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주의 시장 경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회주의 시장 경제는 1978년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정책 시작과 함께 중국에서 도입된 경제 모델이다. 이는 사회주의 초급단계론에 기반하여 공유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소유 형태를 인정하며, 국가가 경제의 방향을 통제하는 특징을 갖는다. 덩샤오핑은 계획 경제와 시장 경제를 모두 경제적 수단으로 보았으며, 1992년 장쩌민에 의해 '사회주의 시장 경제'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었다. 이 모델은 생산력 증진을 목표로 하며, 국유 기업, 민간 기업, 혼합 기업 등 다양한 형태의 기업들이 공존한다. 중국 공산당은 거시 경제를 계획하며, 시장 경제를 지도한다. 이 경제 모델은 국가 자본주의, 당-국가 자본주의 등으로 평가받기도 하며, 베트남의 사회주의 지향 시장 경제와 유사한 사례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혼합경제 - 혼합 경제
혼합경제는 시장경제와 계획경제의 요소를 결합하여 경제적 효율성과 사회적 형평성을 추구하는 경제 시스템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왔으며 정부 개입 정도, 민간 및 공공 부문 비중, 시장 및 계획경제 결합 방식 등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타난다. - 혼합경제 - 사회주의 지향 시장 경제
사회주의 지향 시장 경제는 베트남 공산당이 도이머이 정책으로 도입한 경제 체제로, 시장 경제 원리를 도입하여 생산력 발전을 통해 사회주의로 이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주요 산업은 국영으로 운영된다. - 시장사회주의 - 협동조합
협동조합은 공동 소유 및 민주적 운영 사업체를 통해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자발적으로 결성된 자율적인 사람들의 결사체로, 로치데일 공정 선구자 조합의 로치데일 원칙과 국제협동조합연맹(ICA)의 7대 원칙을 바탕으로 운영되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 시장사회주의 - 시장 경제
시장 경제는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이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고, 사유 재산과 경제 활동의 자유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자원 배분과 경제 성장을 추구하는 경제 체제이다. - 중국의 경제 - 한중 자유 무역 협정
한중 자유무역협정은 2012년 5월 협상을 시작하여 2015년 12월 20일 발효된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간의 자유무역협정으로, 양국 교역 확대, 관세 철폐, 개성공업지구 생산품 혜택 등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시장 의존도 심화 우려와 지식재산권 보호 등의 협력 과제를 안고 있다. - 중국의 경제 - 비전 (화폐)
당나라 시대 동전 유통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비전은 상인들이 발행하고 현금으로 교환하는 어음 시스템으로, 송나라 교자에 영향을 주었으며 지폐와 현대 금융 시스템의 기원이 되었다.
사회주의 시장 경제 | |
---|---|
사회주의 시장 경제 | |
![]() | |
경제 체제 | |
기본 특징 | 공공 소유제 우위와 다양한 소유 형태의 병존 |
공공 경제 | 국유 경제 집단 경제 혼합 소유제 경제 내 국유 및 집단 경제 요소 |
공공 소유제의 역할 | 사회 전체 자산에서 지배적인 비중 차지, 국유 경제가 국가 경제의 생명선을 통제하고 경제 발전에서 주도적 역할 수행 |
특징 | 시장경제와 사회주의 원칙 결합 중국공산당의 지도하에 경제 발전 국가 소유 기업의 중요한 역할 시장 메커니즘의 활용 계획 경제 요소 존재 |
발전 단계 | 사회주의 초급 단계에서 발전 |
유사 체제 | 신경제 정책 시대의 소련 경제와 유사한 논리 사회 시장 경제와 유사하지만 사회주의적 특성을 가짐 |
역사 | |
도입 | 1978년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정책에 따라 도입 |
공식 채택 | 1992년 중국공산당 제14차 전국대표대회에서 공식적으로 채택 |
발전 과정 | 계획 경제에서 시장 경제로의 점진적인 전환 국가 역할과 시장 역할의 균형 추구 경제 성장과 사회적 형평성 동시 추구 |
덩샤오핑의 역할 | "사회주의 시장 경제" 개념을 처음 제시, 중국 경제 개혁의 핵심 이론적 기반 제공 |
개혁의 중요성 | 중국 경제의 급속한 성장과 발전의 중요한 원동력으로 작용 |
이론적 배경 | |
마르크스주의 |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의 틀 안에서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 사회주의 목표를 유지하면서 생산력 발전 추구 |
중국 특색 사회주의 | 중국의 구체적인 상황과 발전에 맞게 사회주의 이론을 발전시킨 개념 |
신경제정책(NEP) 영향 | 신경제정책 시기 소련의 경험과 유사한 논리 적용, 글로벌 자본주의 시스템과 공존 |
경제적 효과 | |
경제 성장 | 고속 경제 성장과 국민 생활 수준 향상 |
시장 경쟁력 강화 | 세계 경제에서 중국의 역할 확대 |
문제점 | 불평등 심화 환경 오염 부패 문제 |
국제적 평가 | |
긍정적 평가 | 경제 발전 모델로서의 성공 수많은 사람들을 빈곤에서 벗어나게 함 |
부정적 평가 | 국가 개입이 과도하다는 비판 시장 경쟁을 저해한다는 비판 |
기타 | |
관련 문서 | 시장 사회주의, 사회적 시장 경제, 사회주의 지향 시장 경제 |
2. 성립 배경
1978년 중국공산당 제11기 3중전회에서 덩샤오핑을 중심으로 한 실용주의자들은 '중국적 특색을 지니는 사회주의 건설'을 제시하며 개혁개방 정책을 시작했다. প্রায় 10년간의 실험적 개혁 실행 이후, 중국 지도부는 생산력의 급속한 발전이 중국 사회 발전에 가장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1987년 10월 중국공산당 제13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중국공산당은 현 중국이 사회주의 초급단계에 있으며, 생산력 발전을 위해 시장 조절 역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43]
1978년 중국공산당 제11기 3중전회에서 덩샤오핑을 중심으로 한 실용주의자들은 '중국적 특색을 지니는 사회주의 건설'이라는 이론적 구상을 제시했다. 이후 10년 가까이 실험을 거친 중국 지도부는 생산력의 급속한 발전을 위해 시장 조절 역할을 강조했다. 1987년 10월 중국공산당 제13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중국은 사회주의 초급단계에 있으며, 생산력 발전을 위해 시장이 조절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43] 1989년 톈안먼 사건으로 덩샤오핑의 개혁 정책이 주춤했지만, 1992년 덩샤오핑의 '남순강화'(南巡講話)를 계기로 개혁·개방이 다시 추진되었다. 1992년 10월 중국공산당 제14차 전국대표대회에서는 '사회주의 시장경제' 건설을 개혁·개방의 지향점으로 제시했다.[44]
1989년 톈안먼 사건으로 덩샤오핑의 개혁 정책이 잠시 주춤했지만, 1992년 덩샤오핑이 선전, 주하이 등 경제특구와 상하이를 순방하며 행한 '남순강화'를 계기로 개혁개방이 다시 활발해졌다. 1992년 1월부터 2월에 걸쳐 덩샤오핑은 우한, 주하이, 상하이, 선전 등의 도시를 순방하며 성명을 발표했는데, 이 성명에서 덩샤오핑은 사회주의 체제에서도 시장 경제를 도입하여 경제 발전을 이룰 수 있다고 주장했다. 1992년 10월 중국공산당 제14차 전국대표대회에서는 지난 14년간의 개혁개방 성과를 평가하고 '사회주의 시장경제' 건설을 공식화했다.[44] 장쩌민은 1992년에 처음으로 "사회주의 시장 경제"라는 용어를 도입했는데, 덩샤오핑에게 그 용어를 승인했는지 물었고, 덩샤오핑은 승인했다.[2] 이후 이 방침은 1993년 헌법 개정 때 반영되어 중국 경제 정책의 기본 방침으로 자리매김했다.
3. 이론적 배경 및 특징
1970년대 후반, 덩샤오핑과 중공 지도부는 마오주의적 입장을 벗어나 생산력 증진을 강조하는 노선으로 전환했다. 시장 개혁은 중국의 발전 수준과 일치하며 생산력 증진에 필요한 단계로 여겨졌다.[1]
중국 공산당은 사회주의 시장 경제를 사회주의 발전 초기 단계로 보며, 공유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소유 형태를 인정한다. 당이 국가의 방향을 통제하기 때문에 중국은 자본주의 국가가 아니라는 것이 중공의 입장이다.[1] 그러나 서구 학계에서는 중국 경제 모델을 권위주의적 자본주의,[6][7] 국가 자본주의,[8] 또는 당-국가 자본주의[9][10] 등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사회주의 시장 경제는 제임스 미드의 자유주의적 사회주의 모델과 유사하며, 국가는 기업 경영에 직접 관여하지 않고 이윤에 대한 잔여 청구권을 갖는다.[4]
크리스토퍼 마퀴스와 喬坤源은 "시장 경제"가 핵심이라는 오해를 피하기 위해 "중국 사회주의 체제 내의 시장 경제"라는 번역이 더 적절하다고 주장한다.[12]
4. 발전 과정
1978년 중국공산당 제11기 3중전회에서 덩샤오핑을 중심으로 한 실용주의자들은 '중국적 특색을 지니는 사회주의 건설'이라는 이론적 구상을 제시했다. 이후 약 10년간의 실험적 개혁을 거쳐 중국 지도부는 생산력의 급속한 발전이 중국 사회 발전에 가장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1987년 10월 중국공산당 제13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중국공산당은 현 중국이 사회주의 초급단계에 있으며, 생산력을 크게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시장의 조절 역할을 충분히 발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43]
1989년 톈안먼 사건으로 덩샤오핑의 개혁 정책이 잠시 주춤했지만, 1992년 덩샤오핑이 선전, 주하이 등 경제특구와 상하이를 순방하며 행한 '남순강화'(南巡講話)를 계기로 개혁·개방은 다시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1992년 10월 중국공산당 제14차 전국대표대회에서는 지난 14년간의 개혁·개방 성과를 평가하고 사회주의 경제의 본질에 대한 인식 전환을 표명하며, '사회주의 시장경제' 건설을 개혁·개방의 지향점으로 제시했다.[44]
1992년 남순 강화에서 덩샤오핑은 "계획 경제가 사회주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시장 경제가 자본주의를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사회주의도 시장 메커니즘을 가질 수 있으며 정부 계획과 시장은 모두 경제적 수단이다"라는 견해를 밝히며 사회주의 시장 경제의 이념적 기반을 홍보했다.[12]
장쩌민은 1992년에 처음으로 "사회주의 시장 경제"라는 용어를 도입했다. 그는 개혁이 "사회주의"인지 "자본주의"인지 논의할 필요 없이 중국이 자본주의 국가로부터 교훈을 얻을 수 있도록 이 개념을 만들었다. 장쩌민은 덩샤오핑에게 그 용어를 승인했는지 물었고, 덩샤오핑은 승인했다.[2]
사회주의 시장경제로의 전환은 1978년 덩샤오핑이 중국 특색 사회주의 프로그램을 도입하면서 시작되었다. 초기 개혁은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 농업의 집단화 해체와 외국인 투자에 대한 경제 개방을 위한 것이었다. 이후 1990년대에는 국유 부문의 주식회사화, 일부 기업의 부분적 민영화, 무역 및 가격 자유화, 고용 안정의 "철밥통" 시스템 해체 등 대규모 급진적 개혁이 단행되었다.
1993년 중국 공산당은 "사회주의 시장 경제 체제 수립과 관련된 문제에 관한 결정"을 발표했다.[14] 그 이후 개혁의 목표 중 하나는 국영기업(SOE) 경영을 정부로부터 분리하고, 일부 국영기업에 특별한 재산권과 자율성을 부여하는 것이었다.[14] 1994년 중국은 사회주의 시장 경제 개혁의 일환으로 위안을 33% 평가절하했다.[15]
1992년 1월부터 2월에 걸쳐 덩샤오핑이 개혁 개방 노선을 추진하기 위해 우한, 주하이, 상하이, 선전 등의 도시를 순방하며 성명을 발표한 남순강화에서 덩샤오핑은 사회주의 체제 하에서도 시장 경제를 도입하여 경제 발전을 이룰 수 있다고 주장했다. 1992년 10월 제14차 당대회에서 덩샤오핑이 제창한 방침은 사회주의 시장 경제로 보고되었다. 이후 이 방침은 1993년 헌법 개정 때 반영되어 중국 경제 정책의 기본 방침으로 자리매김했다.
5. 소유 구조
사회주의 시장 경제에서 공유제는 국유 자산, 집단 소유 기업, 그리고 혼합 기업의 공유 주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공유제는 상당한 규모의 민간 및 외국 기업과 함께 사회주의 시장경제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1] 사회주의 시장 경제는 다양한 형태의 국유기업(SOE)을 포함하며, 이는 공유제의 한 형태이다.
5. 1. 기업 형태
사회주의 시장경제에서 공유제는 국유 자산, 집단 소유 기업, 그리고 혼합 기업의 공유 주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공유제는 상당한 규모의 민간 및 외국 기업과 함께 사회주의 시장경제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1]오늘날 중국에는 몇 가지 주요 형태의 국유 기업이 있다.
- 국유 기업: 중앙 정부 또는 지방 정부가 설립한 상업 기업으로, 관리자는 정부 또는 공공 기관에서 임명한다. 이 범주에는 전적으로 국가가 자금을 조달하고 관리하는 기업만 포함된다. 대부분의 국유 기업은 중앙 정부의 기관이 아니다. 중앙 정부 국유 기업은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SASAC)의 하위 기관이다.
- 국가 지분 기업: 국가 지분 기업 또는 국가 통제 기업은 국가가 기업 내에서 다량의 지분 또는 지배 지분을 소유하여 기업 경영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상장 기업이다. 여기에는 외국인직접투자를 받는 기업도 포함된다.[28]
- 국가 합자 기업:
5. 2. 국유 부문
사회주의 시장 경제는 다양한 형태의 국유기업(SOE)으로 구성되며, 이는 공유제의 한 형태를 나타낸다. 1980년대 산업 개혁을 통해 국유기업은 주식회사로 전환되었고, 국가는 지분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유지했다.[33] 2003년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SASAC) 설립 이후 중앙 정부 소유 대형 국유기업의 관리 감독이 강화되었다.[34]현대 국영기업은 1990년대의 국영기업과 운영 방식이 매우 다르다. 국영기업은 규모가 훨씬 크고 수가 적으며, 중앙 정부 소유 국영기업은 은행, 금융, 광업, 에너지, 운송, 통신 및 공공 유틸리티를 포함한 "전략 부문"에 집중되어 있다. 반면, 지방 정부 소유 국영기업은 수천 개에 달하며 정보 기술, 자동차 설계 및 생산을 포함한 거의 모든 산업에 관여하고 있다. 중국의 국가 부문 개혁은 현재 진행 중이다.
최근 국유기업 개혁은 수익성 향상과 부채 감축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35] 배당금 지급 확대를 통해 공공 서비스 재정 확충에 기여하고 있다.[38] 2019년 말 기준, 중국의 국영기업은 세계 경제의 4.5%를 차지했다.[29] 2020년에는 중국 GDP의 40%를 국영기업이 창출했다.[30][31]
5. 3. 민간 부문
민영기업(POE)은 국유기업, 집체소유기업과 함께 사회주의 시장경제의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16] 1994년 회사법 채택 이후 민간 부문의 역할은 점점 커지고 있으나, 중국 경제를 지배하지는 않는다.[16]중국에서는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의 경계가 모호하다.[16] 많은 상장 기업이 다양한 국유 및 비국유 기업의 혼합 소유하에 있기 때문이다.[16] 게다가 성장을 목표로 하는 산업에서 운영되는 민간 부문 기업은 우대적인 대출과 정부의 특혜를 받는 반면, 비전략 부문의 국유기업(SOE)은 보조금에서 제외될 수 있다.[16] 예를 들어, 중국전신(ZTE)은 주로 국영 기업이지만 자본 시장에 의존해야 했던 반면, 직원 소유의 민간 부문 경쟁업체인 화웨이는 "국가적 영웅"으로 여겨져 국영 은행으로부터 많은 국고 지원을 받았다.[16]
국유기업과 마찬가지로 민영기업도 국가 정책을 따라야 하며 중국 공산당(CCP)의 통제를 받는다.[16] 이는 중국 경제 모델을 이해하는 데 있어 공공 및 민간 소유의 차이점은 의미 있는 구분이 아니라는 것을 시사한다.[16] 2015년 기준으로, 국가 통제와 국가 주도 개발(공공 및 민간 부문 모두)은 자산의 공유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국 경제 시스템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다.[16]
민간 기업의 지분 일부를 국유 기업이 소유할 수도 있고 기업 분류에 사용되는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민간 부문의 정확한 규모를 파악하기는 어렵다.[33] 예를 들어, 2016년 1분기 중국 국가통계국은 민간 기업의 고정 투자가 35%, 전액 국영 국유기업의 고정 투자가 27%라고 보고했으며, 나머지 대부분은 전액 국영이 아닌 유한 책임 회사에 속한다.[33]
6. 경제 계획
1993년 중국 공산당은 계획 체계를 대대적으로 개편했다.[40] 계획 경제는 폐지되지 않았지만, 재정 정책 및 통화 정책과 함께 거시경제 통제의 핵심 메커니즘으로 재구성되었다.[40] 중국 관리들은 시장을 위한 계획을 세우고 주요 시장 동향(국내 및 국제 모두)을 다년간 정부 프로그램에 통합하라는 지시를 받았다.[40]
2003년, 국가계획위원회는 국가발전개혁위원회로 개편되었다. 지시 계획과 산업 정책이 물질 수지 계획을 대체했으며, 국가 및 민간 부문 모두의 시장 경제를 지도하는 데 상당한 역할을 하고 있다. 계획 시스템은 다음 세 계층으로 구성된다.
- 강제 계획: 연구, 교육 및 인프라 개발 계획을 포함한 전략 부문에서 운영되는 국유 기업으로 제한된다. 강제 계획은 목표 결과와 필요한 원자재 및 재정 자원의 공급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 계약 계획: 목표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반적인 수단을 설정한 다음 기업 및 지방 정부와 협상하여 세부 목표와 목표 부문에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을 설정한다.
- 지시 계획: 계획 시스템의 최하위 수준에서 작동하며, 정부는 산업 목표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다음 시장 수단(세금 감면, 보조금 및 우대 은행 대출)을 사용하여 목표 산업의 기업이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도록 유도한다.[41]
7. 평가 및 비판
많은 학자들이 중국의 경제 시스템을 국가 자본주의의 한 형태로 묘사하며, 국영 기업 이익 분배에 대한 우려를 제기한다.[16][17] 다른 학자들은 이를 "당-국가 자본주의"라고 명명했다.[9][10]
중국 경제학자 최지원은 제임스 미드의 자유주의적 사회주의 모델이 중국의 사회주의 시장 경제와 유사하다고 주장한다. 미드의 시장 사회주의 모델은 독립적인 경영을 갖춘 기업의 공공 소유를 포함하며, 국가는 기업이 창출한 이익에 대한 잔여 청구권자 역할을 하지만 기업의 경영 및 운영에 대한 통제권을 행사하지 않는다.[4]
두주란(Julan Du)과 서성강(Chenggang Xu)은 중국 모델이 시장 사회주의가 아니라 불안정한 형태의 자본주의라고 결론지었다.[19] 드폴 대학교의 글로벌 스터디즈 협회는 중국 경제 시스템이 사회주의를 구성하지 않는다고 보고했다.[20] 커티스 J. 밀하우프(Curtis J. Milhaupt)와 정원통(Wentong Zheng)은 중국의 경제 시스템을 국가 자본주의로 분류했다.[16]
사회주의 시장 경제 지지자들은 이를 1920년대 소련의 신경제정책과 비교한다.[21] 국무원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 주석이었던 리롱롱(Li Rongrong)은 국유 경제가 중국의 사회주의 현대화 운동에서 대체할 수 없는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전통적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사회주의 시장 경제가 모순적이라고 믿는다. 다른 사회주의자들은 중국이 자본주의적 경제 시스템을 만들었다고 믿는다.[23]
8. 유사 사례
베트남은 1986년 12월 쇄신 이후 사회주의 지향 시장경제를 채택했다.[42]
9. 관련 용어
- 네프
- 도이모이
- 개발 독재
- 시장 사회주의
- 국가 사회주의
- 국가 자본주의
- 단위(사회 조직)
참조
[1]
논문
The Socialist Market Economy: China and the World
2009-04-01
[2]
서적
Deng Xiaoping and the Transformation of China
Belknap Press
2011
[3]
웹사이트
Socialist Market Economic System
http://english.mofco[...]
Ministry of Commerce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04-06-25
[4]
논문
Making Sense of the Chinese 'Socialist Market Economy': A Note
2012
[5]
논문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conomic Structure of the Socialist Market Economy of China and the New Economy Policy
https://doi.org/10.1[...]
2021-10-02
[6]
서적
NO ANCIENT WISDOM, NO FOLLOWERS: The Challenges of Chinese Authoritarian Capitalism
https://books.google[...]
Easton Studio Press, LLC
2012-11-06
[7]
논문
Not Just Another Shadow Bank: Chinese Authoritarian Capitalism and the 'Developmental' Promise of Digital Financial Innovation
https://doi.org/10.1[...]
2020-04-15
[8]
웹사이트
An Analysis of State-owned Enterprises and State Capitalism in China
https://static1.squa[...]
[9]
논문
Party-State Capitalism in China
2021-09-01
[10]
논문
China's Party-State Capitalism and International Backlash: From Interdependence to Insecurity
2022-10-01
[11]
웹아카이브
Market Economy and Socialist Road
https://web.archive.[...]
[12]
서적
Mao and Markets: The Communist Roots of Chinese Enterprise
Yale University Press
2022-11-15
[13]
서적
Financial Markets in Vietnam's Transition Economy: Facts, Insights, Implications
VDM Verlag
2010
[14]
서적
Accidental Conflict: America, China, and the Clash of False Narratives
Yale University Press
2022
[15]
뉴스
China's reforms of the yuan exchange rate
https://www.reuters.[...]
2010-06-19
[16]
논문
Beyond Ownership: State Capitalism and the Chinese Firm
https://scholarship.[...]
2015-03-01
[17]
서적
China's State-Owned Enterprises: Nature, Performance and Reform
World Scientific Publishing Company
2012-10-22
[18]
웹사이트
China: A city social dividend proposal captures national attention
http://basicincome.o[...]
2017-07-30
[19]
간행물
Market Socialism or Capitalism? Evidence from Chinese Financial Market Development
IEA 2005 Round Table on Market and Socialism
2005
[20]
웹사이트
China: Market socialism or capitalism?
http://www.luc.edu/f[...]
[21]
웹사이트
The Leninist Heritage of the Socialist Market Economy
https://web.archive.[...]
[22]
웹사이트
China – "Socialist market economy" or just plain capitalism?
http://www.marxist.c[...]
2006-01-07
[23]
웹사이트
The Transition from State Capitalism to Private Capitalism: Is Capitalism Here to Stay?
https://web.archive.[...]
Mount Holyoke College
2003-06
[24]
뉴스
China cements Communist Party's role at top of its SOEs, should 'execute the will of the party'
https://www.scmp.com[...]
2020-01-08
[25]
법률
Zhōnghuá Rénmín Gònghéguó Quánmín Suǒyǒuzhì Gōngyè Qǐyè Fǎ
http://english.mofco[...]
[26]
웹사이트
New rules on democratic organization in Chinese enterprises
https://cms.law/en/c[...]
CMS
2012-07-20
[27]
논문
Staff and Workers' Representative Congress: An Institutionalized Channel for Expression of Employees' Interests?
2005-08-01
[28]
웹사이트
Hearing on Chinese State-Owned and State-Controlled Enterprises
http://www.uscc.gov/[...]
[29]
웹사이트
Investing in Chinese State-Owned Enterprises
https://insight.fact[...]
2019-12-17
[30]
웹사이트
How reform has made China's state-owned enterprises stronger
https://www.weforum.[...]
2020-05-21
[31]
뉴스
China's GDP Breaches 100 Trillion Yuan Threshold after Posting 2.3% Growth in 2020, Disposable Income up 4.7%
https://www.chinaban[...]
2021-01-18
[32]
웹사이트
The Biggest but not the Strongest: China's place in the Fortune Global 500
https://www.csis.org[...]
2020-08-18
[33]
웹사이트
China's SOE sector is bigger than some would have us think
http://www.eastasiaf[...]
2016-05-16
[34]
웹사이트
The Long march to the mixed economy in China
http://www.eastasiaf[...]
2015-02-15
[35]
뉴스
China rejects Singapore model for state-owned enterprise reform
https://www.ft.com/c[...]
2017-07-20
[36]
웹사이트
Reform pays dividends for state firms
http://www.chinadail[...]
2018-03-09
[37]
서적
SOE Dividends: How Much and to Whom?
World Bank
2005-10-17
[38]
웹사이트
China to transfer state assets to social security funds
http://www.chinadail[...]
2018-03-09
[39]
간행물
Whose Money? The Tug-of-war over Chinese state enterprise profits
https://www.files.et[...]
The Finnish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2011-04-00
[40]
서적
Red Swan: How Unorthodox Policy-Making Facilitated China's Rise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Press
2018-00-00
[41]
서적
The China Development Model: Between the State and the Market
Palgrave Macmillan UK
2015-00-00
[42]
웹사이트
Socialist-oriented market economy: concept and development
http://www.vietnamem[...]
Embassy of the Socialist Republic of Vietnam
2013-03-20
[43]
저널
중국특색의 사회주의 시장경제 연구
1995-00-00
[44]
웹인용
중국식 사회주의 시장경제의 단면
https://yonseisinolo[...]
2020-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