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겹살 거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주 삼겹살 거리는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서문동에 있는 청주 서문시장 내에 조성된 340m 길이의 삼겹살 특화 거리이다. 2012년 춘천 닭갈비 골목을 벤치마킹하여 충청북도와 청주시의 지원을 받아 조성되었으며, 매년 삼겹살 축제를 개최하고 '청주 삼겹살데이'를 운영하는 등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청주시는 삼겹살 원조 도시를 표방하며, 달인 간장 소스와 파절이를 곁들인 '청주삼겹살'을 지역 대표 음식으로 육성하고 있다.

2. 청주 삼겹살 거리 조성

2012년, 청주시 서문시장 내 삼겹살 거리는 침체된 전통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조성되었다. 춘천시닭갈비 골목을 벤치마킹하여, 충청북도청주시의 지원을 받아 삼겹살 특화 거리로 만들어졌다.[1]

초기에는 시장 건물주 30여 명이 점포 리모델링 비용 문제로 참여를 반대했으나, 점차 개조하는 점포가 늘어나면서 2012년에 7개의 삼겹살 전문점으로 시작했다. 이후 5개 업소가 추가로 참여했고, 대형 요식업체인 선프라자도 입점했다. 청주시는 '청주삼겹살 스토리텔링' 공모전을 개최하고, 코레일의 'KTX 청주 시티투어' 참가자 등 외부 관광객에게 청주삼겹살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며 측면 지원에 나섰다.[5]

3. 관련 행사

매년 3월 3일 삼겹살 축제가 열린다. 3월 1일부터 3일간 진행되는 축제에는 인근 양돈 농가의 후원으로 돼지고기를 할인 판매하고, 삼겹살 무료 시식회도 진행한다.[1] 평소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삼겹살 등을 즐길 수 있다. 주말에는 다양한 푸드트럭을 운영하고 서문 풍물야시장을 개최하여 서문시장의 역사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청주시의 새로운 관광명소로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1] 삼겹살 거리 곳곳에는 다양한 돼지 모양의 캐릭터 포토존도 설치되어 있다. 또한 삼겹살거리 상인들은 매달 3일을 ‘청주 삼겹살데이’(삼소데이)로[6] 정해 삼겹살을 평소보다 저렴하게 판매하고 있다.[7]

4. 청주 유래설

청주시는 청주가 '삼겹살 원조 도시'라고 주장하며,[8] 달인 간장 소스와 파절이를 곁들이는 삼겹살을 ‘청주삼겹살’이라고 이름 붙여 지역 대표음식으로 육성하고 있다. 청주시는 달인 간장 소스와 각종 양념으로 파절이를 만드는 표준 조리법을 정립해 대중화하며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은 2021년 ‘청주 삼겹살 활성화 연구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한다.[10] 청주시는 조선 영조 때 전국 읍지를 모아 엮은 지리지 《여지도서》 기록과, 고려시대 송나라 사신 서긍이 쓴 《고려도경》 기록을 그 근거로 제시한다.[16]

또한, 청주에서 돼지고기를 많이 먹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삼겹살에 소금을 뿌려 먹는 시오야끼(しおやき, 소금구이)도[11] 청주에서 시작돼 전국으로 퍼져나갔다고 주장한다. 1960년대 청주에서 유행했던 시오야끼(소금구이)는 1970년대 달인 간장소스에 담가 먹는 방식으로 바뀌었고, 파절이를 곁들여 먹었으며 무쇠불판을 사용했다.

하지만 시오야끼(しおやき) 때문에 삼겹살의 기원이 일본이라고 오해할 수 있으나, 일본에서 시오야끼(しおやき)란 육류가 아니라 생선 조리법이며,[13] 정작 일본에서는 이 말을 잘 쓰지 않는다.[14]

4. 1. 역사적 근거

조선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에는 청주에서 매년 돼지를 제수용 공물로 바쳤으며, 이 고기는 조정 주관 춘추제례에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10] 이는 청주 지역의 돼지 사육이 활발했음을 보여준다.

'방자고기'는 씻지 않고 소금만 뿌려 구운 고기를 뜻하며,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어 있다.[15] 이는 '삼겹살 로스구이'의 원형으로 여겨진다. 고려시대 송나라 사신 서긍의 《고려도경》에도 '방자고기'에 대한 기록이 있다.[16]

동아일보 1923년 1월 2일 기사


1931년 방신영의 요리책 《조선요리제법》과[24] 1923년 1월 2일자 동아일보 기사에도[25] '방자고기'가 언급되는 등 여러 문헌에 등장한다.

4. 2. 조리법의 특징

청주 삼겹살은 달인 간장 소스에 삼겹살을 담갔다가 굽고, 파절이를 곁들여 먹는 것이 특징이다.[8] 1960~1970년대 청주에서 시작된 이 조리법은 돼지 잡내를 없애고 육질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방법이었다. 충북지역 방언으로 간장을 '지렁물'이라 하는데,[9] 이 지렁물을 달여서 만든 소스를 삼겹살을 불판에 올리기 전에 잠시 담가 놓는다.

1960년대 청주에서 유행했던 시오야끼(소금구이)는[11] 1970년대 들어 달인 간장소스에 담가 먹는 방식으로 바뀌었고, 각종 양념에 파채를 버무린 파절이도 곁들여 먹게 되었으며 불판도 무쇠불판으로 바뀌었다.[8]

시오야끼(しおやき) 때문에 삼겹살의 기원이 일본이라고 오해할 수 있으나, 일본에서 시오야끼(しおやき)란 육류가 아니라 생선 조리법이며,[13] 일본에서는 시오야끼(しおやき)라는 말을 잘 쓰지 않는다.[14] 한국에 '소금구이'라는 말이 없었고 소금구이를 대신하여 사용하던 '방자구이'란 말이 널리 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일제강점기의 영향으로 자연스럽게 외래어인 시오야끼(しおやき)라는 말을 사용했던 것뿐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도 등록되어 있는 '방자고기'란, '씻지도 않고 다른 양념 없이 소금만 뿌려 구운 고기'라 되어 있다.[15] 이 '방자구이'가 '삼겹살 로스구이'의 원조나 기원이라 할 수 있겠다.

4. 3. 시오야끼(しおやき)와의 관계

'시오야끼(しおやき)'는 일본에서 유래된 단어이지만, 한국에서는 소금구이를 의미하는 '방자구이'라는 말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일제강점기의 영향으로 널리 사용되었다.[12] 일본에서 시오야끼(しおやき)는 육류가 아니라 생선 조리법을 의미하며,[13] 일본에서는 이 용어를 잘 사용하지 않는다.[14] 이는 호텔(Hotel), 택시(Taxi)처럼 외래어가 사용된 것과 비슷한 경우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방자고기'는 '씻지도 않고 다른 양념 없이 소금만 뿌려 구운 고기'를 의미한다.[15] 이 '방자구이'가 '삼겹살 로스구이'의 원조라고 할 수 있다. '방자고기'와 '방자구이'는 고려시대 송나라 사신 서긍이 쓴 《고려도경》에도 기록되어 있다.[16] 1923년 1월 2일자 동아일보 기사에도 방자고기에 대한 언급이 있다.[25]

일본675년 불교의 영향으로 육식 금지령이 내려졌다가 1872년 메이지 유신 이후에야 해제되었지만,[17] 한반도는 몽고 침략으로[18] 13세기에 이미 육식 문화가 부활했다.[19] 따라서 육식 문화나 '삼겹살 구이'의 기원이 일본이라는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다만, 조선시대에는 돼지고기를 기피하고[20] 쇠고기를 선호했기 때문에[21][22][23] '방자구이'는 주로 쇠고기를 대상으로 했다. 1931년 출판된 방신영의 요리책 《조선요리제법》에도 '방자구이'가 언급되어 있다.[24] 결국 시오야끼(しおやき)는 1970년대 내려진 행정조치로 인해 일상에서 사라지게 되었다.[26]

참조

[1] 블로그 '[청주시 공식 블로그] 청주 서문시장 삼겹살 거리' https://blog.naver.c[...]
[2] 서적 돼지고기 계보학, 삼겹살의 시작 팜커뮤니케이션 2019
[3] 웹사이트 '[대한민국 구석구석] 돼지가 간장 소스에 빠진 날, 청주 삼겹살거리 2019.03.25.' https://korean.visit[...] 2019-03-25
[4] 백과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서문시장 [西門市場]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s://terms.naver.[...]
[5] 뉴스 청주 삼겹살 골목, 먹거리 명소로 뜬다 https://www.segye.co[...] 세계일보 2012-02-19
[6] 문서 삼겹살에 소주한잔 하는 날
[7] 웹사이트 '[대한민국 구석구석] 돼지가 간장 소스에 빠진 날, 청주 삼겹살거리 2019.03.25.' https://korean.visit[...] 2019-03-25
[8] 뉴스 삼겹살 원조는 청주···삼겹살거리서 3일부터 3일간 ‘1인분 1만원’ 행사 (2021.12.01) https://www.khan.co.[...] 경향신문 2021-12-01
[9] 사전 '[네이버 국어사전] 지렁물' https://ko.dict.nave[...]
[10] 뉴스 ‘청주삼겹살’ 홍보 나선 청주시 (2022.01.04) https://www.khan.co.[...] 경향신문 2022-01-04
[11] 사전 '[네이버 일본어 사전] しおやき' https://ja.dict.nave[...]
[12] 서적 돼지고기 계보학, 삼겹살의 시작 팜커뮤니케이션 2019
[13] 서적 돼지고기 계보학, 삼겹살의 시작 팜커뮤니케이션 2019
[14] 서적 돼지고기 계보학, 삼겹살의 시작 팜커뮤니케이션 2019
[15] 사전 《네이버 국어사전》 방자고기
[16] 서적 돼지고기 계보학, 삼겹살의 시작 팜커뮤니케이션 2019
[17] 뉴스 육식금지 일본 1200년만에 고기맛 즐기다…소설 '식도락 https://www.news1.kr[...] 뉴스1 뉴스
[18] 백과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몽고 침구 [蒙古侵寇]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s://terms.naver.[...]
[19] 서적 식문화의 뿌리를 찾아서 교보문고 1997
[20] 서적 식문화의 뿌리를 찾아서 교보문고 1997
[21] 서적 식문화의 뿌리를 찾아서 교보문고 1997
[22] 서적 교양을 위한 음식과 식생활 문화 대한교과서 1998
[23] 웹사이트 '[팜 인사이드] 황교익 삼겹살론 다시 생각하기 두번째 이야기 2018.10.15' http://www.farminsig[...] 2018-10-15
[24] 서적 돼지고기 계보학, 삼겹살의 시작 팜커뮤니케이션 2019
[25] 뉴스 자랑할 조선의 양념 1923.01.02 5면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23-01-02
[26] 서적 돼지고기 계보학, 삼겹살의 시작 팜커뮤니케이션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