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라딘의 수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살라딘의 수리는 12세기 아이유브 왕조의 창시자 살라딘이 사용한 문장에서 유래된 상징이다. 카이로 시타델에 조각된 독수리 형상에서 비롯되었으며, 17세기에는 쌍두 독수리로 묘사되기도 했다. 20세기 중반 이집트 혁명 이후 아랍 민족주의를 상징하는 문장으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재 이집트, 이라크, 팔레스타인, 예멘 등의 국장이나 문장에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2년 이집트 - 이집트 공화국의 역사
이집트 공화국의 역사는 1952년 혁명 이후 나세르, 사다트, 무바라크를 거쳐 엘시시 대통령 시대까지 이집트의 정치, 사회, 경제적 변화와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주요 사건들을 연대기적으로 다룬다. - 1952년 이집트 - 1952년 이집트 혁명
1952년 이집트 혁명은 자유장교단이 일으킨 군사 쿠데타로, 파루크 1세 폐위, 이집트 왕국 종식, 이집트 공화국 수립, 정치·경제·사회 구조 변화, 사회주의 정책 추진, 아랍 민족주의 확산 등에 영향을 미쳤다. - 범아랍주의 - 범아랍색
범아랍색은 아랍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빨간색, 흰색, 검은색, 녹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랍 반란 깃발에서 비롯되어 여러 아랍 국가의 국기에 영향을 주었고, 각 색상은 특정 왕조와 이슬람교를 상징하며 아랍 세계의 단결과 해방을 염원하는 정신을 담고 있다. - 범아랍주의 - 아랍 연맹
아랍 연맹은 1945년 창설된 아랍 국가들의 지역 기구로, 경제 개발, 분쟁 해결, 정치적 목표 조정을 목표로 하며 팔레스타인 문제에 깊이 관여하고 이스라엘 보이콧, 중동 전쟁 협력, 석유 파동 등의 활동을 했으며, 본부는 카이로에 위치하고 각국 대표로 구성된 이사회가 최고 의결 기구이다. - 살라딘 - 나짐 앗딘 아이유브
나짐 앗딘 아이유브는 12세기 쿠르드족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티크리트 지배자를 지냈고 장기 왕조 협력, 다마스쿠스 점령 기여, 아들 살라딘의 이집트 장악 역할 수행 등 아이유브 왕조 창시자 살라딘의 아버지이다. - 살라딘 - 시르쿠
시르쿠는 아르메니아 출신 쿠르드족으로, 아이유브 왕조의 시조 살라딘의 삼촌이며, 이집트 파티마 왕조의 내전에 개입하여 권력을 장악하고 와지르가 되었으나 두 달 만에 사망했다.
살라딘의 수리 | |
---|---|
살라딘의 수리 | |
![]() | |
아랍어 | نسر صلاح الدين (Nasr Ṣalāḥ ad-Dīn) |
아랍어 (이집트) | النسر المصري (an-Nasr al-Miṣrī) |
아랍어 (공화국) | النسر الجمهوري (an-Nasr al-Jumhūrī) |
기타 아랍어 | عقاب صلاح الدين ('uqāb Ṣalāḥ ad-Dīn) |
개요 | |
유형 | 헤럴딕 동물 |
2. 기원
살라딘의 수리는 12세기 아이유브 왕조의 창시자 살라딘이 사용한 문장에서 유래되었다. 카이로 시타델 서쪽 벽에 있는 큰 독수리 조각은 살라딘의 문장으로 여겨지지만, 역사적 자료로 확인되지는 않는다.[2] 이 독수리는 쌍두 독수리 상징은 살라딘의 형제 알 아딜 1세의 동전에도 사용되었다.[3]
2. 1. 카이로 성채의 독수리

살라딘 치세에 지어진 카이로 시타델 서쪽 벽에는 큰 독수리 조각이 있다. 이 독수리는 역사적 자료로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살라딘의 문장으로 여겨진다.[2] 오늘날 독수리는 머리가 없지만, 17세기 오스만 제국 탐험가 에브리야 첼레비는 쌍두 독수리였고, 밝은 색으로 칠해졌으며, 두 개의 구리 혀를 가지고 있었다고 묘사했다. 18세기 유럽 탐험가들도 비슷하게 묘사했다.[2] 돌 조각의 선은 벽의 선과 일치하지 않아, 나중에 현재 위치로 옮겨진 것으로 보인다. 이는 벽의 윗부분이 재건된 무함마드 알리 통치 기간일 가능성이 있다.[2] 쌍두 독수리 상징은 살라딘의 형제이자 술탄의 자리를 계승한 알 아딜 1세의 동전에 사용되었다.[3]
2. 2. 알 아딜 1세의 동전
쌍두 독수리 상징은 살라딘의 형제이자 술탄의 자리를 계승한 알 아딜 1세의 동전에 사용되었다.[3]
3. 현대사
1952년 이집트 혁명 이후 살라딘의 수리는 아랍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집트 혁명 지도자들은 아랍 해방을 위한 자신들의 노력을 살라딘의 업적과 연결시켰고, 살라딘의 수리를 아랍 해방 기에 포함시켰다.
이집트와 시리아가 아랍 연합 공화국을 형성했을 때, 살라딘의 수리는 새로운 국가의 문장이 되었다. 비록 이 연합은 오래가지 못했지만, 살라딘의 수리는 범아랍주의의 상징으로 계속 남아있었다. 북예멘 내전 이후 예멘 아랍 공화국과 남예멘이 살라딘의 수리를 문장으로 채택했고, 이라크 역시 라마단 혁명 이후 살라딘의 수리를 문장으로 사용했다. 리비아 아랍 공화국도 한때 살라딘의 수리를 사용했으나, 후에 쿠라이쉬의 매로 대체했다.
팔레스타인 국가는 1988년 국가 선언 이후 살라딘의 수리를 국장으로 채택하여,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3. 1. 이집트 혁명과 아랍 민족주의
1952년 이집트 혁명은 이집트 민족주의를 강하게 재확인하는 사건이었으며, 가말 압델 나세르 대통령 시기에는 아랍 민족주의를 고취시켰다. 특히 아랍-이스라엘 분쟁과 관련하여, 이집트 혁명 지도자들은 자신들의 아랍 해방 노력을 십자군 전쟁 당시 팔레스타인에서 아랍 세력을 통합했던 살라딘과 연결시켰다.[4]이집트 혁명 정부는 아랍 해방 기를 도입했는데, 이 깃발은 정통 칼리파조, 우마이야 칼리파조, 아바스 칼리파조, 파티마 칼리파조와 관련된 빨강, 흰색, 검정, 녹색을 담고 있었다. 이 깃발 중앙에는 금색 살라딘의 수리가 배치되었다. 이후 살라딘의 수리와 아랍 해방 기는 이집트 공화국 역사와 아랍 민족주의의 상징이 되었다.
1958년 이집트와 시리아가 연합하여 아랍 연합 공화국을 형성했을 때, 살라딘의 수리는 새로운 국가의 문장이 되었고, 아랍 해방 기는 국기의 기반이 되었다.
3. 2. 아랍 연합 공화국
1958년 이집트와 시리아가 연합하여 결성한 아랍 연합 공화국의 국장으로 살라딘의 수리가 채택되었다.[4] 1952년 이집트 혁명은 이집트 민족주의를 재확인하고, 가말 압델 나세르 통치하의 지역 아랍 민족주의를 강조했다. 특히 아랍-이스라엘 분쟁과 십자군 전쟁을 비교하며, 이집트 혁명 지도자들은 아랍 해방 노력과 살라딘의 노력을 연결했다. 이집트는 아랍 해방기에 살라딘의 수리를 배치하여 이집트와 아랍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삼았다. 아랍 연합 공화국을 형성했을 때, 살라딘의 독수리는 새로운 국가의 문장이 되었다.[4]3. 3. 범아랍주의의 상징
1952년 이집트 혁명은 이집트 민족주의를 다시 한번 강하게 드러냈으며, 가말 압델 나세르 통치하의 지역 아랍 민족주의, 특히 아랍-이스라엘 분쟁에서 두드러졌다. 이 분쟁을 십자군 전쟁과 직접적으로 비교하며, 이집트 혁명의 지도자들은 아랍 해방을 위한 자신들의 노력과, 이집트의 술탄으로서 팔레스타인에서 십자군에 대항하여 아랍 세력을 통합했던 중세의 살라딘의 노력을 연결했다. 1947-1949년 팔레스타인 전쟁 참전 용사인 무하마드 나기브와 가말 압델 나세르는 메디나의 정통 칼리파조, 다마스쿠스의 우마이야 칼리파조, 바그다드의 아바스 칼리파조, 이집트 카이로의 파티마 칼리파조와 관련된 빨강, 흰색, 검정, 녹색의 색상을 담은 아랍 해방 기를 도입했다. 그들은 깃발 중앙에 금색으로 묘사된 살라딘의 독수리를 배치했다. 그 이후로 살라딘의 독수리와 아랍 해방 기는 이집트 공화국 역사 및 더 넓은 아랍 민족주의의 대의와 불가분하게 연결된 상징이 되었다. 이집트가 1958년 시리아와 연합하여 아랍 연합 공화국을 형성했을 때, 살라딘의 독수리는 새로운 국가의 문장이 되었고, 아랍 해방 기는 깃발의 기초가 되었다.1961년 시리아의 쿠데타로 이집트-시리아 연합이 갑작스럽게 종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독수리는 범아랍주의를 열망하는 사람들에게 강력한 상징으로 남아있었다. 북예멘 내전 이후 1962년 북예멘 군주제가 전복되면서 독수리는 새로운 예멘 아랍 공화국의 예멘 문장이 되었고, 1967년에는 남예멘의 예멘 인민 민주 공화국의 상징이 되었다. 마찬가지로, 1963년 이라크의 아랍 사회주의 바트당 - 이라크 지부의 라마단 혁명으로 인해 이라크도 독수리를 이라크 문장으로 채택하게 되었다. 반대로, 리비아 아랍 공화국은 1969년에 독수리를 채택했지만, 나중에는 이집트, 시리아와 함께 1972년 아랍 공화국 연맹을 설립했을 때 쿠라이쉬의 매로 대체되었다.[4]
팔레스타인 국가는 1988년 국가 선언 이후 살라딘의 독수리를 채택한 가장 최근의 국가이다.
3. 4. 팔레스타인
1988년 팔레스타인 국가 선언 이후 팔레스타인의 국장에 살라딘의 수리가 채택되었다.[4]4. 사용
현재 이집트, 이라크, 팔레스타인, 예멘 등의 국가 및 쿠르드 자치구, 소말릴란드에서 살라딘의 수리를 국장 또는 문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4. 1. 이집트
1952년 이집트 혁명 이후 이집트는 현재까지 다양한 형태의 살라딘 수리 문장을 사용해 왔다.4. 2. 이라크
이라크는 1963년 라마단 혁명 이후 살라딘 수리 문장을 도입했다.4. 3. 팔레스타인
1988년 독립 선언 이후 팔레스타인의 국장으로 채택되었다.[1]국가 | 국장 | 채택일 |
---|---|---|
팔레스타인 | -- | 1988년 |
4. 4. 예멘
예멘은 북예멘 시절부터 통일 이후 현재까지 살라딘 수리 문장을 사용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Flags Through the Ages and Across the World
https://archive.org/[...]
McGraw-Hill
1975
[2]
서적
The Citadel of Cairo: A New Interpretation of Royal Mameluk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Brill
1995
[3]
간행물
Egypt: Descriptive, Historical, and Picturesque, Volume I
https://scholarship.[...]
Cassell & Company LTD
1878
[4]
서적
Culture, History and Ideology in the Formation of Ba'thist Iraq,1968-89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UK
[5]
서적
A Tale of Two Factions: Myth, Memory, and Identity in Ottoman Egypt and Yemen
https://archive.org/[...]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6]
서적
The Citadel of Cairo: A New Interpretation of Royal Mameluk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1995
[7]
저널
New Flags
1985
[8]
서적
Egypt: Descriptive, Historical, and Picturesque, Volume I
https://scholarship.[...]
Cassell & Company LTD
1878
[9]
서적
Culture, History and Ideology in the Formation of Ba'thist Iraq,1968-89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UK
[10]
서적
The Politics of National Celebrations in the Arab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서적
Translating Egypt's Revolution: The Language of Tahrir
https://books.google[...]
American University of Cairo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