions, and Dangerous Delusions John Wiley & Sons
[14] 웹사이트 A Psychometry Reading https://www.csicop.o[...] Center for Inquiry 2010-04-12
[15] 웹사이트 Can psychics help to solve crime?? http://news.bbc.co.u[...] BBC 2009-11-23
[16] 웹사이트 Do the police use psychics? http://www.critical-[...] Critical Thinking Association (UK) 2006-03-29
[17] 웹사이트 Police reject psychic advice http://www.bayofplen[...]
[18] 웹사이트 Police Psychics: Do They Really Solve Crimes? https://www.csicop.o[...] 2004-04-29
[19] 서적 サイキック―人体に潜む超常能力の探究と超感覚的世界 三笠書房
[20] 서적 投影された宇宙―ホログラフィック・ユニヴァースへの招待 春秋社
[21] 서적 投影された宇宙―ホログラフィック・ユニヴァースへの招待 春秋社
[22] 서적 古代文明の謎はどこまで解けたかⅢ 太田出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