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유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성(삼성)은 유식학에서 제시하는 세 가지 본성, 즉 파리카르피타(변계소집성), 파라탄트라(의타기성), 파리니슈판나(원성실성)를 의미한다. 파리카르피타는 현실을 왜곡된 방식으로 인식하는 상태를, 파라탄트라는 모든 존재가 원인과 조건에 의존하여 나타난다는 것을, 파리니슈판나는 의식과 대상의 비이원성을 통해 궁극적인 실재를 나타낸다. 삼성은 유식의 핵심 개념으로, 현실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깨달음을 얻도록 하는 가르침을 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뢰야식 - 소지법
소지법은 불교 유식유가행파에서 붓다의 깨달음의 대상을 포함하는 모든 존재와 현상의 인식 대상을 의미하며, 네 가지 지혜를 통해 고통에서 벗어나는 방법과 세속적인 지혜를 제공하고 삼성 및 제8아뢰야식과 관련됩니다. - 아뢰야식 - 뢰야삼위
뢰야삼위는 유식유가행파에서 윤회를 벗어나 열반에 이르기 위한 수행 과정을 아뢰야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설명하는 세 단계의 계위 구분으로, 아애집장현행위, 선악업과위, 상속집지위로 나뉜다. - 법체계 (불교) - 십팔계
십팔계는 불교에서 세계를 인식하는 방식으로 6근, 6경, 6식으로 구성되며, 초기불교부터 사용된 일체법의 분류 체계 중 하나로 마음을 세분화한 것이다. - 법체계 (불교) - 십이처
십이처는 불교의 존재론적 분류 체계로, 6내처(감각 기관)와 6외처(인식 대상)를 통해 물질과 마음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도록 가르치는 개념이다. - 불교 사상 - 아라한
아라한은 불교에서 깨달음을 얻어 존경받는 성자를 뜻하는 말로, 부파불교 이후 부처와 구분되어 제자들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경지로 여겨지며, 대승불교에서 그 개인적 해탈 추구가 폄하되기도 하지만 숭배의 대상이 되기도 하는 등 불교 전통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불교 사상 - 사향사과
사향사과는 초기 불교 경전에서 영적 성취 수준에 따라 불교 수행자를 수다원, 일래자, 불환자, 아라한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 용어이며, 수행과 결과에 따라 8가지 종류로 세분화된다.
삼성 (유식) | |
---|---|
삼자성 | |
범주 | 유식 |
산스크리트어 | 트리svabhāva |
로마자 표기 | trisvabhāva |
티베트어 | རང་བཞིན་གསུམ |
와일리 | rang bzhin gsum |
중국어 | 三自性 |
병음 | sān zì xìng |
일본어 | 三自性 (さんじしょう) |
한국어 | 삼자성 |
설명 | 유식불교에서 마음이 대상을 인지하는 세 가지 방식 |
세 가지 양상 | |
변계소집성 | 다른 것에 의존하는 상상적 본성 |
의타기성 | 타자에 대한 의존성 |
원성실성 | 완벽하게 실현된 본성 |
2. 의미와 해석
유식에서 언급되는 삼성(三性)은 파리카르피타(Parikalpitā), 파라탄트라(Paratantra), 파리니슈판나(Pariṇiṣpanna)이다. 파리카르피타는 "불순한" 또는 "상상적인" 본성을, 파라탄트라는 사물의 의존적인 본성을, 파리니슈판나는 완전한 본성을 의미한다.[1][2]
2. 1. 파리카르피타 (변계소집성)
Parikalpitā|파리카르피타sa (중국어: 遍計所執性)는 "불순한" 또는 "상상적인" 본성으로, 객체가 그것을 인식하는 의식과 분리되어 존재하는 실체로서 잘못 인식되는 본성을 말한다. 유식학 분석에서, 객체는 지각하는 주체와 별도로 존재하지 않으며, 의식에 의존하여 존재하게 되는데, 의식은 다시 여덟 번째 의식, 즉 아라야식에 존재하는 종자로부터 생성된다. 그러나 무명 때문에 주체와 객체는 서로 분리된 것으로 상상된다.[1]2. 2. 파라탄트라 (의타기성)
사물의 의존적인 본성은 모든 객체와 주체가 존재하기 위해 원인과 조건에 의존한다는 전통적인 진실(연기)을 말한다. 즉, 무상한 현상은 스스로를 생성할 수 없다.2. 3. 파리니슈판나 (원성실성)
Pariṇiṣpanna|파리니슈판나sa(중국어: 圓成實性)는 완전한 본성으로, 의식과 그 객체 사이의 비이원성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객체를 인식하는 의식과 분리된 객체의 부재를 의미한다. 이것은 현실의 완성된 성격으로 이해될 수 있다.[2]참조
[1]
서적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https://www.oxfordre[...]
2017
[2]
서적
The third turning of the wheel: wisdom of the Samdhinirmocana sutra
Rodmell Press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