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카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카벵은 포르투갈 리스본으로 연결되는 여러 도로의 교차점에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로, 선사 시대부터 정착이 이루어진 유서 깊은 지역이다. 로마 시대에는 두 개의 주요 도로가 교차하는 중요한 지역이었으며, 로마 다리가 건설되어 교통의 요지 역할을 했다. 무어인의 지배를 거쳐 포르투갈의 아폰수 1세에 의해 탈환되었으며, 중세 시대에는 사카벵 강 전투와 관련한 전설이 전해진다. 근대에는 리스본 방어 요새의 일부로 건설되었고, 19세기 중반부터 산업 발달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현재 사카벵은 루르스 시의 일부로, 테주 강과 트랑상 강 사이에 위치하며, 다양한 건축 유산을 간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르투갈의 도시 - 마달레나 (아소르스 제도)
    마달레나는 포르투갈 아소르스 제도 피쿠섬에 위치한 도시이자 지방 자치체로, 와인 산업 번성으로 성장했으며 경제 다각화를 거쳐 현재는 에코투어리즘이 발전했고 파이알섬과의 주요 항구 역할을 하는 6개의 교구로 나뉜다.
  • 포르투갈의 도시 - 아르가닐
    아르가닐은 포르투갈 코임브라 현에 위치한 도시이자 지방 자치 단체로, 선사 시대부터 근현대까지 다양한 역사를 거쳐 14개의 교구로 행정 구역이 나뉘며 농업, 임업, 경공업, 소매 및 서비스업이 경제의 중심을 이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사카벵
개요
트랑카오 강 - 일반적인 풍경
트랑카오 강이 사카벵 중심부를 굽이쳐 흐르는 모습
기본 정보
유형
이름사카벵
로마자 표기Sacavém
아랍어 표기شقبان (Shaqbān)
위치리스본
수도권리스본
지구리스본
자치체로레스
면적4.09 km²
고도25m
인구 (2001년 기준)17,659명
우편 번호2685-099
수호 성인노사 세뇨라 다 푸리피카상 (정화의 성모)
웹사이트사카벵 교구 웹사이트
설립일교구: 1191년 이전
도시 승격일1927년 12월 7일
시 승격일1997년 6월 4일
사카벵 깃발
깃발
사카벵 문장
문장

2. 역사

사카벵은 리스본 북동쪽의 여러 도로가 교차하는 전략적 요충지로, 포르투갈 역사 전반에 걸쳐 중요한 정착지였다. 그 역사는 선사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포르투갈 역사가 핀요 레알은 그의 저서 Portugal Antigo & Moderno|고대 & 현대 포르투갈por에서 사카벵이 고대 로마 시대에도 존재했던 매우 오래된 정착지임을 언급했다.[2]

이 지역에서는 신석기 시대와 금석병용 시대의 유물이 발견되었고, 고대 로마 시대에는 중요한 도로 교차점이자 강을 건너는 지점으로서 다리가 건설되었다.[3][4] 로마 제국 이후에는 알란족과 서고트족이 차례로 정착했으며[5], 8세기부터는 무어인의 지배를 받았다. 무어인 지배 하에서도 기독교 공동체는 유지되었고[6], '사카벵'이라는 지명 자체도 아랍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1147년 포르투갈의 아폰수 1세에 의한 리스본 점령 이후 사카벵은 포르투갈 왕국의 일부가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사카벵 강 전투 전설이 전해진다. 중세 시대에는 왕실과의 관계 속에서 중요성을 지녔고, 한때 레오노르 텔레스 데 메네제스 왕비에게 하사되었다가 이후 누누 알바레스 페레이라를 거쳐 브라간사 가문의 소유가 되기도 했다. 13세기에는 유대인 공동체가 존재했으며, 14세기에는 상 조앙 다 탈랴 지역이 분리되었다.

근현대에 들어서는 테주 강과의 근접성과 철도 개통을 바탕으로 산업, 특히 도자기 산업이 발달했다. 19세기 말에는 리스본 방어 체계의 일부로 사카벵 요새가 건설되었고, 20세기 초에는 포르투갈 최초의 치명적인 항공 사고가 발생한 장소이기도 하다.[7]

2. 1. 선사 시대 및 고대 로마 시대

사카벵의 로마 다리, 프란시스쿠 드 올란다가 그린 그림 (1571년경) ''Da fábrica que falece a cidade de Lisboa''에 수록


사카벵은 여러 도로가 북쪽과 동쪽에서 리스본으로 연결되는 교차점에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였기 때문에 포르투갈 역사 시대에 중요한 정착지였으며, 일부 증거는 선사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포르투갈 역사가 핀요 레알은 그의 지리誌 Portugal Antigo & Moderno|고대 & 현대 포르투갈pt에서 "사카벵은 의심할 여지 없이 매우 오래된 정착지이며, 고대 로마 시대에도 존재했다"고 썼다.[2] 가장 오래된 기록은 신석기 시대와 금석병용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청동기 시대의 세 개의 갈고리 돌 도끼가 발견되었으며, 1980년대 중반에는 도시의 역사적 중심지에서 이 시대의 유사한 유물이 있는 동굴이 발굴되었다.

1세기경에는 사카벵은 이미 이베리아 반도의 내륙 지방과 이 지역을 연결하는 두 개의 주요 로마 도로가 교차했다.

  • Via XVla: Olissiponala (리스본)와 Emerita Augustala (메리다)를 연결하며, 오늘날 산타렝인 중요한 행정 중심지 Scalabicastrumla을 경유.
  • Via XVIla: Olissiponala를 Bracara Augustala (브라가), Conventus bracarensisla 지방의 수도인 갈라이키아와 연결.

이 두 로마의 viæla의 잔해는 현대 도로인 Rua do António Ricardo Rodriguespt와 Rua do José Luís de Moraispt 아래에 여전히 존재한다(이 도로는 중세 시대에 사카벵의 상부와 하부 지역을 연결하는 두 개의 주요 도로였다). 이 시기에도 사카벵은 중요한 강을 건너는 곳이었다. 로마인들은 17세기까지 사용된 다리를 건설했다(프란시스쿠 드 올란다 또는 미겔 레이타웅 드 안드라데와 같은 여러 출처에 따르면).[3] 이 다리는 도로의 자연스러운 연장선이었으며, 사카벵을 북쪽 강둑과 연결했다. 따라서 간접적으로 유명한 안토니누스 여행기에 포함되었다. 이 교구의 문장에는 로마 다리의 상징적 묘사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인근에는 (현재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라틴어 명문집에 언급된 비문이 있었다고 한다. 다양한 비문학을 통해 이 토템이 로마의 지방 관할 행정을 식별했음을 알 수 있다.[4]

다리를 중심으로 한 로마 식민지는 결국 남동부 반도에서 온 야만족에 의해 계승되었다. 알란족이 처음으로 이 땅을 점령했지만(몇 개의 유적만 남겼다) 나중에는 서고트족이 중세 시대의 Nossa Senhora da Vitória|승리의 성모pt 예배당 부지에 Nossa Senhora dos Prazerespt에 헌정된 예배당을 건설했다.[5]

2. 2. 무어인의 지배

711년 이후 무어인이 이베리아 반도를 점령했다. 리스본( al-Ušbunaar )은 716년 압드 알-아지즈 이븐 무사 휘하의 베르베르인에게 점령당했으며[5], 그는 다마스쿠스의 우마이야 칼리파조를 대신하여 알-안달루스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그 과정에서 사카벵 지역도 점령되었다. 알-가르브 알-안달루스(고대 로마의 루시타니아 대부분에 해당)의 다른 지역처럼, 무어인 지배하의 주민들은 이중 언어를 사용하게 되었으나, 나중에 개종하기 전까지는 기독교 신앙을 유지했다. 사카벵에서는 노사 세노라 도스 프라제레스 교회를 중심으로 한 공동체가 리스본 주교의 지휘 아래 신앙과 문화를 유지할 수 있었는데, 이는 정복자들이 ''Ahl al-Kitāb''(경전의 백성)에 대해 보인 종교적 관용 덕분이었다. 사카벵 데 시마의 중세 탑('라르고 도 테레이리뇨'에 위치하며 '세노라 다 사우데' 예배당 맞은편)은 이슬람 시대에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당시 지역 기독교인들은 지즈야를 납부해야 했다.[6]

현대 지명 '사카벵'은 아랍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오랫동안 전문가들은 리스본 근처를 의미하는 아랍어 '샤가비'( šagabiar )에서 파생되어 라틴어 '사카비스'( sacabis, -isla )를 거쳐 '사카벵'(Sacavém)이 되었다고 보았다. 그러나 최근 야쿠트 알-하마위의 ''무잠 알-불단'' 등 아랍어 자료 연구에 따르면, 무슬림들은 현대 포르투갈어 발음과 매우 유사한 '샤카반'( Šaqabān|샤카반ar , شقبان)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알-안달루스 시대 동안 사카벵은 알-우슈부나에 속한 작은 마을( qaryaar )로 간주되었지만, 행정적으로는 로마 시대의 'conventus' 구역에 기반한 더 큰 지역에 통합되어 코르도바의 군사 총독, 그리고 이후 알-안달루스를 통치한 에미르(756–929)와 칼리프(929–1031)의 지배를 받았다. 우마이야 칼리파조에 대항하는 여러 반란이 알-가르브 알-안달루스의 에미르국과 칼리파국 시기에 일어났다. 메리다/바다호스의 이븐 마르완이나 보바스트로의 우마르 이븐 하프순의 반란과 같이 중앙 정부의 힘이 약했던 시기에는, 알-가르브는 칼리파국의 명목상 일부였으나 사실상 바다호스에 중심을 둔 자치 공국이었다.

1031년 칼리파조 멸망을 앞둔 혼란기에 사카벵은 바다호스 왕국(타이파)에 통합되었다. 약 1020년대 10년 동안은 칼리프 알-하캄 2세에게 반란을 일으켰던 슬라브 출신 압드 알-아지즈 이븐 사부르와 압드 알-말리크 이븐 사부르의 통치 하에 알-우슈부나 타이파의 일부이기도 했다. 이는 아프타시드 왕조가 이 지역을 정복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1093년, 마그레브에서 온 알모라비드 왕조에 대항하는 지원의 대가로, 바다호스 에미르는 '전 히스파니아의 황제'( imperator totius Hispaniæ|임페라토르 토티우스 히스파니아이la ) 레온과 카스티야의 알폰소 6세에게 알-우슈부나(리스본)와 아슈-샨타린(상타렝), 그리고 사카벵 영토를 넘겨주었다. 그러나 이 지역이 기독교 세력 하에 있었던 기간은 짧았다. 1095년 유수프 이븐 타슈핀이 이끄는 알모라비드 군대가 진격하여 갈리시아의 레몽 백작을 전투에서 패배시키면서, 이슬람-기독교 전선은 타구스 강에서 몬데고 강으로 북상했다. 1144년 이븐 카시가 이끄는 알-가르브 지역은 알모라비드 왕조에 반란을 일으켰다. 알모라비드 왕조는 초기 몇 년간 우세를 점했지만, 포르투갈의 아폰수 1세가 1147년 10월 리스본 공방전에서 리스본(알-우슈부나)을 결정적으로 점령하면서 쇠퇴기에 접어들었다.

2. 3. 중세 시대



로마 제국 시대에 건설된 사카벵의 다리는 17세기까지 사용되었으며, 이는 프란시스쿠 드 올란다나 미겔 레이타웅 드 안드라데와 같은 여러 기록을 통해 확인된다.[3] 로마 시대의 정착지는 이후 게르만족 이동 시기에 남동부 반도에서 온 부족들에게 계승되었다. 알란족이 먼저 이 지역을 점령했고, 이후 서고트족이 들어와 중세 시대에 '승리의 성모'(Nossa Senhora da Vitóriapor) 예배당이 세워질 자리에 '쾌락의 성모'(Nossa Senhora dos Prazerespor)에게 헌정된 예배당을 건설했다.[5]

711년 이후 이베리아 반도는 무어인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리스본(당시 al-Ušbuna|알-우슈부나ara)은 716년 압드 알-아지즈 이븐 무사가 이끄는 베르베르인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으며, 사카벵 지역 역시 그의 통치 아래 놓였다. 알안달루스의 다른 지역처럼 사카벵 주민들은 아랍어와 기존 언어를 함께 사용하게 되었지만, 기독교 신앙은 유지했다. 이는 이슬람 통치자들이 '경전의 백성'(Ahl al-Kitāb|아흘 알키탑ara)에 대해 종교적 관용 정책을 펼쳤기 때문이다. 사카벵에서는 '노사 세뇨라 두스 프라제레스'(Nossa Senhora dos Prazerespor) 교회를 중심으로 기독교 공동체가 유지되었으며, 이들은 리스본 주교의 관할 아래 있었다. 사카벵 데 시마 지역의 '라르고 도 테레이리뇨'에 위치한 중세 시대 탑은 이슬람 시대에 지어졌을 가능성이 있으며, 당시 기독교인들은 지즈야(인두세)를 납부해야 했다.[6]

현대 지명 '사카벵'은 아랍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크다. 오랫동안 학자들은 리스본 근처를 의미하는 아랍어 '샤가비'(šagabi|샤가비ara)가 라틴어화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사카벵'으로 변형되었다고 보았으나, 최근 아랍어 문헌 연구를 통해 당시 무슬림들이 현재 포르투갈어 발음과 유사한 '샤카반'(Šaqabān|샤카반ara)이라는 단어를 사용했음이 밝혀졌다.

알안달루스 시대에 사카벵은 리스본에 속한 작은 정착지('카르야', qaryaara)로 여겨졌지만, 행정적으로는 로마 시대의 구역('콘벤투스')을 기반으로 한 더 큰 지역에 통합되어 코르도바의 군사 총독이나 우마이야 왕조의 에미르(756–929) 및 칼리프(929–1031)의 통치를 받았다. 이 시기 메리다의 이븐 마르완이나 우마르 이븐 하프순과 같은 인물들이 중앙 정부에 반란을 일으키기도 했으며, 알가르브 지역은 바다호스를 중심으로 한 자치 공국 형태를 띠기도 했다.

1031년 칼리프조가 멸망하면서 사카벵은 바다호스 타이파에 편입되었다. 이후 아프타스 왕조가 이 지역을 정복했다. 1093년, 바다호스의 에미르는 마그레브에서 온 알모라비드 왕조에 대항하기 위해 레온과 카스티야의 알폰소 6세에게 리스본, 산타렝, 사카벵 영토를 넘겨주었다. 그러나 기독교 세력의 지배는 오래가지 못했다. 1095년, 유수프 이븐 타슈핀이 이끄는 알모라비드 군대가 갈리시아의 레몽드 백작을 격파하면서 아랍-기독교 전선은 테주강에서 몬데구강으로 후퇴했다. 1144년에는 이븐 카시가 알가르브 지역에서 알모라비드 왕조에 대항해 반란을 일으켰다. 알모라비드 왕조는 점차 쇠퇴하였고, 1147년 10월 포르투갈의 아폰수 1세는 리스본 공방전에서 승리하여 리스본을 결정적으로 점령했다.

아폰수 엔히케스(아폰수 1세)가 사카벵의 로마 다리 근처에서 전투를 벌이는 모습


오래된 전설에 따르면, 1147년 10월 리스본 점령 직후 포르투갈의 아폰수 1세와 무어인 사이에 사카벵 강 전투가 벌어졌다고 한다. 이 전설은 16세기에 널리 퍼졌는데, 에스트레마두라 전역에서 모인 5,000명의 무어인 병력이 1,500명의 기독교 군대와 맞섰으나 격렬한 전투 끝에 패배했다는 내용이다. 이 놀라운 승리는 성모 마리아의 개입 덕분이라고 여겨졌다.

전설에 따르면, 패배한 무어인 지도자 베자이르 자이드(Bezai Zaidept)는 기독교로 개종하여 아폰수 1세가 전투 며칠 후 세운 '순교자의 성모 예배당'(Capela de Nossa Senhora de Mártirespor)의 초대 사제가 되었다고 한다. 또한 아폰수 1세는 무어인 통치 시기 파괴되었던 옛 서고트족의 '쾌락의 성모 예배당' 자리에 '승리의 성모'(Nossa Senhora da Vítoriapor) 교회를 새로 짓도록 명령하고 이곳을 교구의 본부로 삼았다.

그러나 사카벵에 대한 최초의 공식 문서는 아폰수 1세에 의한 정복 후 44년이 지난 1191년, 포르투갈의 상슈 1세가 서명한 문서에서 처음 언급된다. 핀유 레알은 12세기에 사카벵에 900채의 집이 있었다고 기록했지만, 이는 당시 상황에 비해 과장된 수치로 여겨진다. 13세기에는 사카벵 외곽의 게토에 상당한 규모의 유대인 공동체가 거주했던 것으로 보인다. 1288년, 사카벵의 사제교황 니콜라오 4세에게 리스본에 대학교 설립을 요청하는 서한에 서명한 인물 중 한 명이었다.

14세기 말, 포르투갈의 페르난두 1세는 사카벵을 왕비 레오노르 텔레스 데 메네제스에게 하사했다. 이후 1383-1385년 포르투갈 왕위 계승 위기 당시 사카벵 지역은 포르투갈의 주앙 1세를 지지했다. 1385년 주앙 1세가 승리한 후 사카벵은 행정적으로 리스본에 편입되었으나, 왕의 주요 지지자였던 누누 알바레스 페레이라에게 하사되었다. 후에 그의 딸이 초대 브라간사 공작과 결혼하면서 사카벵은 강력한 브라간사 가문의 소유가 되었다. 1387년에는 '성벽 밖 사카벵'(Sacavém extra-murospt)으로 불리던 상 조앙 다 탈랴 지역이 분리되어 독립적인 교구가 되었다.

중세 후기의 여러 연대기(예: 두아르테 누네스 드 레앙, 루이 드 피나)에는 사카벵이 언급된다. 이 기록들에 따르면, 1415년 세우타 정복 원정 직전 리스본전염병이 발생하자 왕족이 이를 피해 사카벵으로 피신했으며, 그곳에서 왕비 랭커스터의 필리파가 병사하여 바탈랴 수도원에 안장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다른 연대기 작가인 고메스 에아네스 데 주라라는 왕족이 오디벨라스로 피신했고 왕비도 그곳에서 사망했다고 기록하여 서로 다른 주장을 남겼다.

2. 4. 근대

사카벵 요새는 1892년에 리스본을 방어하기 위해 설계된 요새선(일명 "리스본 참호전" - Campo Entrincheirado de Lisboa|캄푸 인트린셰이라두 드 리스보아pt)의 가장 동쪽에 위치한 요새로 건설되었다. 현재 이 요새는 중요한 정부 기록 보관소로 사용되고 있다.

19세기 중반부터 사카벵은 테주 강과의 근접성과 리스본 북쪽으로 철도 노선이 개통된 기회를 활용하여 포르투갈의 산업 발전에 중요한 지역이 되었다. 최초의 주요 공장인 Fábrica da Loiça|파브리카 다 로이사pt는 도자기와 세라믹을 생산했다. 이 공장은 현재 문을 닫았지만, 사카벵 도자기 박물관에서 이를 기념하고 있으며, 이 박물관에는 마을의 산업 발전을 다루는 문서 센터도 있다.

사카벵은 1913년 6월 13일 포르투갈 최초의 치명적인 항공 사고가 발생한 장소이기도 하다. 블레리오 단엽기를 조종하던 조반니 마니오는 시범 비행 중 약 137.16m 상공에서 조종 불능 상태에 빠져 조종석에서 튕겨져 나와 프로펠러에 부딪힌 후 추락하여 사망했다. 비행기는 파손되었다.[7]

2. 5. 현대

사카벵 요새는 1892년에 리스본을 둘러싸도록 설계된 요새선(일명 "리스본 참호전" - ''Campo Entrincheirado de Lisboa'')의 가장 동쪽에 위치한 요새로 건설되었다. 현재는 중요한 정부 기록 보관소로 사용되고 있다.

테주 강과의 근접성과 리스본 북쪽으로 철도 노선이 개통되면서 얻은 기회를 활용하여 사카벵은 19세기 중반부터 포르투갈의 산업 발전에 중요한 지역이 되었다. 최초의 주요 공장인 ''Fábrica da Loiça''는 도자기와 세라믹을 생산했다. 현재는 문을 닫았지만, 사카벵 도자기 박물관에서 이를 기념하고 있으며, 이 박물관에는 마을의 산업 발전을 다루는 문서 센터도 있다.

사카벵은 1913년 6월 13일 포르투갈 최초의 치명적인 항공 사고가 발생한 장소이다. 블레리오 단엽기를 조종하던 조반니 마니오는 시범 비행 중 약 137.16m 상공에서 조종 불능 상태에 빠져 조종석에서 튕겨져 나와 프로펠러에 부딪힌 후 추락하여 사망했다. 비행기는 파손되었다.[7]

3. 지리

사카벵의 강을 건너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다리가 필요하며, 여기에는 트랑상 강을 가로지르는 사카벵 아치 보행자 다리도 포함된다.


사카벵은 루르스 시의 동쪽에 위치하며, 북서쪽으로는 운호스, 서쪽으로는 카마라테, 남서쪽으로는 프리오르 벨류, 남쪽으로는 포르텔라, 남동쪽으로는 모스카비데와 경계를 이룬다. 동쪽에는 테주 강이 흐르고, 북쪽에는 트랑상 강(이전 명칭: ''사카벵 강'')이 흘러 사카벵과 보바델라 교구를 나눈다. ''리베이라 두 프리오르 벨류'' 강도 도시를 관통하며 지하 수로를 통해 흐른다.

교구의 지형은 비교적 평평하다. 테주 강 북쪽 강둑은 해수면과 거의 같은 높이이며, 사카벵과 카마라테 및 운호스 교구의 경계는 해발 60m 정도이다. 하지만 ''몬테 신트라''와 ''몬테 두 콘벤토''와 같은 몇몇 언덕도 있으며, 두 언덕 모두 높이가 약 30m에 달한다.

전통적으로 사카벵은 두 지역으로 나뉜다.

  • 사카벵 지 시마 (''상 사카벵''): ''Capela de Nossa Senhora da Saúde e de Santo André'' (''건강과 성 안드레아의 예배당'') 주변의 도시 역사 중심지를 포함한다.
  • 사카벵 지 바이쇼 (''하 사카벵''): 교구 교회와 빈첸시오회의 오래된 수도원이 위치한 트랑상 강둑 근처 지역이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이 두 전통적인 지역 외에도 ''쿠렐라 두 포게테'', ''폰테 페라'', ''올리발 코보'', ''킨타 두 파트리모니오'', ''레알 포르테'', ''테라소스 다 폰테''와 같은 새로운 도시 집단이 생겨났다. 특히 ''테라소스 다 폰테''는 1974년 카네이션 혁명 이후 포르투갈 식민지에서 돌아온 아프리카 출신 이민자들이 지난 30년간 열악한 환경에서 거주했던 낡고 낙후된 ''킨타 두 모초'' 지역을 대체하여 조성된 곳이다.

4. 건축물

사카벵 교구는 여러 국가 및 지역에서 인지할 수 있는 건축 기념물이 있는 지역이지만, 상당수는 포르투갈 국립 건축 유산 관리 기관인 IGESPAR에 의해 건축적으로 중요하다고 공식적으로 분류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구조물 중 다수는 포르투갈의 바로크 시대와 후기 중세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건물을 포함하며, 종교 건축물과 다양한 시대의 저택 등이 있다.

4. 1. 종교 건축물


  • Antigo Convento das Clarissas/Igreja Paroquial de Sacavém/Igreja de Nossa Senhora da Purificação/Comando e Estado Maior do Batalhão de Adidos|가난한 클라라 수녀원과 노사 세노라 다 푸리피카상 교회por: 원래 자브레가나스의 가난한 클라라 수녀원을 위해 헌정된 매너리즘 양식의 건축물이다. 이후 포르투갈 국방부에서 운영하였으며, 현재는 상업 및 레저 서비스 시설, 시민 센터, 그리고 지역 프레게지아 행정 위원회(Junta de Freguesiapor) 공간으로 전환할 계획이 수립되었다.

4. 2. 기타 건축물


  • 올라이오 광장의 아치(Arco Brasonado no Largo do Olaiopt): 카브리아스 가문 저택의 18~19세기 입구이다.
  • 비토리아 킨타의 지구(Bairro da Quinta da Vitóriapt)
  • 페드루 고메스 주니어 광장 저택(Casa com platibanda no Largo Pedro gomes Júniorpt): 18세기 저택으로, 부르주아 계급에 맞게 개조되었으며 벽 내부에 부속 건물이 있다.
  • 상 조제 킨타 저택(Casa da Quinta de São Josépt): 상 조제 저택 부지에 위치하며, 그림이 그려진 나무 천장과 형상적인 아줄레주 타일이 특징이다.
  • 공화국 광장 18–21번지 저택(Casa na Praça da República, Nº18-21pt): 20세기에 설계된 인상적인 연어색 저택이다.
  • D. 조앙 1세 광장 저택(Casa na Praceta D. João Ipt): 19세기 또는 20세기 초의 대규모 영주 저택 유적이다. 심하게 훼손된 상태이다.
  • 테넨테 포시디오니오 코엘료 거리 14–18번지 저택(Casa na Rua Tenente Possidónio Coelhopt): 도시 환경에 통합된 20세기 2층 저택이다.

참조

[1] 웹사이트 Law nr. 11-A/2013, page 552 62 http://dre.pt/pdf1sd[...] 2014-07-24
[2] 서적 Pinho Leal (1990), p.310
[3] 웹사이트 A Ponte Romana de Sacavém http://www.portugalr[...] Portugal Romano: Arqueologia Romana em Portugal 2011-06-08
[4] 서적 Luís da Silva Fernandes (2003), p.44-45
[5] 서적 Pinho Leal (1990), p.313
[6] 서적 Pinho Leal (1990), p.311
[7] 웹사이트 Accident Bleriot Monoplane https://aviation-saf[...] 2023-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