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아노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아노아는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섬과 부톤 섬에 서식하는 소과 동물로, 현존하는 야생 소 중 가장 작다. 저지대 아노아와 잡종 교배 가능성이 있으며, 두 종의 분류에 대한 논란이 있다. 어깨 높이 약 70cm, 몸무게 150-300kg이며, 털이 많고 털갈이를 한다. 열대 우림에 서식하며 단독 또는 쌍으로 생활하며, 멸종 위기에 처해 사냥과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아과 - 들소
들소는 소과 소아과 소족에 속하는 *Bison* 속에 분류되는 대형 초식동물이며, 아메리카들소와 유럽들소 두 종이 있으며, 현재 개체 수 회복 및 유전적 순수성 유지를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소아과 - 네뿔영양
네뿔영양은 인도 아대륙에 서식하며 네 개의 뿔을 가진 가장 작은 아시아 소과 동물 중 하나로, 서식지 감소와 밀렵으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어 보호받고 있다. - 1910년 기재된 포유류 - 맥코넬쌀쥐
- 1910년 기재된 포유류 - 사막피그미쥐
사막피그미쥐는 야행성 단독 생활을 하는 설치류로, 사육 환경에서 굴을 파거나 먹이를 숨기는 본능적인 행동을 보이며 깔끔한 습성을 가진다.
산아노아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Bubalus quarlesi |
명명자 | Ouwens, 1910 |
이명 | Anoa quarlesi |
분류 | |
속 | 아시아물소속 (Bubalus) |
종 | quarlesi |
보존 상태 | |
IUCN | 멸종 위기(EN) |
CITES | 부속서 I |
분포 및 서식지 | |
분포 지역 | 술라웨시섬 |
서식지 | 산악 지역 |
특징 | |
설명 | 몸집이 작은 소과의 동물로, 숲 속에서 서식한다. 위협을 받으면 공격적으로 행동할 수 있다. |
몸길이 | 약 150cm |
어깨 높이 | 약 75cm |
무게 | 약 400kg |
생태 | |
먹이 | 초식성 (풀, 과일 등) |
습성 | 단독 생활 또는 작은 무리 생활 |
위협 요인 | |
주요 위협 | 서식지 파괴, 사냥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Burton, J., Wheeler, P., & Mustari, A. (2016). Bubalus quarlesi.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e.T3128A46364433. doi:10.2305/IUCN.UK.2016-2.RLTS.T3128A46364433.en |
참고 문헌 | Burton, J., Hedges, S., & Mustari, A. H. (2005). The taxonomic status,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of the lowland anoa Bubalus depressicornis and mountain anoa Bubalus quarlesi. Mammal Review, 35(1), 25–50. doi:10.1111/j.1365-2907.2005.00048.x |
추가 정보 | |
보호 조치 | 서식지 보호 구역 지정, 사냥 금지 |
기타 | 야마아노아(ヤマアノア)라고도 불린다. |
2. 분류
산아노아는 소과 물소속에 속하며, 저지대 아노아와 함께 아노아 속을 구성한다. 멸종된 부발루스 그로베시(''Bubalus grovesi'')는 술라웨시 남부 지역에서 발견되었으며, 아노아 두 종 모두와 가까운 친척으로 보인다.[5] 과거에는 산아노아를 아노아의 아종으로 보기도 했다.
2. 1. 종의 구분 논란
아노아의 두개골로는 종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없다. 동물원 개체군에서 산아노아와 평지 아노아 사이에 잡종 교배가 이루어졌을 가능성도 높다. 두 종이 여러 지역에서 함께 서식하고 일부 상호 교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두 종이 서로 다른 종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4] 그러나 서로 다른 지역에서 채취한 10개체의 mtDNA를 연구한 결과, 두 종으로 식별된 개체 간에 높은 미토콘드리아 유전적 다양성이 나타났다. 이는 두 종을 আলাদা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4]3. 형태
산아노아는 현존하는 모든 야생 소 중에서 가장 작으며, 어깨 높이는 70cm이다. 저지대 아노아보다도 약간 더 작다. 두 종 모두 몸무게가 150kg에서 300kg 사이이다.[6] 산아노아는 저지대 아노아보다 더 길고 털이 많은 털을 가지고 있으며, 매년 털갈이를 통해 머리, 목, 사지에 희미한 반점이 나타나기도 한다.[6] 그로브스(1969)에 따르면, 산아노아는 크기가 작고, 뿔 단면이 둥글고, 털이 두껍고 많으며, 때로는 얼굴과 다리에 흰색 무늬가 있다는 점에서 다른 종과 구별된다. 외형은 작은 물소와 비슷하다.
몸길이는 150cm에서 180cm이다. 꼬리 길이는 17cm에서 25cm이고, 어깨 높이는 60cm에서 70cm이다. 목과 몸통은 굵다. 꼬리는 짧고, 끝이 발꿈치에 닿지 않는다. 전신은 엷은 갈색의 털로 덮여 있으며, 얼굴, 목, 발굽 위쪽이 흰 개체도 있다.
머리에는 알파벳 "V"자 모양으로 보이는, 직선으로 바깥쪽을 향하는 뿔이 돋아 있다. 뿔의 길이는 15cm에서 20cm이다. 좌우 뿔은 기부가 서로 붙어 있고, 기부의 단면은 원형이며, 뿔의 표면은 매끄럽다. 귓바퀴 안쪽은 짙은 갈색이다.
4. 생태
산지의 산림에 서식한다.
두 아노아 종 모두 인도네시아의 술라웨시 섬과 인근 부톤 섬에서 발견되며, 방해받지 않은 열대 우림 지역에 서식한다.[3] 대부분의 소와 달리 무리보다는 단독 또는 쌍으로 생활하며, 암소가 출산 직전일 때를 제외하고는 무리를 이루지 않는다. 이들의 생활사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러나 사육된 개체의 경우, 기대 수명은 20~30년이다. 아노아는 성적으로 성숙하기까지 2~3년이 걸리며, 1년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고, 드물게 그 이상을 낳는 경우도 있다.
식성은 식물성으로, 나뭇잎이나 풀, 과실을 먹는다.
번식 형태는 태생이다. 한 번에 1마리의 어린 새끼를 낳는다.
5. 분포
산아노아는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섬과 부톤 섬에서만 발견되는 고유종이다.[3] 이들은 방해받지 않은 열대 우림 지역에 서식한다.[3]
6. 인간과의 관계
두 종의 아노아는 모두 1960년대부터 멸종 위기에 처한 것으로 분류되었으며, 개체수는 계속 감소하고 있다. 각 종당 5,000마리 미만이 남아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개체수 감소의 원인으로는 현지인들의 가죽, 뿔, 고기를 위한 사냥과 정착지 확대로 인한 서식지 파괴가 있다. 현재 대부분 지역에서 사냥이 더 심각한 요인이다.[3]
개체수 감소의 주요 원인은 현지 주민들의 고기 사냥이며, 서식지 파괴 또한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보존 문제에 대한 인식이 있는 지역에서는 주민들이 그들의 활동에 대해 거짓말을 하기도 한다.[3]
벌목은 두 종 모두 인간과 그 영향에서 멀리 떨어진 핵심 삼림 서식지를 선호하기 때문에 큰 문제이다. 벌목을 통해 인간은 훨씬 더 파편화된 서식지를 만들고, 따라서 아노아가 번식하고 살 수 있는 지역이 줄어든다. 이러한 서식지 단편화는 또한 아노아 개체군의 자연적인 혼합을 변화시킨다. 이는 두 종 간의 유전적 다양성 감소로 이어질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체수 감소로 이어질 수도 있다.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 식용 및 뿔을 얻기 위한 무분별한 남획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급감하고 있다. 자세한 관찰 사례가 매우 적어, 개체 수는 물론 정확한 분포 지역조차 불분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7. 보전
산아노아는 1960년대부터 멸종 위기 종으로 분류되었으며, 개체 수는 계속 감소하고 있다. 각 종당 5,000마리 미만이 남아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개체 수 감소의 주요 원인은 현지인들의 가죽, 뿔, 고기를 위한 사냥과 정착지 확대로 인한 서식지 파괴이다. 현재 대부분 지역에서 사냥이 더 심각한 요인이다.[3]
개체 수 감소의 또 다른 주요 원인은 서식지 파괴이다. 현지 주민들은 산아노아 보존 관련 법적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연구자들과 수확량 및 사냥 관행에 대해 소통하는 데 열려 있다. 그러나 보존 문제에 대한 인식이 있는 지역에서는 주민들이 그들의 활동에 대해 거짓말을 하기도 한다.[3]
벌목은 두 종 모두 인간과 그 영향에서 멀리 떨어진 핵심 삼림 서식지를 선호하기 때문에 큰 문제이다. 벌목으로 인해 인간은 훨씬 더 파편화된 서식지를 만들고, 따라서 아노아가 번식하고 살 수 있는 지역이 줄어든다. 이러한 서식지 단편화는 아노아 개체군의 자연적인 혼합을 변화시켜 두 종 간의 유전적 다양성 감소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개체 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와 식용 및 뿔을 얻기 위한 무분별한 남획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급감하고 있으며, 자세한 관찰 사례가 매우 적어 개체 수는 물론 정확한 분포 지역조차 불분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조
[1]
간행물
Bubalus quarlesi
2016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학술지
The taxonomic status,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of the lowland anoa Bubalus depressicornis and mountain anoa Bubalus quarlesi
https://www.research[...]
2005-01
[4]
학술지
Anoa, dwarf buffalo from Sulawesi, Indonesia: Identification based on DNA barcode
https://www.research[...]
2018-11-01
[5]
서적
Evolution of Island Mammals: Adaptation and Extinction of Placental Mammals on Islands
Wiley
2021-04-27
[6]
웹사이트
Mountain anoa videos, photos and facts – Bubalus quarlesi – ARKive
http://www.arkive.or[...]
2011-10-02
[7]
간행물
Bubalus quarles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