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 (위만조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은 위만조선의 인물로, 전한 무제가 위만조선을 공격했을 때 최를 시켜 우거왕을 살해하고 전한에 투항했다. 그는 홰청후에 봉해졌으며, 삼한과 한나라의 교역을 가로막던 우거왕의 정책에 반대했던 세력 중 하나로 추정된다. 천한 2년, 달아난 조선인 포로를 숨긴 죄로 하옥되어 병사했다. 최의 출신과 우거왕 살해 동기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99년 사망 - 한연년
정보 부족으로 인해 한연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의 개요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 고조선의 관료 - 최 (위만조선)
최는 위만조선이 전한에 의해 정벌될 때 한나라에 투항하여 위만조선 멸망에 기여하고 열양후에 봉해졌으나 사망한 인물이다. - 고조선의 관료 - 성기 (고조선)
성기는 위만조선 멸망기에 항전했으며, 한나라에 항복한 위장항에게 살해당한 인물이다. - 기원전 2세기 한국 사람 - 노인 (고조선)
노인은 고조선 말기 조선상의 직위에 있었던 인물로, 고조선-한 전쟁 중 전한에 투항하려다 사망했으며, 일각에서는 그의 성씨를 근거로 중국계 인물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 기원전 2세기 한국 사람 - 최 (위만조선)
최는 위만조선이 전한에 의해 정벌될 때 한나라에 투항하여 위만조선 멸망에 기여하고 열양후에 봉해졌으나 사망한 인물이다.
삼 (위만조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삼 |
원어명 | 參 |
국가 | 고조선 |
직책 | 이계상 |
군주 | 우거왕 |
사망일 | 기원전 99년 |
성별 | 남성 |
생애 | |
활동 시기 | 위만조선 시대 |
주요 역할 | 이계상 |
사망 시기 | 기원전 99년 |
주요 활동 내용 | 우거왕 시기에 이계상을 지냄 |
2. 생애
삼(參)은 위만조선의 대신이었다.[11] 전한 무제가 위만조선을 침공하자, 최를 시켜 기원전 108년 우거왕을 살해하고 전한에 투항하였다.[10] 이후 전한으로부터 홰청후(澅淸侯)에 봉해졌으나, 기원전 99년 달아난 조선인 포로를 숨겨주었다는 죄목으로 투옥되어 옥사하였다.
2. 1. 위만조선의 대신
삼(參)은 위만조선의 대신이었다. 당시 우거왕은 삼한과 전한 사이의 교역을 가로막고 이익을 독점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었는데,[11] 삼은 이러한 우거왕의 정책에 반대하는 입장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전한 무제가 위만조선을 침공하자, 삼은 최를 시켜 기원전 108년 6월 우거왕을 살해하고 전한에 투항하였다.[10] 이후 삼은 전한으로부터 홰청후(澅淸侯)에 봉해졌다.
전한 무제 천한(天漢) 2년인 기원전 99년, 삼은 달아난 조선인 포로를 숨겨주었다는 죄목으로 투옥되어 옥사하였다.
2. 2. 전한 투항
전한 무제가 위만조선을 공격할 당시, 우거왕은 삼한과 한나라 사이의 교역을 가로막고 이권을 독점하고 있었다.[11] 이러한 상황 속에서 삼(參)은 최(最)를 시켜 기원전 108년 6월 우거왕을 살해하고 전한에 투항하였다.[10] 투항 이후 전한은 삼을 홰청후(澅淸侯)에 봉했다. 삼은 우거왕의 이러한 폐쇄적인 대외 정책에 반대하는 입장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11]천한 2년(기원전 99년), 삼은 달아난 조선인 포로를 숨겨주었다는 죄목으로 옥에 갇혔고, 결국 옥중에서 병으로 사망하였다.
2. 3. 최후
천한 2년인 기원전 99년, 삼(參)은 달아난 조선인 포로를 숨겨주었다는 죄목으로 전한의 감옥에 갇혔고, 결국 그곳에서 병으로 사망하였다.참조
[1]
서적
[2]
서적
[3]
간행물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웹인용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의 정보, 삼(參)
https://web.archive.[...]
한국학 중앙연구원
2012-03-18
[10]
인용
사마천 “조선 상(朝鮮相) 노인(路人)·상 한음(相韓陰)·니계 상 참(尼谿相參)·장군 왕겹(王唊)이 서로 참여하여 일을 꾸며 이르기를, “당초에 누선에게 항복하고자 하였으나, 누선은 지금 잡혀있고, 홀로 좌장군이 아우르고 거느리니, 전쟁은 점차 급해지고 있고, 더불어 싸우지 못할까 두려운데, 왕은 또한 항복을 들어주지 않고 있다. ”하였다. [...] 원봉(元封) 3년(기원전 108년) 여름, 니계 상 참은 아랫사람을 시켜 왕 우거를 죽이고 와서 항복하였다.”/“朝鮮相路人、相韓陰、尼谿相參、將軍王唊相與謀曰:「始欲降樓船,樓船今執,獨左將軍并將,戰益急,恐不能與,(戰)王又不肯降。」[...]元封三年夏,尼谿相參乃使人殺朝鮮王右渠來降。”
[11]
인용
사마천 “아들을 거쳐 손자 우거(右渠)에 이르러, 한(漢)나라의 망명자를 점점 더 많이 꾀어들였고, 아직 들어가 천자를 뵙지도 않았다. 진번(真番) 옆의 여러 나라들이 글을 올려 천자를 뵙고자 하였으나, 또한, 우거가 가로막아 통하지 못하였다. ”/“傳子至孫右渠,所誘漢亡人滋多,又未嘗入見;真番旁眾國欲上書見天子,又擁閼不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