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동초등학교 (울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동초등학교는 1927년 9월 12일 삼동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여 일제강점기 민족 교육에 힘썼다. 1996년 삼동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했고, 1999년 조일분교장을 통합했다. 2018년 다목적강당을 개관했으며, 2020년에는 3,058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학교 상징으로는 철쭉과 소나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주군의 초등학교 - 청량초등학교
청량초등학교는 1927년 개교하여 여러 차례 교명 변경과 시설 확충을 거쳐 울산광역시에서 운영되는 초등학교이며, 2018년 울산형 혁신학교로 지정되어 현재 20학급을 운영하고 교화는 장미, 교목은 향나무이다. - 울주군의 초등학교 - 천상초등학교
- 1927년 개교 - 홍농초등학교
홍농초등학교는 1927년 홍농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여 일제강점기를 거쳐 광복 후 홍농국민학교를 거쳐 1996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분교장 통폐합을 거쳤고 교화는 국화, 교목은 향나무, 교색은 노랑이다. - 1927년 개교 - 부용초등학교 (경기)
부용초등학교 (경기)는 1927년 개교하여 1996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연꽃과 은행나무를 상징으로 하는 경기도의 초등학교이다. - 울산광역시의 초등학교 - 태화초등학교
1975년 개교한 태화초등학교는 울산광역시에 위치하며, 우정초등학교와 명정초등학교로부터 학급이 편입되었고 병설유치원을 운영하며 2018년까지 총 10,728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 울산광역시의 초등학교 - 울산초등학교
울산초등학교는 1907년 개교하여 일제강점기 시기 교명 변경을 거쳐 광복 후 울산국민학교로 환원, 1996년 울산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2014년 유곡동 혁신도시로 이전한 울산광역시의 오랜 역사를 가진 초등학교이다.
삼동초등학교 (울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개교 | 1927년 9월 12일 |
설립 형태 | 공립 |
교장 | 양경용 |
교감 | 이미성 |
위치 |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동면 삼동로 788 (하잠리 953-2) |
학생 수 | 45명 (2020년 5월 1일) |
교직원 수 | 11명 (2020년 5월 1일) |
상징 | 철쭉(교화), 소나무(교목) |
관할 관청 | 강남교육지원청 |
웹사이트 | 삼동초등학교 |
2. 학교 연혁
- 1927년 9월 12일 '''삼동공립보통학교'''(4년제) 개교설립인가 5월 15일
- 1938년 4월 1일 '''삼동공립심상소학교''' 개칭[1]
- 1939년 4월 1일 6년제 인가
- 1941년 4월 1일 '''삼동공립국민학교''' 개칭[2]
- 1985년 3월 1일 조일분교장 본교 편입
- 1985년 9월 1일 병설유치원 인가
- 1996년 3월 1일 '''삼동초등학교'''로 개칭[3]
- 1996년 3월 12일 학교 급식 실시
- 1999년 3월 1일 조일분교장 통합
- 2018년 2월 9일 다목적강당 ‘솔빛마루’ 개관식[4]
- 2018년 3월 1일 제34대 양경용 교장 부임
- 2020년 2월 14일 제91회 졸업식(졸업생 6명, 계 3,058명)
- 2020년 3월 1일 초등 6학급, 유치원 1학급 편성
2. 1. 설립 초기 (1927년 ~ 1945년)
1927년 5월 15일 설립 인가를 받아 같은 해 9월 12일 '''삼동공립보통학교'''(4년제)로 개교하였다. 일제강점기였던 1938년 4월 1일에는 '''삼동공립심상소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1], 이듬해인 1939년 4월 1일 6년제 학제가 인가되었다. 이후 1941년 4월 1일 다시 '''삼동공립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2]2. 2. 해방 이후 (1945년 ~ 현재)
- 1985년 3월 1일 조일분교장 본교 편입
- 1985년 9월 1일 병설유치원 인가
- 1996년 3월 1일 '''삼동초등학교'''로 개칭[3]
- 1996년 3월 12일 학교 급식 실시
- 1999년 3월 1일 조일분교장 통합
- 2018년 2월 9일 다목적강당 ‘솔빛마루’ 개관식[4]
- 2018년 3월 1일 제34대 양경용 교장 부임
- 2020년 2월 14일 제91회 졸업식(졸업생 6명, 계 3,058명)
- 2020년 3월 1일 초등 6학급, 유치원 1학급 편성
3. 역대 교장
삼동초등학교는 1927년 개교 이래 많은 교장들이 거쳐갔다. 초대 교장은 박성렬이며,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인 赤ㆍ尙雄|아까시오jpn가 제2대 교장으로 부임하기도 했다. 박성렬 교장은 제3대 교장으로 다시 부임했으며, 광복 이후에는 이차삼이 제4대 교장(해방 후 초대)으로 부임했다. 이후 여러 교장들이 학교 발전에 기여했으며, 자세한 역대 교장 명단과 주요 활동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초대 ~ 16대
삼동초등학교의 초대 교장은 1927년 8월 23일에 부임한 박성렬이다. 일제강점기였던 1935년에는 일본인인 赤ㆍ尙雄|아까시오일본어가 제2대 교장으로 부임하기도 했으며, 박성렬 교장이 1938년 제3대 교장으로 다시 부임했다. 광복 이후인 1945년 9월 28일에는 이차삼이 제4대 교장(해방 후 초대)으로 부임했으며, 이후 1980년 9월 1일 제16대 엄순자 교장까지 이어졌다. 초대 박성렬 교장과 해방 이후 16대까지의 교장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3. 1. 1. 박성렬 교장 (1대, 3대)
박성렬 교장은 범서읍 척과리 출신으로, 1927년 8월 23일 삼동초등학교 초대 교장으로 부임했으며, 1938년 3월 31일 제3대 교장으로 다시 부임하여 총 15년간 학교장을 역임했다. 암울했던 일제강점기에 박성렬 교장은 민족의 정신(국혼)을 지키고 제자들에게 남다른 가르침을 주기 위해 헌신했던 교육자로 전해진다.학교 운동장의 감나무들은 당시 묘목을 구하기 어려웠던 상황에도 박 교장이 직접 구해 심은 것이다. 현재 총동창회(매년 양력 8월 첫 일요일 개최) 때마다 동문들이 감나무 앞에 모여 주먹밥을 먹는 풍습은 박 교장의 깊은 뜻을 기리는 아름다운 전통으로 이어져오고 있다. 학교 운동장 한편에는 그의 교육 열정과 제자 사랑을 기리기 위한 사도비(師道碑)가 세워져 있다.[5]
3. 1. 2. 해방 이후 교장
wikitext대수 | 성명 | 부임일 |
---|---|---|
제4대 | 이차삼 | 1945년 9월 28일 |
제5대 | 노진태 | 1955년 5월 9일 |
제6대 | 김종선 | 1957년 10월 1일 |
제7대 | 박봉관 | 1958년 4월 1일 |
제8대 | 손성길 | 1961년 10월 5일 |
제9대 | 손만석 | 1963년 11월 4일 |
제10대 | 박한엽 | 1965년 10월 16일 |
제11대 | 손영봉 | 1966년 10월 15일 |
제12대 | 신상기 | 1968년 6월 21일 |
제13대 | 김용하 | 1973년 3월 1일 |
제14대 | 이상식 | 1974년 3월 1일 |
제15대 | 조명승 | 1975년 9월 1일 |
제16대 | 엄순자 | 1980년 9월 1일 |
제17대 | 신우선 | 1984년 9월 1일 |
제22대 | 윤형규 | 1994년 3월 1일 |
제23대 | 전용균 | 1996년 3월 1일 |
제24대 | 심보구 | 1997년 3월 1일 |
제25대 | 이무남 | 1999년 3월 1일 |
제26대 | 최창영 | 2000년 3월 1일 |
제27대 | 김길평 | 2002년 10월 4일 |
제28대 | 성동영 | 2004년 3월 1일 |
제29대 | 이병옥 | 2006년 3월 1일 |
제30대 | 곽홍섭 | 2007년 3월 1일 |
제31대 | 김함섭 | 2010년 3월 1일 |
제32대 | 옥순대 | 2013년 3월 1일 |
제33대 | 김원돌 | 2014년 3월 1일 |
3. 2. 17대 ~ 현재
wikitext대수 | 성명 | 부임 일자 |
---|---|---|
제17대 | 신우선 | 1984년 9월 1일 |
제22대 | 윤형규 | 1994년 3월 1일 |
제23대 | 전용균 | 1996년 3월 1일 |
제24대 | 심보구 | 1997년 3월 1일 |
제25대 | 이무남 | 1999년 3월 1일 |
제26대 | 최창영 | 2000년 3월 1일 |
제27대 | 김길평 | 2002년 10월 4일 |
제28대 | 성동영 | 2004년 3월 1일 |
제29대 | 이병옥 | 2006년 3월 1일 |
제30대 | 곽홍섭 | 2007년 3월 1일 |
제31대 | 김함섭 | 2010년 3월 1일 |
제32대 | 옥순대 | 2013년 3월 1일 |
제33대 | 김원돌 | 2014년 3월 1일 |
4. 학교 상징
삼동초등학교의 교화는 철쭉이며, 교목은 소나무이다. 철쭉은 순수하고 진보적인 태도를, 소나무는 꿋꿋한 삼동인의 기상을 상징한다.
4. 1. 교화: 철쭉
백색과 홍자색의 소담한 자태와 그윽한 향기를 지닌 철쭉은 연약한 듯하면서도 강인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순수하고 소박한 성품을 배우며, 진보적인 태도로 선구자 역할을 다하자는 뜻을 담고 있다.4. 2. 교목: 소나무
소나무는 장수, 기개, 성실, 지조, 생명, 순결을 상징하는 나무로, 지조와 충절, 그리고 꿋꿋한 삼동인의 기상을 나타낸다.5. 학교 동문
삼동초등학교 출신 인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분류:삼동초등학교 (울산) 동문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6. 박성렬 교장 사도비
학교 운동장 한쪽에는 이 학교의 초대 및 3대 교장을 지낸 박성렬 교장의 교육 열정과 제자 사랑을 기리는 사도비(師道碑)가 세워져 있다. 범서읍 척과리 출신인 박성렬 교장은 1927년부터 15년간 이 학교의 교장으로 재직했다. 그는 암울했던 일제강점기에 민족의 정신(국혼)을 지키고 제자들에게 특별한 가르침을 주고자 헌신했던 교육자로 기억된다.[5]
학교에 있는 감나무들은 당시 묘목을 구하기 어려웠던 시절 박 교장이 직접 구해 심은 것이다. 현재 매년 양력 8월 첫째 주 일요일에 열리는 총동창회에서는 동문들이 이 감나무 앞에 모여 주먹밥을 나누어 먹는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 이는 박 교장의 깊은 뜻을 되새기는 아름다운 풍습으로 자리 잡았다.[5]
참조
[1]
법령
칙령 제103호 (제3차 조선교육령)
1938-03-03
[2]
법령
칙령 제148호 (국민학교령)
1941-02-28
[3]
법령
대통령령 제5069호
1995-12-29
[4]
뉴스
삼동초 다목적체육관 `솔빛마루` 개관식
http://kyilbo.com/21[...]
2018-02-11
[5]
뉴스
'師道碑(사도비)'로 참스승 되새긴다.
http://www.iusm.co.k[...]
2007-05-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