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회제국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회제국주의는 일반적으로 경멸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마르크스주의 용어이다. 20세기 초,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을 앞두고 국제 노동 운동 내에서, 특히 독일 사회민주당의 입장을 비판하며 처음 사용되었다. 이후 마오쩌둥은 소련을 사회제국주의 국가로 비판하는 데 이 용어를 사용했으며, 현대 독일 역사 연구에서 좌파 학자들은 국내 사회 안정을 위해 제국주의에 참여하는 정부를 묘사하는 데 활용해왔다. 한스-울리히 벨러는 사회제국주의를 국내 문제로부터 대중의 관심을 돌리고 기존 질서를 유지하려는 수단으로 정의했으며, 티모시 메이슨은 제2차 세계 대전이 사회제국주의에 의해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국주의 - 대영 제국
    대영 제국은 1583년부터 1997년까지 존속하며 전 세계에 광대한 영토를 지배했던 역사상 가장 큰 식민 제국 중 하나였으나, 탈식민화 운동과 강대국들의 부상으로 쇠퇴하여 1997년 홍콩 반환을 기점으로 역사의 막을 내렸다.
  • 제국주의 - 나의 투쟁
    《나의 투쟁》은 아돌프 히틀러가 집필한 자서전이자 나치즘의 핵심 이념을 담은 책으로, 히틀러의 유년 시절, 나치당 창당 과정, 인종주의, 반유대주의, 레벤스라움 등의 정치적 신념을 상세히 묘사하고 있다.
  • 소련-중국 관계 - 다롄시
    다롄시는 랴오닝성 남단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경제 특구로서, 러시아와 일본 점령기를 거쳐 중국에 반환되었고, 개혁 개방 이후 경제 발전과 함께 환경 및 사회 문제에 직면하며, 다양한 산업과 무역, 관광 자원을 바탕으로 중국 동북부의 주요 도시로 성장하였다.
  • 소련-중국 관계 - 동북항일연군
    동북항일연군은 1936년 중국 공산당의 지휘 아래 만주 지역 항일 무장 세력을 통합하여 창설되었으며, 만주와 한반도에서 일본 제국주의를 몰아내고 민족 독립을 쟁취하는 것을 목표로 활동하다가 일제의 탄압으로 소련으로 이동, 1945년 일본 패전 후 북한으로 귀환하여 권력을 장악했다.
  • 정치학 용어 - 거버넌스
    거버넌스는 사회적 통치 시스템을 의미하며, 정부, 시민사회, 시장의 파트너십을 통해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며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며, 경제 성장, 부패 감소, 정치적 안정 강화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정치학 용어 - 정치적 스펙트럼
    정치적 스펙트럼은 정치적 입장을 분류하는 개념으로, 좌익과 우익의 1차원 모델, 경제적/개인적 자유를 축으로 하는 2차원 모델, 세속주의-전통주의, 생존주의-자기 표현 가치를 기반으로 하는 잉글하트-벨젤 가치관 지도 등 다양한 모델이 존재한다.
사회제국주의
정의
사회 제국주의사회주의의 탈을 쓴 제국주의 정책 또는 선전
레닌의 정의
의미제국주의 열강의 노동 운동 내 기회주의적 경향
주요 특징 (레닌의 정의)
핵심"자국" 제국주의 열강의 이익을 옹호
식민지 확장과 억압을 정당화
노동자 계급의 국제적 연대를 약화
배경제국주의 시대의 자본주의 발전
독점 자본의 초과 이윤
노동 귀족의 출현
역사적 맥락
제1차 세계 대전제2인터내셔널의 붕괴와 사회민주주의 정당들의 전쟁 지지
비판 대상카를 카우츠키
독일 사회민주당 내 우파 세력
마오쩌둥주의의 정의
의미사회주의 국가가 제국주의 국가처럼 행동하는 것
주요 대상소련 (특히 니키타 흐루쇼프 시대)
비판 근거소련의 팽창주의적 외교 정책
군사적 개입
경제적 불평등 조약
알바니아 노동당의 정의
의미사회주의를 표방하며 다른 나라를 경제적, 정치적으로 종속시키는 행위
주요 대상소련
유고슬라비아
소련 수정주의에 대한 비판
내용레닌주의 원칙의 변질
자본주의적 요소의 도입
국제 공산주의 운동의 약화
영향중국-소련 관계 악화
국제 공산주의 운동의 분열
현대적 함의
적용 대상강대국의 패권주의적 행보, 경제적 침탈, 문화적 제국주의 등
논쟁"사회 제국주의" 개념의 적용 범위와 타당성에 대한 논쟁 지속

2. 정치적 용법

"사회제국주의"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경멸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마르크스주의 표현이다. 이 용어는 20세기 초 국제 노동 운동이 다가오는 유럽 전쟁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할 것인가, 특히 독일 사회민주당의 전쟁 지지 입장에 대한 논의 과정에서 마르크스주의 진영에서 처음 사용되었다.[2][3] 이 맥락에서 사회제국주의는 사회국수주의, 사회애국주의와 유사한 의미를 지닌다.

2. 1. 마오주의의 소련 비판

마오쩌둥소련이 사회주의적 생산 방식을 유지하면서도 제국주의 강대국이 되었다고 주장했다.[4][5] 알바니아 인민 공화국의 지도자이자 중국의 동맹국이었던 엔베르 호자는 이러한 분석에 동의했으며, 이후 중국-알바니아 분열 과정에서 마오의 세 개의 세계 이론을 비판하기 위해 이 용어를 사용했다.[6]

3. 학문적 용법

사회제국주의라는 용어는 현대 독일사를 연구하는 좌파 학자들에 의해 사용되기도 했다. 이들은 국내 사회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제국주의에 참여하는 정부를 묘사하기 위해 이 용어를 사용했다.

독일의 역사학자 한스 울리히 벨러는 사회제국주의를 "내부의 긴장과 변화의 힘을 외부로 돌리는 것"이자, 산업화의 파괴적인 영향"에 대응하는 '방어적인 정치 사상'으로 정의했다.[14] 벨러는 사회제국주의가 독일 정부가 국내 문제로부터 대중의 관심을 돌리고 기존 질서를 유지하는 방책으로 사용되었다고 보았다.[15] 그는 1880년대 독일 식민 정책과 1897년부터 시작된 티르피츠 계획을 그 예시로 들었다.

영국의 역사학자 제프 엘리는 벨러의 이론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했다. 그는 벨러가 알프레트 폰 티르피츠나 베른하르트 폰 뷜로프와 같은 지도자들의 통찰력을 과대평가하고, 우익 압력 단체들의 주장이 정부 정책보다 더 강경했으며, 이들 단체가 국내 개혁도 요구했다는 점을 지적했다.[16][17][7]

영국의 역사학자 티모시 메이슨은 제2차 세계 대전이 사회제국주의에 의해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독일의 외교 정책이 국내 정치적 고려에 의해 추진되었으며, 1939년 전쟁 발발은 "사회제국주의의 야만적인 변형"이라고 보았다.[18] 메이슨은 경제 문제, 산업 불안, 생활 수준 하락 등으로 인해 아돌프 히틀러가 전쟁을 선택했다고 주장했다.[19][20][21] 그는 독일 외교 정책이 안슐루스 이후 기회주의적 경향을 보였으며, 독소 불가침 조약 체결과 폴란드 침공은 히틀러의 외교 정책 프로그램 포기를 의미한다고 주장했다.[22][7]

그러나, 리처드 오버리는 메이슨과의 논쟁에서, 독일의 경제 문제만으로는 폴란드 침공을 설명할 수 없다고 반론했다.

3. 1. 한스-울리히 벨러의 사회제국주의론

독일의 좌파 역사학자 한스-울리히 벨러는 사회제국주의를 "사회적, 정치적 현상 유지를 위해 내부의 긴장과 변화의 힘을 외부로 돌리는 것"이라고 정의했다.[14] 그는 사회제국주의가 "독일 사회의 사회 경제적 구조에 대한 산업화의 파괴적인 영향"에 대응하는 "방어적 이데올로기"라고 보았다.[14] 벨러에 따르면, 사회제국주의는 독일 정부가 국내 문제로부터 대중의 관심을 돌리고 기존의 사회적, 정치적 질서를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였다.[15] 그는 지배 엘리트들이 분열된 사회를 하나로 묶고 사회적 ''현상 유지''에 대한 대중의 지지를 유지하기 위해 사회제국주의를 사용했다고 주장했다.[15][16]

벨러는 1880년대 독일 식민 정책이 사회제국주의의 첫 번째 사례이며, 1897년부터 시작된 독일 해군 확장을 위한 티르피츠 계획으로 이어졌다고 주장했다.[16][7] 그는 식민 협회와 해군 연맹과 같은 단체가 정부가 대중의 지지를 동원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다고 보았다.[17] 벨러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유럽과 아프리카 대부분을 병합하라는 요구를 사회제국주의의 정점으로 보았다.[7]

3. 2. 제프 엘리의 비판

영국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 제프리 엘리는 한스-울리히 벨러의 사회제국주의 이론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비판을 제기했다.

첫째, 벨러가 알프레트 폰 티르피츠 제독과 베른하르트 폰 뷜로프 공과 같은 지도자들에게 실제보다 더 큰 비전을 부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16]

둘째, 독일의 제국주의 정책을 옹호한 우익 압력 단체 중 다수는 정부가 만든 것이 아니며, 실제로 정부가 추진하려는 것보다 훨씬 더 공격적인 정책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주장했다.[17]

셋째, 이러한 제국주의 로비 단체 중 다수는 해외 제국주의뿐만 아니라 국내 정치 및 사회 개혁 정책도 요구했다는 점을 지적했다.[7]

엘리는 사회제국주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위에서 아래로의 상호 작용과 해외 제국주의와 국내 정치 사이의 더 넓은 관계를 포괄하는 더 광범위한 그림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7]

3. 3. 티모시 메이슨의 사회제국주의론

영국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인 티모시 메이슨은 제2차 세계 대전이 사회제국주의에 의해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독일의 외교 정책이 국내 정치적 고려에 의해 추진되었으며,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은 "야만적인 사회제국주의의 변형"으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보았다.[18] 메이슨은 나치 독일이 언젠가 주요한 팽창 전쟁을 벌이려고 했지만,[19] 그러한 전쟁의 시기는 국내 정치적 압력, 특히 실패하는 경제와 관련하여 결정되었다고 주장했다.[19]

메이슨에 따르면, 1939년까지 재무장으로 인한 독일 경제의 "과열", 숙련된 노동력 부족으로 인한 다양한 재무장 계획의 실패, 독일 사회 정책의 붕괴로 인한 산업 불안, 그리고 독일 노동 계급의 생활 수준의 급격한 하락은 아돌프 히틀러가 그가 선택하지 않은 시기와 장소에서 전쟁을 시작하도록 강요했다.[20] 그는 심각한 사회 경제적 위기에 직면했을 때, 나치 지도부가 독일의 생활 수준을 지원하기 위해 무자비하게 약탈할 수 있는 동유럽 영토를 점령하는 무자비한 "강탈" 외교 정책을 시작하기로 결정했다고 주장했다.[21]

그는 독일 외교 정책이 안슐루스 이후 기회주의적인 "다음 희생자" 증후군에 의해 추진되었으며, 여기서 "공격적 의도의 난잡함"은 모든 성공적인 외교 정책으로 길러졌다고 묘사했다.[22] 메이슨은 독소 불가침 조약에 서명하고 폴란드를 공격하기로 한 결정, 그리고 그로 인해 영국 및 프랑스와의 전쟁을 감수하게 된 것은 히틀러가 ''나의 투쟁''과 ''두 번째 책''에 요약된 그의 외교 정책 프로그램을 포기한 것이며, 독일 경제의 붕괴를 막기 위해 해외 영토를 점령하고 약탈해야 할 필요성에 의해 강요된 것이라고 주장했다.[7]

3. 3. 1. 리처드 오버리와의 논쟁

티모시 메이슨이 제2차 세계 대전을 사회제국주의 행위이자 1939년 갑작스러운 "전쟁으로의 도피"로 보는 이론은 1980년대에 영국의 역사가인 리처드 오버리와의 논쟁으로 이어졌다.[7] 오버리는 메이슨의 주장에 대해, 1939년 시점에서 독일이 경제 문제에 직면해 있었던 것은 확실하지만, 그것만으로는 폴란드 침공을 설명할 수 없다고 반론했다.

4. 한국에서의 사회제국주의 담론

대한민국에서는 '사회제국주의'라는 용어가 학술적, 정치적 맥락에서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다.

참조

[1] 서적 Imperialism, the Highest Stage of Capitalism https://archive.org/[...]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2] 웹사이트 Rebuilding the International https://www.marxists[...] 2009-01-23
[3] 서적 The Bolsheviks and War https://www.marxists[...] World View Forum
[4] 서적 China After Mao Princeton University Press
[5] 서적 China and the Three Worlds: A Foreign Policy Reader Routledge
[6] 서적 Imperialism and the Revolution https://archive.org/[...] 8 Nëntori
[7] 웹사이트 Imperialism, the Highest Stage of Capitalism - IX. CRITIQUE OF IMPERIALISM https://www.marxists[...] 2023-09-10
[8] 웹사이트 Rebuilding the International https://www.marxists[...] 2023-09-10
[9] 웹사이트 On Khrushchov’s Phoney Communism and Its Historical Lessons for the World: Comment on the Open Letter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CPSU (IX) https://www.marxists[...] 2023-09-10
[10] 웹사이트 Imperialism and the Revolution https://www.marxists[...] 2023-09-10
[11] 웹사이트 The New Class - An Analysis of the Communist System https://ia800200.us.[...] 2023-09-10
[12] 웹사이트 The Tito–Stalin split: a reassessment in light of new evidence https://www.zora.uzh[...] 2023-09-10
[13] 웹사이트 日本共産党第20回党大会決議 - 第4章 世界史の道程と科学的社会主義の生命力 http://space.geociti[...] 2023-09-10
[14] 서적 Modern Germany Garland Publishing
[15] 서적 Modern Germany Garland Publishing
[16] 서적 Modern Germany Garland Publishing
[17] 서적 Modern Germany Garland Publishing
[18] 서적 Fascist Ideology Routledge
[19] 서적 Fascist Ideology Routledge
[20] 서적 Fascist Ideology Routledge
[21] 서적 Fascist Ideology Routledge
[22] 서적 Fascist Ideology Routledge
[23] 문서 엘레 지프의《Social Imperialism》 참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