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삼성종합기술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삼성종합기술원은 인공지능, 컴퓨팅 플랫폼, 인간 능력 확장 기술, 메타포토닉스, 나노 전자 공학, 디스플레이 기술, 배터리 기술, 반도체 기술, 환경 분야 등을 연구하는 삼성의 연구 기관이다. 1996년 DVD 플레이어 기술 개발, 1998년 MPEG4 코딩 기술 국제 표준화 기여, 1999년 탄소 나노 튜브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완성 등의 연구 성과를 냈다. 전 세계에 글로벌 R&D 센터와 AI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연구소 - 민족문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소는 일제강점기 친일파 규명과 잔재 청산을 목표로 설립되어 친일인명사전 편찬 등의 활동을 펼치고 있으나, 선정 기준 논란 및 편향성 논란 등으로 보수 진영과 갈등을 겪는 연구기관이다.
  • 대한민국의 연구소 - 세종연구소
    세종연구소는 외교, 안보, 통일 전략 등을 연구하는 대한민국의 재단법인 연구소로, 사회 공헌 및 교육 사업도 수행하며 세종 코멘터리 등의 연구 결과물을 발표한다.
삼성종합기술원
기본 정보
삼성 로고
삼성 로고
기업 종류주식회사
산업연구 개발
설립1987년 12월 22일
본사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핵심 인물황성우 (사장)
모기업삼성전자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상세 정보
전체 직원2,000명 이상 (2023년)
위치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대한민국 수원시 영통구
주요 활동선행 기술 연구 개발
주요 연구 분야AI
머신러닝
로봇공학
첨단 소재
신소재
헬스케어
차세대 통신
컴퓨팅 플랫폼
수상2020 대한민국 최고 과학기술인상 (황성우 사장)
IEEE Corporate Innovation Award (2023)
주요 연혁1987년 12월: 삼성종합기술원 설립
1991년: 연료 전지 개발 시작
1995년: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 연구 시작
2000년: 디지털 TV 기술 개발
2005년: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개발
2010년: 헬스케어 기술 개발
2015년: 인공지능 연구 시작
2020년: 로봇 연구 시작
2023년: IEEE Corporate Innovation Award 수상

2. 주요 연구 분야

삼성종합기술원은 다양한 최첨단 기술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인공지능(AI): 기초 인공지능 시스템, 시각 인식 및 처리, 자연어 처리, 자동 음성 인식(ASR), 기계 번역(MT), 딥 러닝, 반도체 재료 설계 자동화 기술을 연구한다.
  • 컴퓨팅 플랫폼: 뉴럴 프로세서, 뉴로모픽 프로세서, 메모리 처리, 고성능 컴퓨팅, 암호화 기술, 소프트웨어 공학(SE)을 연구한다.
  • 인간 능력 확장 기술: 증강 현실 기술, 혈압·ECG 신호·항산화 레벨 측정 감시 기술 등을 연구한다.
  • 메타포토닉스: 인공 나노 구조 기술,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자유 공간 광 통신 등을 연구한다.
  • 나노 전자 공학: 양자 컴퓨터, NanoLED 디스플레이를 연구한다.
  • 디스플레이 기술: OLED(유기 EL), QLED(양자 배열 액정), 페로브스카이트, 유기 이미지 센서, MicroLED 등을 연구한다.
  • 배터리 기술: 스마트 기기용 리튬 이온 배터리, 의료 기기·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등을 연구한다.
  • 반도체 기술: 그래핀·2차원 재료를 사용한 반도체 기술, DRAM, VNAND, 5G 모뎀, AP, 집적 회로 장치, 카메라 이미지 센서, 태양 전지 등을 연구한다.
  • 환경: 나노 입자·가스용 센서, 입자·가스 제거용 촉매, 유지 보수가 필요 없는 공기 정화 장치 등을 연구한다.

2. 1. 인공지능 (AI)

기초 인공지능(AI) 시스템, 시각 인식, 시각 처리, 자연어 처리, 자동 음성 인식(ASR), 기계 번역(MT), 딥 러닝, 반도체 재료 설계 자동화 기술을 연구한다.[1]

2. 2. 컴퓨팅 플랫폼

뉴럴 프로세서, 뉴로모픽 프로세서, 메모리 처리, 고성능 컴퓨팅, 암호화 기술, 소프트웨어 공학(SE)을 연구한다.

2. 3. 인간 능력 확장 기술

증강 현실 기술, 혈압·ECG 신호·항산화 레벨 측정 감시 기술 등을 연구한다.[1]

2. 4. 메타포토닉스

인공 나노 구조 기술,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자유 공간 광 통신 등을 연구한다.[1]

2. 5. 나노 전자 공학

양자 컴퓨터, NanoLED 디스플레이를 연구한다.

2. 6. 디스플레이 기술

OLED(유기 EL), QLED(양자 배열 액정), 페로브스카이트, 유기 이미지 센서, MicroLED 등을 연구한다.

2. 7. 배터리 기술

스마트 기기용 리튬 이온 배터리, 의료 기기·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등을 연구한다.[1]

2. 8. 반도체 기술

그래핀·2차원 재료를 사용한 반도체 기술, DRAM, VNAND, 5G 모뎀, AP, 집적 회로 장치, 카메라 이미지 센서, 태양 전지 등을 연구한다.

2. 9. 환경

나노 입자·가스용 센서, 입자·가스 제거용 촉매, 유지 보수가 필요 없는 공기 정화 장치 등을 연구한다.

3. 주요 연구 성과

4. 시설

삼성종합기술원은 대한민국 내 연구 시설 외에도 여러 국가에 글로벌 R&D 센터와 글로벌 AI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4. 1. 글로벌 R&D 센터

국가연구소명
미국삼성 리서치 아메리카
영국삼성전자 연구소 영국
폴란드삼성전자 연구소 폴란드
러시아삼성전자 연구소 러시아
우크라이나삼성전자 연구소 우크라이나
이스라엘삼성전자 연구소 이스라엘
요르단삼성전자 연구소 요르단
인도 방갈로르삼성 연구소 인도-방갈로르
필리핀삼성 연구소 필리핀
인도네시아삼성 연구소 인도네시아
중국 베이징삼성 종합 기술원 중국 베이징
중국 난징삼성 종합 기술원 중국 난징
일본 요코하마삼성 종합기술원 재팬-요코하마
일본 오사카삼성 종합기술원 재팬-오사카


4. 2. 글로벌 AI 센터

센터명위치
삼성 리서치 AI 센터대한민국
삼성 리서치 아메리카 AI 센터미국
삼성 AI 센터 - 뉴욕뉴욕
삼성 AI 센터 - 토론토토론토
삼성 AI 센터 - 몬트리올몬트리올
삼성 AI 센터 - 케임브리지케임브리지
삼성 AI 센터 - 모스크바모스크바


참조

[1] 웹사이트 Samsung Advanced Institute of Technology Official Global Site https://www.sait.sam[...] Samsung Advanced Institute of Technology 2020-03-14
[2] 웹사이트 Global Labs https://www.sait.sam[...] Samsung Advanced Institute of Technology 2020-03-14
[3] 웹사이트 Global R&D Networks https://research.sam[...] Samsung Research 2020-03-1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