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순스포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순스포르는 1965년에 창단된 터키의 축구 클럽이다. 1989년 버스 참사로 기술 고문과 선수들을 포함한 7명이 사망하는 비극을 겪었다. 1994년 발칸 컵에서 우승했으며, 1993-94 시즌에 1부 리그로 복귀하여 13시즌을 잔류했다. 현재는 튀르키예 수페르리그에 소속되어 있으며, 과거 UEFA 인터토토컵과 발칸컵에 참가한 경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쉬페르리그 구단 - 안탈리아스포르
안탈리아스포르는 1966년 창단된 튀르키예 안탈리아의 축구 클럽으로, 쉬페르리그와 TFF 1리그를 오가며 활동했고, 튀르키예컵 준우승 2회, UEFA 인터토토컵과 UEFA컵에 참가했으며, 현재 안탈리아 스타디움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FC 오사카와 제휴 관계를 맺고 있다. - 쉬페르리그 구단 - 갈라타사라이 SK (축구)
갈라타사라이 SK는 1905년 창단된 튀르키예 프로 축구 클럽으로, 쉬페르리그 최다 우승 및 튀르키예컵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2000년 UEFA컵과 UEFA 슈퍼컵을 석권한 튀르키예 축구의 명문 클럽이다. - 1965년 설립된 축구단 - 블라우블리츠 아키타
블라우블리츠 아키타는 TDK 축구부로 시작하여 도호쿠 지역 리그에서 강세를 보이다 2010년 독립 후 2014년 J3리그에 데뷔, 두 번의 우승 끝에 34년 만에 J2리그로 승격한 아키타현의 프로 축구팀이다. - 1965년 설립된 축구단 - 알나스르 SC (쿠웨이트)
알나스르 SC는 쿠웨이트의 축구 클럽으로, 쿠웨이트 1부 리그에서 3회 우승, 쿠웨이트 페더레이션컵에서 1회 우승했으며, AFC컵과 GCC 챔피언스리그에도 참가한 기록이 있다. - 축구 리그 - 프리미어리그
프리미어리그는 1992년 잉글랜드 1부 리그 클럽들이 풋볼 리그에서 독립하여 창설된 잉글랜드 최상위 프로축구 리그로, 20개 클럽이 참가하여 승점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며, UEFA 챔피언스리그 및 유로파리그 진출과 EFL 챔피언십 강등이 결정되는 인기와 수익이 높은 리그이다. - 축구 리그 -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2-13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2-13은 이탈리아 축구 연맹이 주관한 12번째 리그로, 올림픽 성적 부진 이후 지역별 예선 및 전국 결선 방식으로 개편되었으며, 프로 베르첼리가 우승하여 리그 3연패를 달성했다.
삼순스포르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클럽 정보 | |
클럽명 | 삼순스포르 |
원어 명칭 | Samsunspor Kulübü Derneği |
별칭 | Kırmızı Şimşekler (붉은 번개) |
약칭 | 없음 |
창단 | 1965년 6월 30일 (58년 전) |
홈구장 | 삼순 스타디움 |
수용 인원 | 33,919명 |
소유주 | 윅셀 이을드름 |
축구 디렉터 | 푸아트 차파 |
감독 | 토마스 라이스 |
리그 정보 | |
리그 | 쉬페르리그 |
시즌 | 2024–25 시즌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유니폼 정보 | |
![]() | |
![]() | |
![]() |
2. 역사
1965년 6월 30일에 창단되었다.[28]
1989년 1월 20일, 선수단을 태운 버스가 이동 중 트럭과 충돌하는 비극적인 사고가 발생하여 기술 고문 누리 아산과 선수 5명(무자페르 바달리오글루, 메테 아다니르, 조란 토미치, 외르데르 무스타파오글루, 뮈즈다트 귈수), 운전사 아심 외즈칸 등 총 7명이 사망했다. 이 사건 이후 클럽은 희생자들을 추모하며 기존의 빨간색과 흰색 유니폼에 검은색을 추가했다.[29]
1994년에는 발칸 컵 결승에서 그리스의 PAS 얀니나 FC를 꺾고 우승하여 클럽 역사상 첫 국제 대회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2. 1. 창단 초기 (1965~1975)
삼순스포르는 1965년 6월 30일에 창단되었다.[28] 1965-66 시즌, 당시 2부 리그였던 TFF 1부 리그에 참가하며 프로 리그에 처음 진출했다. 1965년 9월 5일에 열린 첫 프로 리그 경기에서 예실디레크 SK를 상대로 니하트 세르체메(Nihat Serçeme)의 골에 힘입어 1-0으로 승리했다. 이 골은 삼순스포르의 리그 첫 득점으로 기록되었다. 해당 시즌 리그에서는 백색 그룹 5위를 차지했다.[5] 같은 해 터키 컵에서는 1라운드에서 귈레슈스포르(Güneşspor)를 이겼으나, 2라운드에서 페트롤스포르(Petrolspor)에게 1-2로 패배했다.[6]다음 1966-67 시즌에는 더 나은 성적을 거두어, 2부 리그에서 부르사스포르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7] 터키 컵에서는 코냐스포르, 아다나스포르, 마니사스포르, 갈라타사라이, 페네르바흐체를 차례로 꺾고 준결승까지 진출했으나, 괴즈테페에게 합계 2-5로 패하며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다. 1967-68 시즌에도 2부 리그 2위를 차지했지만, 터키 컵에서는 첫 라운드에서 탈락했다.[8][9]
1968-69 시즌, 삼순스포르는 2부 리그의 베야즈 그룹(백색 그룹)에서 2위 볼루스포르를 제치고 1위를 차지하며 처음으로 1부 리그(쉬페르리그) 승격을 확정지었다. 당시 2부 리그는 두 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있었기 때문에, 각 그룹 우승팀이 챔피언 결정전을 치렀다. 결승전에서는 앙카라귀쥐에게 0-1로 패배했다.[10]
1부 리그에서의 첫 시즌인 1969-70 시즌에는 리그 5위를 기록하며 준수한 성적을 거두었으나, 발칸 컵 진출 자격 획득에는 아쉽게 실패했다. 이 시즌 동안 11승 9무 10패, 24득점 28실점을 기록했다.[11] 다음 1970-71 시즌에는 리그 10위를 기록했으며, 터키 컵에서는 2년 연속으로 첫 라운드에서 탈락했다.[12][13]
5시즌 동안 1부 리그에서 경쟁한 후, 삼순스포르는 1974–75 시즌에 리그 15위를 기록하며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이에 따라 바스리 디리믈리 감독이 해임되었고, 카무란 소이키라이(Kamuran Soykıray)가 팀으로 복귀했다.
2. 2. 황금기 (1970년대 후반~1980년대)
1970년대 후반, 당시 클럽 회장이었던 엔데르 첸기즈는 축구팀 강화를 위해 지역 인재를 복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뿌리 복귀'(öze dönüştur) 정책을 도입했다.[15] 1980년대 중반, 삼순스포르는 터키 축구 1부 리그에서 몇 차례 주요 성공을 거두었다. 1984-85 시즌에 2부 리그에서 승격한 후, 삼순스포르는 1985-86 시즌에 탄주 콜라크가 33골을 기록하며 터키 1부 리그에서 3위를 차지했다.[16] 다음 시즌인 1986-87 시즌은 클럽 역사상 최고의 시즌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탄주 콜라크가 25골을 넣으며 리그 득점왕을 차지했고, 팀은 리그 3위를 기록했으며 연맹컵 준결승에 진출했다.[5] 이어진 1987-88 시즌에는 리그 4위로 마쳤고 터키 컵 결승에 진출하는 성과를 냈다. 컵 결승까지 네브셰히르스포르, 우샤크스포르, 코자엘리스포르, MKE 앙카라귀쥐를 차례로 꺾었으나, 결승전에서는 사카르야스포르에게 패배하여 준우승에 머물렀다.2. 3. 1989년 버스 참사
1989년 1월 20일 오전 9시 30분, 말라티아에서 말라티아스포르와의 원정 경기를 위해 이동하던 삼순스포르 선수단을 태운 버스가 트럭과 정면으로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3][17][29] 이 사고는 터키 축구 역사상 비극적인 사건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29]이 사고로 기술 고문이었던 누리 아산 감독, 선수 5명(무자페르 바달리오글루, 메테 아다니르, 조란 토미치, 외르데르 무스타파오글루, 뮈즈다트 귈수), 그리고 버스 운전사 아심 외즈칸 등 총 7명이 사망했다.[29] 특히 당시 유고슬라비아 출신 선수였던 조란 토미치는 사고 후 6개월 동안 혼수상태에 빠져 있다가 고국에서 사망했다.[3][17]
이 외에도 선수 7명이 중상을 입었다.[3][17] 당시 팀 주장이었던 에민 카르는 이 사고로 하반신 마비 판정을 받아 선수 생활을 마감해야 했다. 터키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전 골키퍼이기도 했던 파티흐 우라즈는 허리 척추 골절상을 입었으며, 이후 선수로 복귀했지만 국가대표팀이나 클럽팀에서 주전 자리를 되찾지는 못했다.[3][17] 부상당한 선수 중 2명은 선수 생활을 계속할 수 있었다.[3][17]
사고 이후, 삼순스포르는 기존 유니폼 색상인 빨간색과 흰색에 더해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의미로 검은색을 추가하기로 결정했다.[29]
2. 4. 승격과 강등 (1990년대~현재)
1993-94 시즌에 다시 1부 리그에 참가했으며, 이후 13시즌 동안 1부 리그에 머물렀다. 복귀 첫 시즌에는 리그 5위를 기록했고, 튀르키예 쿠파스 준결승까지 진출했다. 1994-95 시즌과 1995-96 시즌에는 연이어 리그 8위를 차지했으며, 두 시즌 모두 튀르키예컵 준결승에 올랐다.[5] 게오르게 물체스쿠 감독이 부임한 첫 시즌인 1996-97 시즌에는 리그 9위를 기록했지만, UEFA 인터토토컵에서는 성과를 거두었다.그러나 2005-06 시즌 리그 17위에 그치며 당시 1부 리그였던 수페르리그에서 강등되었다. 2006년부터 2011년까지는 2부 리그인 TFF 1. 리기에서 경쟁했으며, 2010-11 시즌에는 리그 챔피언 메르신 이드만 유르두에 이어 준우승을 차지하며 다시 1부 리그로 승격했다. 하지만 승격 한 시즌 만인 2011-12 시즌에 다시 강등되었다.
2012년 2월, 원정 경기를 마치고 돌아오던 팀 버스가 건널목에서 기차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여 선수 두 명이 부상을 입었다.[18]
이후 2017-18 시즌에는 클럽 역사상 처음으로 3부 리그인 TFF 2. 리기로 강등되는 아픔을 겪었다.
3. 경기장
# | 경기장 | 연도 | 사용 기간 |
---|---|---|---|
1 | 삼순 시립 경기장 | 1965–1975 | 10년 |
2 | 칸크 19 Mayıs 경기장 | 1975–2017 | 32년 |
3 | 삼순 19 Mayıs 경기장 | 2017– | 현재까지 |
4. 선수단
삼순스포르에서 활동했던 선수들의 전체 목록은 :분류:삼순스포르의 선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9월 21일 기준)
등번호 | 국적 | 포지션 | 이름 | 비고 |
---|---|---|---|---|
1 | 튀르키예 | 골키퍼 | 오칸 코추크 | |
2 | 기니비사우 | 수비수 | 나누 | |
4 | 네덜란드 | 수비수 | 릭 판 드롱겔렌 | |
5 | 튀르키예 | 미드필더 | 제릴 윅셀 | |
6 | 모로코 | 미드필더 | 유세프 아잇 벤나세르 | |
7 | 알바니아 | 미드필더 | 아브노르 무야 | |
8 | 튀르키예 | 미드필더 | 소네르 아이도두 | |
9 | 차드 | 공격수 | 마리우스 무안딜마지 | |
10 | 카메룬 | 미드필더 | 올리비에 은참 | |
11 | 튀르키예 | 미드필더 | 엠레 킬린치 | |
12 | 튀르키예 | 미드필더 | 알페르 에페 파자르 | |
13 | 프랑스 | 미드필더 | 플라비앙 테이트 | |
14 | 벨기에 | 공격수 | 란드리 디마타 | |
16 | 잉글랜드 | 수비수 | 마크 볼라 | |
17 | 가나 | 미드필더 | 킹슬리 신들러 | |
18 | 튀르키예 | 수비수 | 제키 야브루 | 주장 |
20 | 튀르키예 | 미드필더 | 무함메트 알리 외즈바스퀴지 | |
21 | 덴마크 | 미드필더 | 카를로 홀세 | |
27 | 콩고 민주 공화국 | 공격수 | 가에탕 로라 | |
28 | 튀르키예 | 수비수 | 소네르 괼뉼 | |
29 | 오스트리아 | 공격수 | 에르잔 카라 | |
37 | 슬로바키아 | 수비수 | 류보미르 사트카 | |
45 | 튀르키예 | 골키퍼 | 할릴 예랄 | |
55 | 튀르키예 | 수비수 | 유누스 엠레 치프트 | |
65 | 코트디부아르 | 미드필더 | 무사 겔 | |
66 | 튀르키예 | 수비수 | 엘라노 예겐 | |
72 | 튀르키예 | 수비수 | 무스타파 탄 | |
90 | 튀르키예 | 골키퍼 | 무아메르 이을드름 | |
96 | 튀르키예 | 수비수 | 베디르한 체틴 | |
— | 튀르키예 | 공격수 | 베르한 데니즈 | |
— | 튀르키예 | 수비수 | Ali Ülgen | 볼루스포르에서 임대 (2025년 6월 30일까지) |
4. 2. 코칭 스태프 (2024년 9월 21일 기준)
마르쿠스 겔하우스카디르 튀튈쥐
바이칼 아이든르
유누스 엠레 젠긴
에르도안 악치체크
파티흐 세페치
무스타파잔 카라
에르타스 심셰크
오르한 윈렌
알리 사을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